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신체제 2

언론자유수호운동,1970년대,유신체제,언론통제,동아일보 백지광고

1970년대 3선개헌에 이어 유신체제를 구축한 박정희(朴正熙) 정권의 언론통제에 대응하여 일선 기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운동. 박정희 정권은 ① 부정 부패 사이비 언론인 및 언론기관 정화를 명분으로 한 언론통폐합 단행, ② 언론기업 육성방침에 의한 언론기업 특혜 지원, ③ 언론기관에 정부 기관원을 상주시키거나 언론인에게 구속과 테러를 가하는 등의 직접적인 언론 탄압, ④ 복합적 언론매체 경영의 확대, ⑤ 재벌의 언론 소유 허용 등 언론을 통한 정권의 국민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언론을 근대화 추진을 위한 국민동원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소위 ‘채찍과 당근 정책’으로 불려지는 다양한 언론정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언론정책으로 인해 박정희 정권하의 언론은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었으며, 언론은 ..

부마민주항쟁, 1979년, 부산, 마산, 유신체제, 민주화운동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경상남도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반정부 항쟁 사건. 박정희 정부의 유신체제는 정치·사회적 갈등을 빚어오다가 1979년에 한계에 이르렀다. ‘백두진(白斗鎭) 파동’과 박정희 대통령 취임 반대운동으로 시작된 1979년은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연행·체포·고문·연금 등 강압책이 잇따른 가운데서도 야당과 재야세력의 저항이 고조되어 유신 정국은 긴장을 더해 갔다. 대표적으로 ‘크리스찬아카데미사건’·‘오원춘사건(吳元春事件)’에 이어 ‘YH무역노조 신민당사 농성’이 일어났고, 잇따라 김영삼(金泳三) 신민당 총재에 대한 총재직 정지 가처분과 의원직 박탈로 정국은 갈등으로 치달았다. 더불어 1970년대 말 한국경제는 제2차 오일쇼크라는 세계자본주의체제의 위기와 결합해 심각한 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