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만국평화회의 2

을사조약, 외교권 박탈, 만국평화회의, 헤이그, 이준, 이상설, 이위종

● 을사조약 1. 당시 상황 청나라와의 전쟁에 이어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우리나라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하였음 2. 을사조약의 체결 1905년, 고종 황제의 거부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기는 을사조약이 강제로 맺어졌음 3. 을사조약의 내용(일부) 일본 정부는 한국의 외교에 관한 모든 사무를 지휘하고 감독한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를 통하지 않고는 외국과 조약을 맺지 못한다. 4. 을사조약의 의미 우리나라는 스스로 다른 나라와 관계를 맺는 어떤 일도 할 수 없게 되었고, 일제의 지배와 간섭을 받게 되었음 ● 을사조약 체결에 대한 우리 민족의 대응 1. 의병 운동 일제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최익현 등이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대항하였음 신돌석은 1905년 을사조약으로 인하여 외교권이 ..

헤이그특사, 1907년, 고종, 네덜란드, 만국평화회의, 을사조약

1907년 고종이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개최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해 일제에 의해 강제 체결된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한국의 주권 회복을 열강에게 호소한 외교 활동. 일제는 1904년 2월 러일전쟁 도발 이후 한국을 ‘병합’하기 위한 외교활동을 벌였다. 미국·영국·독일·프랑스 등 구미 열강이 일제의 한국 침략을 묵인하도록 조처한 뒤, 1905년 11월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 외교권과 통치권을 박탈해 ‘보호국’으로 삼는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였다. 그러나 고종은 이 조약을 인준하지 않았다. 그리고 기회만 있으면 을사조약에 반대하는 친서를 국외로 내보냈다. 미국의 헐버트(Hulbert, H. B.) 박사에게 전보를 보내 그 곳에서 조약 반대운동을 벌이게 한 것도 이 즈음의 일이었으나, 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