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거울, 이 상 [현대시]

Jobs 9 2022. 2. 2. 08:00
반응형

거울

이 상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 것이요.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
내말을알아듣지 못하는딱한귀가두 개나있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요.
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 --- 악수를모르는왼손잡이요.
 
거울 때문에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마는
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했겠소.
 
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있소.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에골몰할게요.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요마는
또꽤닮았소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개관
- 성격 : 초현실주의적, 자의식적, 냉소적, 관념적
- 표현
* 역설적 표현
* 자동기술법(마치 정신병자가 무의식적으로 지껄이는 상태를 자기 자신에게 응용,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지껄이는 독백이나 입에 오른 사고를 비판이나 수정 없이 그대로 기술하는 방법)
* 띄어쓰기나 시의 율격을 무시.(기존의 문법 질서를 파괴하려는 반이성주의의 소산으로 극단적인 다다이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
* 각 연 2행의 대립 구조 → 현실적 자아와 본질적 자이 사이의 대립과 분열에 상응하는 구조
* 냉소적이고 자조적 어조

- '거울'의 이미지
 거울 → 자의식 분열의 매개체. 자아 투영과 자아성찰 및 현실 인식의 매개체. 이 시의 모티브.
이 시에서 거울의 이미지는 대칭 구조를 보이고 있다.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가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의미와 그 둘을 단절시키는 부정적인 의미를 다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상 대칭을 보여준다. 또한 1연과 6연에서 거울로 인한 단절을 보여 줌으로써 '거울'의 의미가 구조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 주제 : 자아 분열의 고통과 자의식의 심화(근대인의 비극, 불행)

 
중요 시구
   * 1연 → 거울 속의 세계는 소리가 없는 참 조용한 세계다.(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단절된 세계)
   * 2연 → 내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딱한 귀를 가진 거울 속의 나.(자아 분열의 시작, 의사소통의 불가능)
   * 3연 → 내 악수를 받을 줄 모르는 왼손잡이인 거울 속의 나.(화해의 불가능, 단절의 심화)
   * 4연 → 거울의 이중성(역기능과 순기능, 단절과 만남), 거울을 통해 자아를 인식함.
   * 5연 → 거울이 없어도 거울 속의 나는 존재함.(자아의 분열을 객관적으로 인식함)
                외로된 사업(현실적 자아와의 대립 및 불화를 가져올 만한 일)에 골몰하는 거울 속의 나.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가 대립하고 있는 구체적 모습으로, 자아분열의 극한을 보여줌)
   * 6연 → 거울 안팎의 나가 지니는 유사성과 상반된 모습 제시
                거울 속의 나를 근심하고 진찰할 수 없어 섭섭해함(현실적 자아의 고뇌와 갈등)
 
시상의 전개(구성)
- 1연 : 거울 속의 세계(무의식의 세계, 내면적 자아가 자리한 세계)
- 2연 : 대화(의사소통)의 단절
- 3연 : 화해의 단절, 자기 소외(자기로부터의 소외 - 근대인의 비극적 자아상)
- 4연 : 거울의 이중적 기능(단절과 만남)
- 5연 : 극심한 자아분열의 고통
- 6연 : 모순과 분열의 확인(주제연)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현실적 자아(거울 밖의 나)와 내면적 자아(거울 속의 나)와의 분열 및 단절을 다루고 있다. 이 두 자아는 '거울'이라는 사물을 통해 서로 맞부딪힌다. 두 자아는 아주 닮았지만 왼쪽과 오른쪽이 뒤바뀌었으니 곧 서로 반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닮음과 불일치가 이 작품의 표면적 의미를 이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내용은 시인이 느꼈던 자아의 분열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 시에서 거울은 현실 속의 자아인 '나'가 현실을 초월한 또 하나의 자아인 '나'를 보게 해주는 매개체이다. 그러나 '나'가 거울을 보는 순간, 인간 본연의 순수 의식에 눈을 떠서 자아의 참모습을 발견하게 되나, 그 모습이 절망적이라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소리가없소', '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 '근심하고진찰할수없으니' 등의 시구에는 두 자아의 모순과 대립을 통해 순수 자아를 상실한 현대인의 비극과 아픔이 담겨 있다. 인간은 때때로 '참 나'가 아닌 '거짓 나'의 탈을 쓰고 삶을 영위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중적 삶은 필연적으로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게 되며, 그러한 고통이 이 시에서는 자학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형식상 특성
6연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행과 연의 구분은 되어 있으나,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있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이유는 작가가 관습적인 정서법과 율격, 즉 기존의 문학 형식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형식적 차원의 거부는 보다 근본적으로는 문학 형식은 물론 삶에 대한 상식적 견해 등 모든 기존의 질서, 관습을 거부하는 극단적인 반이성주의의 소산인 다다이즘의 영향 하에 있는 작가의 부정정신에서 비롯된다. 이를 고려할 때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것보다 오히려 행과 연을 구분함으로써 기존의 관습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 더욱 문제가 된다. 그러나 이는 행과 연의 구분이 본질적으로 자유시 고유의 율격인 내재율을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으로 고려할 때 사실상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행과 연의 구분이 본질적으로 자유시 고유의 율격인 내재율을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으로 고려할 때 사실상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시는 정서법을 무시함으로써 이미 율격을 파괴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행과 연의 구분이란 율격 형성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