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병자호란 2

호란, 북벌 운동, 서인,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유호란, 정묘약조, 병자호란, 효종

호란과 북벌 운동 ․광해군 (1608~1623) - 史庫의 정비, 서적의 간행, 호패의 실시 - 뛰어난 외교정책 (강홍립의 후금투항) ․인조 (인조반정,1623) - 서인 집권, 向明排金 - 이괄의 난 (인조반정에 대한 공신책정에 불만) → 후금의 침략 종용 - 정유호란 (인조 5년,1627) → 형제관계 수립 - 정묘약조 : 주전(척화론)>주화론 ․병자호란 - 후금의 淸 개국 (인조 14년,1636) → 조선에게 군신관계 요구 → 병자호란 발발 - 인조의 남한산성 피난 → 삼전도에서 항복 - 소현세자, 봉림대군 볼모 척화파인 3학사(홍익한,윤집,오달제) 죽음, 김상헌 옥고 ․효종 - 북벌계획, 북한산성·남한산성 수리 기출 문제 Q 다음의 밑줄 친 비석이 세워진 계기가 된 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이괄의 난(李适─亂), 1624년(인조 2), 인조반정, 병자호란

1624년(인조 2) 정월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이괄이 인조반정 때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사전에 치밀히 계획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종래의 통설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북방 정세와 부원수 임명 경위 등으로 보아 미흡한 점이 많다. 당시는 후금의 강성으로 언제 침략을 받을지 모를 정도로 매우 긴박한 정세였다. 따라서 북방 경비는 가장 중대한 국가적 과제가 아닐 수 없었다. 장만(張晩)의 도원수직 못지 않게 부원수직은 최전방의 군대를 직접 지휘하는 임무로서 전략에 밝고 통솔력이 있는 인물에게 합당한 것이었다. 이괄의 택정은 그만큼 신중한 배려 끝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괄 역시 새 임무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