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정별감 2

최우(崔瑀), 최충헌 아들, 송청, 최씨무인정권, 교정별감

고려후기 참지정사, 이병부상서, 판어사대사 등을 역임한 관리.무신집권자. 본관은 우봉(牛峰). 뒤에 최이(崔怡)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최충헌(崔忠獻)이며, 어머니는 상장군 송청(宋淸)의 딸이다.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다가 1219년(고종 6)에 최충헌이 죽자 그 뒤를 이어 교정별감(敎定別監)이 되었다. 이 때 자신이 축적해둔 금은(金銀), 진완(珍玩) 등을 왕에게 바치고 아버지가 빼앗은 공사(公私)의 전민(田民)을 각각 그 주인에게 돌려주었다. 또한, 한사(寒士)를 많이 선발, 등용하였으며 아버지에게 아부하여 백성을 괴롭히던 관리를 유배 또는 파면하고, 아우 최향(崔珦)을 귀양보내는 등 인심을 얻는 데 크게 노력하였다. 1221년에 참지정사(參知政事)·이병부상서(吏兵部尙書)·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

최충헌(崔忠獻), 무신정권, 교정별감

고려시대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에 이어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가 되어 교정별감을 역임한 관리.무신집권자. 본관은 우봉(牛峰). 초명은 최난(崔鸞). 아버지는 상장군 최원호(崔元浩)이다. 음보(蔭補)로 양온령(良醞令)이 되었다가 1174년(명종 4)조위총(趙位寵)의 난 때 원수 기탁성(奇卓誠)의 휘하에서 용감히 싸워 별초도령(別抄都令)에 발탁되었으며, 뒤이어 섭장군(攝將軍)에 올랐다. 1196년에 아우 최충수(崔忠粹), 생질 박진재(朴晉材) 등과 함께 미타산(彌陀山) 별장에서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는 한편, 그 일당과 잔당으로 지목된 문무관(文武官)을 대량 학살 또는 귀양 보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왕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적신(賊臣) 이의민이 일찍 시역(弑逆)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