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유재란 4

칠천량 해전, 정유재란, 칠천도, 원균, 유일 패배 해전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7월 15일 원균(元均)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일본 수군과 벌인 해전. 임진왜란·정유재란 가운데 조선 수군이 유일하게 패배한 해전이다. 임진왜란 중 명나라와의 화의가 결렬되자, 일본은 1597년 1월 다시 조선을 침범했다. 일본은 지난번 조선 침범이 실패한 것은 바다를 제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해 먼저 수군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을 제거하려는 이간책을 꾸몄다. 당시 조정에서는 중신들이 당쟁에 휘말려 이순신을 하옥하고 원균을 수군통제사로 임명한 상태였다. 일본군은 조선 수군을 부산 근해로 유인해 섬멸하려고 일본의 이중첩자인 요시라(要時羅)를 시켜 유혹했다. 이에 도원수 권율(權慄)은 도체찰사 이원익(李元翼)과 상의해 원균에게 출전명령을 내렸다. 원균은 ..

이순신 해전사, 임진왜란, 정유재란

1차 출동 01. 옥포해전 (1592.05.07) 02. 합포해전 (1592.05.07) 03. 적진포해전 (1592.05.08) 2차 출동 04. 사천포해전 (1592.05.29) 05. 당포해전 (1592.06.02) 06. 1차 당항포, 진해해전 (1592.06.05) 07. 율포해전 (1592.06.07) 3차 출동 08. 한산도대첩 (1592.07.08.) 09. 안골포해전 (1592.07.10) 4차 출동 10. 장림포해전 (1592.08.29) 11. 화준구미해전 (1592.09.01) 12. 다대포해전 (1592.09.01) 13. 서평포해전 (1592.09.01) 14. 절영도해전(송도) (1592.09.01) 15. 초량목해전 (1592.09.01) 16. 부산포해전 (1592.09.0..

잡스 한국사 2021.04.06

명량대첩,정유재란,1597년,선조,이순신,명량(울돌목)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이순신(李舜臣)이 명량(울돌목)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원균(元均)이 거느린 조선 수군은 대부분 패하였다. 이에 그 해 7월 22일유성룡(柳成龍) 등의 간곡한 건의로 다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 임명된 이순신은 휘하 군사들의 전열을 재정비하였다. 그러나 당시 군중에 남아 있던 쓸만한 전선(戰船)은 칠천량해전에서 배설(裵楔) 장군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이 더해져서 13척이 되었다. 이때 일본 수군은 한산섬을 지나 남해안 일대에 침범하면서, 육군의 육상 진출과 동시에 서해로 진출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순신은 서해 진출의 물목이 되는 명량을 지키기 위해 이진(利津..

노량해전(露梁海戰),정유재란,1598년,선조,이순신(李舜臣),진린(陳璘),조·명 연합함대,노량(경상남도 남해도와 하동 사이의 해협),이순신 전사

정유재란 때인 1598년(선조 31) 11월 18일부터 19일 이틀 사이에 이순신(李舜臣)과 진린(陳璘)이 이끄는 조·명 연합함대가 노량(경상남도 남해도와 하동 사이의 해협) 앞바다에서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 임진왜란 중 바다에서의 마지막 싸움이며, 이순신이 승리와 함께 전사한 해전이다. 1597년 재침한 왜군은 그 해 9월 명량해전(鳴梁海戰)에서 패배한 데 뒤이어 육전에서도 계속 고전하였다. 다음 해 8월 도요토미(豊臣秀吉)가 병사하자, 왜군은 순천 등지로 집결하면서 철수작전을 서둘렀다. 이 소식을 접한 이순신은 명나라 수군도독(水軍都督) 진린과 함께 1598년 9월 고금도(古今島) 수군 진영을 떠나 노량 근해에 이르렀다. 명나라 육군장 유정(劉綎)과 수륙합동작전을 펴 왜교(倭橋)에 주둔하고 있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