반응형

서경천도 2

묘청(妙淸), 정지상, 백수한, 서경천도, 승려, 묘청의난, 풍수지리, 도참사상, 임원궁

고려전기 정지상, 백수한 등의 지지로 서경천도론을 제기한 승려. 서경(西京) 사람이나, 속성(俗姓)과 본관은 알 수 없다. 뒤에 이름을 정심(淨心)이라 고쳤다. 승려이면서도 도교(道敎)적인 요소를 함께 갖추었다. 풍수지리와 도참사상(圖讖思想)을 익힌 후 이를 바탕으로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 1128년(인종 6)에 같은 서경 사람인 정지상(鄭知常), 분사검교소감(分司檢校少監) 백수한(白壽翰), 근신(近臣) 김안(金安)·홍이서(洪彝敍)·이중부(李仲孚), 대신(大臣) 문공인(文公仁)·임경청(林景淸) 등의 지지를 받아 서경천도론을 처음 제기하였다. 상경(上京)은 이미 기운이 쇠했고 서경에는 왕기(王氣)가 있으니 그곳으로 천도하자고 했다. 서경의 임원역(林原驛)이..

묘청의 난,1135년,인종,서경천도,서경세력

1135년(인종 13) 묘청 등이 서경(西京)에서 일으킨 반란. 1126년 이자겸(李資謙)의 난 이후 국내외 정세는 극도로 불안하였다. 안으로는 이자겸의 난으로 궁전이 불타고 정치기강이 해이해졌고, 밖으로는 여진족의 외교적인 압력을 받고 있었다. 이 시기에 서경출신의 승려 묘청은 풍수지리설에 의거, 고려가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은 개경(開京)의 지덕(地德)이 쇠약한 때문이라고 역설하였다. 따라서, 나라를 중흥하고 국운을 융성하게 하려면 지덕이 왕성한 서경으로 수도를 옮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당시 풍수지리설이 크게 성행하고 있어서 그는 인종의 총애와 함께 백수한(白壽翰)·정지상(鄭知常) 등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인종은 1127년 이후 서경에 자주 거둥했고, 그의 건의에 따라 서경의 명당인 임원역(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