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한국 문학의 흐름(4) : 1960년대 문학, 1970년대 문학, 산업화와 민족문학

Jobs 9 2022. 5. 31. 12:17
반응형

한국 문학의 흐름(4) : 산업화와 민족문학의 새로운 단계

 

 

1. 시대적 배경 및 문학적 상황

 

⑴ 시대적 배경
㈀ 정치적 격동기 : 4. 19 혁명, 5. 16 구테타, 10월 유신 등 일련의 정치적 사건이 일어남.
㈁ 민중적 시민 의식과 비판적 지성주의 고양 : 1960년 4. 19를 계기로 진보에 대한 믿음과 인간이 역사의 창조적 주체라는 인식이 부각됨.
㈂ 산업화의 진전과 사회적 갈등 : 1960년대부터 전개된 경제 개발 계획과 급속히 진전된 산업화의 영향으로 도농의 격차, 인간 소외, 빈부 갈등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시작됨.

 

⑵ 문학적 상황
㈀ 문학의 현실 참여 문제
㈁ 민족의 비극과 분단 현실에 대한 심화된 인식
㈂ 사실주의 경향의 문학
㈃ 서정과 기교의 문학
㈄ 민족 · 민중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1960년대 문학

 

⑴ 시
① 배경
㉠ 정치적 격동기를 겪으며 자유와 평등의 가치 지향과 시대정신의 형성
㉡ 경제적 근대화에 따른 표면적인 문화 안정과, 그로 인한 민주적 시민 의식의 성숙
㉢ 해방 후 시의 다양한 모색들이 정착되고 본격적인 현대시의 성격 확보
㉣ 신춘 문예의 활성화와 시 동인지들의 다량 발간으로 시의 대중화 촉진
② 특징
㉠ 근대화로 인한 사회적 모순과 비인간화에 대한 비판과 저항
㉡ 6. 25 전쟁의 상흔과 민족 분단의 비극에 대한 역사적 관심과 성찰
㉢ 서정주의와 시적 언어에 대한 집착으로 시문학의 본질적 영역 탐구
㉣ 현대 시조 창작의 활성화
㉤ 체계적인 시론의 탐구와 현대시의 성격 규명 작업 본격화
③ 작품 경향
- 현실참여의 시
㉠ 시민 의식의 각성과 사회 현실의 모순 비판
예> 박두진의 <우리는 아직 깃발을 내린 것이 아니다>,  김수영의 <푸른 하늘을><폭포><풀>
㉡ 분단의 비극과 민중적 역사의식의 형상화
예> 박봉우의 <휴전선>,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금강> 등.
- 순수 서정시
㉠ 휴머니즘적 서정시 : 삶의 본질에 대한 사색과 긍정적 인식으로서 사랑의 의미를 제시함.
예> 정한모의 <가을에><아가의 방>,  조병화의 <의자>,  김남조의 <너를 위하여> 등.
㉡ 전원적 서정시 :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서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자연친화적이고 토속적 소재와 관조 내지 명상의 태도를 보임.
예> 이동주의 <혼야><강강술래>,  박재삼의 <춘향이 마음> 등.
- 현대 시조
㉠ 시조 문학 활성화의 동기 : 당대의 자유시에 나타난 언어 실험의 난해성과 현실 참여적 태도의 구호성, 지나친 지적 태도에 의한 서정성의 약화 현상에 대한 반성.  시조 전문지의 간행 및 시조시인 배출.
㉡ 특징적 경향
→ 시조 고유의 미감을 잃지 않은 채 새로운 서정의 개발로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실현함.
    시조 고유의 리듬을 파괴하고 자유시와의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남.
㉢ 대표 작가 및 작품
→ 김상옥 : 고전적 기품과 향토적 정조 및 엇시조 가락 구사.  <사향> <봉선화>
    이호우 : 서경적 관찰과 묘사에 의한 감각적 시풍과 구별배행의 형태. <개화> <살구꽃 피는 마을>
    정완영 : 민족사적 서정의 표현으로 고전적 정서와 현대적 인식을 통일시킴.  <조국>
    이영도 : 섬세한 여성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현실적 관심을 표현함.  <낙화> <진달래>

 

