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 과학 Applied Science/군사 Military

제2차 세계 대전, 국가별 사망자, 7,300만 명

Jobs 9 2023. 8. 6. 11:33
반응형

제2차 세계 대전, 국가별 사망자

제2차 세계 대전의 사망자는 5,646만 명으로 공식 집계되며 비공식적으로는 7,300만 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공식 집계만 따져도 그 이전까지 최대 인명 피해였던 제1차 세계 대전 사망자 1500만의 4배에 달하며 당시 기준으로 이보다 인구가 많았던 나라는 중화민국 국민정부, 영국령 인도 제국, 소련, 미국, 일본 제국, 독일 제3제국 정도였다. 가장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나라는 소련으로 공식적으로만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800만 명이 사망했지만 공식 집계되지 않은 사망자를 포함하면 2,000~2,700만에 달한다고 추정된다. 참고로 소련 정부는 붕괴 순간까지도 군 인명 피해에 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고 1993년 보리스 옐친(Boris Yeltsin) 집권 당시 그리고리 크리보세예프(Grigoriy Krivosheev) 장군이 연구해 발표한 내용이 전부이기에 딱히 대체자료가 없다. 다만 전쟁 초기의 피해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아 누락된 것이 많다. 한편 폴란드는 전체 인구의 1/6에 달하는 약 600만 명의 사망자를 냈고, 중화민국 역시 공식 사망자는 약 131만 명으로 집계되었지만 실제로는 1,500~2,0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동유럽과 중국에서 극심한 인명피해가 나온 것과 달리 서유럽에서는 영국 35만, 프랑스 56만, 이탈리아 40만 등 여전히 적지 않지만 동유럽에 비해 경미한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심지어 제1차 세계 대전보다도 더욱 인명 손실이 적었다. 게다가 추축국에 의한 민간인 대량 살육이 곳곳에서 자행되었기에 민간인 사망자의 비중이 이전의 전쟁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추축국에 잡힌 포로에 대한 열악한 처우로 포로 생존율 또한 낮았다.  



사상자를 제외해도 피해는 심각했다. 유럽에서만 총 2,1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중국에서는 수 백만의 난민이 발생했으며 일본에서도 전체 도시 인구의 30%가 자신의 집을 잃었다.#\

 

물적 손실

전비
개전으로부터 불과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를 갈라 먹었던 열강국들이 전후에 승전국, 패전국 할 것 없이 미국을 제외하고는 죄다 국고가 거덜날 정도로 전비 지출이 막대했다. 더욱이 해가 지지 않을 정도의 위세를 떨쳤던 대영 제국조차 그 거대한 식민지들을 경영하는 건 고사하고 본국조차 건사하기 힘들어질 만큼 피폐해져 결국 초강대국에서 지역 강국으로 내려앉아야 했고, 한때 대영 제국의 라이벌이던 프랑스도 영국과 마찬가지의 운명을 맞았다. 

대략 전쟁에 동원된 모든 국가의 전비는 1조 달러[6]로 추정되며 프랑스는 국민총소득의 3배에 해당하는 전쟁 비용이 발생했으며 벨기에와 네덜란드도 이와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 독일에 의해 점령된 유럽 국가들은 농업 시설 및 농작물 파괴와 기계와 비료의 부족 그리고 인력 유출로 막대한 농업적 피해를 입었으며 전쟁으로 인해 주요 철도 체계를 포함한 내부 운송 체계가 완전히 마비되었다. 그래서 1945년까지 서유럽의 경제는 완전히 마비 상태에 놓여있었다.

 

주요 시설물 파괴
2차 대전으로 인한 유럽 내 시설물의 피해는 막대했다. 영국은 영국 본토 항공전과 V 시리즈 로켓의 공격으로 인해 전체 주거지의 30%가 파괴되고 손상되었으며, 벨기에와 네덜란드 그리고 프랑스는 전투의 한복판에 있었기에 전체 주거지의 20%가 파괴되고 손상되었다. 독일은 미영 연합군의 전략폭격으로 인해 49개 대도시에서 주거지의 39%가 파괴되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또한 동유럽은 그 피해가 훨씬 심각했다. 폴란드는 학교, 과학기관, 공공행정시설의 60%, 농업 시설의 30~35%, 광산 및 전력산업의 32%가 파괴되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주거지의 20%가 파괴되었다. 그리고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소련은 독일에 점령당한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서부 러시아가 초토화되었고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등 주요 도시들 역시 파괴를 면치 못했다.

아시아 내 시설물의 피해 또한 만만치 않았다. 중국의 열악한 운송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했고 몇 안되는 병원과 보건 기관은 대부분이 파괴되어서 의료 문제도 야기했다. 필리핀도 미국과 일본이라는 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 신세가 되어서 마닐라의 항구 시설과 시가지 대부분이  초토화되었다. 일본은 미국의 전략폭격으로 인해 66개 시 도시권의 40%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