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신정권 3

최충헌(崔忠獻), 무신정권, 교정별감

고려시대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에 이어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가 되어 교정별감을 역임한 관리.무신집권자. 본관은 우봉(牛峰). 초명은 최난(崔鸞). 아버지는 상장군 최원호(崔元浩)이다. 음보(蔭補)로 양온령(良醞令)이 되었다가 1174년(명종 4)조위총(趙位寵)의 난 때 원수 기탁성(奇卓誠)의 휘하에서 용감히 싸워 별초도령(別抄都令)에 발탁되었으며, 뒤이어 섭장군(攝將軍)에 올랐다. 1196년에 아우 최충수(崔忠粹), 생질 박진재(朴晉材) 등과 함께 미타산(彌陀山) 별장에서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는 한편, 그 일당과 잔당으로 지목된 문무관(文武官)을 대량 학살 또는 귀양 보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왕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적신(賊臣) 이의민이 일찍 시역(弑逆)의 ..

김보당(金甫當), 무신정권

고려후기 우간의, 공부시랑, 간의대부 겸 동북면병마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영광(靈光). 의종 때의 정치와 무신정권에 비판적인 인물이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신정권이 성립된 직후 1171년(명종 1) 우간의(右諫議)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좌간의 김신윤(金莘尹),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이소응(李紹膺), 좌사간(左司諫) 이응초(李應招), 우정언(右正言) 최당(崔讜) 등과 더불어 의종 때 정치를 문란하게 하였던 재상 최윤의(崔允儀), 간의 이원응(李元膺), 중승(中丞) 오중정(吳中正) 등과 대성(臺省)의 관직을 겸임하고 있던 이준의(李俊儀)·문극겸(文克謙)을 탄핵하였다. 이는 전대에 붕괴된 정치질서를 회복하고 그것에 바탕을 둔 관료기구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준의는 술..

경대승(慶大升), 무신정권, 정중부일파 숙청

고려후기 교위, 사심관, 장군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경진(慶珍)의 아들이다. 일찍이 큰뜻을 품고 가산을 돌보지 않았으며, 아버지 경진(慶珍)이 불법으로 탈취한 토지의 전안(田案)을 선군(選軍)에 바치고 하나도 취하지 않아 청백하다는 평판을 받았다. 15세에 음서(蔭敍)로 교위(校尉)에 임명된 뒤 차차 벼슬이 올라 장군이 되었다. 1178년(명종 8)에 개경에서 살다가 낙향한 청주 출신 사람들과 원래 청주인(원주민) 사이에 분쟁이 생겨 100여 명이 죽게 되자 박순필(朴純弼)과 함께 사심관(事審官)으로 파견되었으나, 그 일을 해결하지 못했다 하여 파면되었다. 1179년 평소 불만이 많던 집권 무신 정중부(鄭仲夫) 일파를 제거하고자 결심하고, 견룡(牽龍) 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