⑵ 소설
① 특징
㉠ 지식인의 삶에 대한 치열한 고뇌와 세련된 감수성
㉡ 냉전 의식에서 벗어나 분단의 현실에 대한 심화된 인식 형성
㉢ 농촌과 농민의 현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산됨.
㉣ 구세대 작가들에 의해 역사에 대한 거시적 안목 형성.
② 작품 경향
- 전쟁의 상흔과 민족의 비극 조명
→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전쟁의 비극성을 증언함으로써, 비참한 인간의 삶과 민족의 비극 조명. 
        예> 오상원의 <황선지대>,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  하근찬의 <수난이대> 등.
- 현실 비판 의식
→ 4. 19와 5. 16으로 드러나 사회 모순과 부조리한 현실, 서민층의 비참한 삶의 모습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비판적 시각으로 고발함.
       예>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 손창섭의 <부부>, 이호철의 <판문점><소시민> 등
- 근대사를 다룬 역사소설
→ 1930년대의 야사적, 복고적 특성이 많았던 역사 소설에서 탈피하여, 진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민족의 근대사를 추적함.
예> 안수길의 <북간도>, 김정한의 <수라도>, 서기원의 <혁명>, 하근찬의 <족제비><일본도> 등.
- 내성적 관찰 : 내성적 기교주의 경향.
㉠ 관념소설의 등장 : 예> 최인훈의 <가면고><회색인>
㉡ 감수성의 혁명 : 예> 김승옥의 <생명연습><무진기행>
㉢ 세련된 언어 구사 및 심리 묘사 :  예> 서정인의 <후송>
㉣ 지식인의 치열한 고뇌 : 예> 이청준의 <퇴원>
㉤ 도시적 감각과 인간 소외의 현장 : 예> 최인호의 <타인의 방>
㉥ 생생한 현장성 : 예> 박태순의 <정든 땅 언덕 위>
- 정치적 모순 비판
→ 분단의 현실 및 어두운 정치 내면 등 정치적인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함.
예> 최인훈의 <광장>, 선우휘의 <아버지>, 박연희의 <침묵> 등.

 

 

3. 1970년대 문학

 

⑴ 시
① 배경
㉠ 비민주적이고 억압적인 현실 상황 인식
㉡ 대중화된 사회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반성
㉢ 청년 문화와 지적 엘리트주의의 형성
② 특징
㉠ 절박한 현실 인식을 고통스럽고 의지적인 언어로 형상화함.
㉡ 1960년대 시의 언어에 대한 자율적 인식을 극대화한 의식적 방법론이 부각됨.
㉢ 지적이면서도 내면화된 서정성이 강화됨.
③ 작품 경향
- 민중시
㉠ 민중의 현실적 삶과 정서의 형상화 : 예> 조태일의 <국토>, 신경림의 <농무>
㉡ 정치 · 사회적 현실 비판                 : 예>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오적>
㉢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            : 예> 정호승의 <맹인 부부 가수>, 김창완 <인동 일기>
- 모더니즘 시
㉠ 지성과 서정의 조화                       : 예> 황동규의 <기항지>, 오세영의 <그릇>
㉡ 현대적 언어 탐구                          : 예> 김영태의 <첼로>, 이승훈의 <어휘>
㉢ 자유로운 상상력의 확장                : 예> 정현종의 <사물의 꿈>

 

⑵ 소설
① 특징
㉠ 사회적 혼란과 시대적 갈등에 고뇌하는 비판적 현실 인식을 보여줌.
㉡ 상황과 대결하여 극복하려는 능동적이고 의지적인 인간상을 형상화함.
㉢ 공동체 의식의 확산으로 역사소설, 분단문학 등 민중 문학의 지평을 확대함.
② 작품 경향
- 농촌 공동체 파괴의 현실 고발
→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궁핍화 현상과 농민의 고통스런 삶을 형상화함.
   예> 송기숙의 <자랏골의 비가>, 이문구의 <관촌수필> 등
- 산업화와 노동자의 삶의 조건 반성
→ 노동자 계층의 뿌리뽑힌 삶의 현실과 유랑 의식을 드러냄
   예> 황석영의 <객지><삼포가는 길>,  윤흥길의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등
- 일상적 삶의 모랄과 휴머니즘 탐구
→ 사회전반의 풍속 혼란, 윤리 의식의 동요, 자기 소외의 심화 현상을 비판적이면서도 인간에 대한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그려냄.
    예> 최일남의 <노란 봉투>, 박완서의 <지렁이 울음소리>,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 등
- 분단 현실의 조망
→ 전쟁의 민족사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탐구함.
    예> 박완서의 <나목><엄마의 말뚝>, 윤흥길의 <장마>, 김원일의 <노을> 등.
- 민족사의 재인식
→ 민중의 삶에 근거한 민족사를 재인식하여 대하 역사소설을 씀.
   예> 박경리의 <토지>, 황석영의 <장길산> 등.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