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음운 변동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동화, 비음화, 유음화, 조음위치, 동화], 공무원 국어

Jobs 9 2022. 12. 23. 07:59
반응형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자리 ( 단어경계 앞, 다른 자음 앞)에서 모든 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ㅇ' 7개 자음 중 하나로 소리나는 현상

홑받침 , 겹받침 소리 모두 7개 자음 중 하나의 소리로 난다는 것 은 맞으나 그 과정은 다르다.

홑받침의 경우, 음운교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어떤 음소(자음)가 음절의 끝소리 자리에서 파열음의 예삿소리(ㄱ,ㄷ,ㅂ)로 바뀌는 것이다.

예 )

겹받침의 경우, 우리말 음절 구조상 끝소리 자리에 하나의 자음만 올 수 있어서 겹자음 중 하나의 자음이 '탈락'하게 된다.

자음군 단순화 라고도 한다.

 

 

2. 동화 - 자음동화 - 비음화 / 유음화/ 조음위치동화

1) 비음화

비음화에는 역행동화에 의한 비음화(비음동화) , ㄹ의 ㄴ되기(치조비음화)가 있다.

역행동화에 의한 비음화는 음절 경계를 사이에 두고 뒤 자음이 '비음(ㅁ,ㄴ)' 인 경우 앞 자음(ㅂ,ㄷ,ㄱ)이 동화되어 같은 조음위치의 비음(ㅁ,ㄴ,ㅇ)이 되는 현상이다.

예) 국민 [궁민] , 닫는 [단는] , 앞문 [압문 > 암문]

ㄹ의 ㄴ되기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음성학적으로는 '교체'로 볼 수 있으나 문법에서는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으로 바뀐다는 측면에서 비음동화와 함께 묶고 있다.

ㄹ을 제외한 자음은 두 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 일반자음 뒤 : 공로 [공노] , 침략 [침냑] , 십리 [십니 > 심니] , 백로 [ 백노 >뱅노 ]

- ㄴ 자음 뒤 : 공권력 [공꿘녁]  , 결단력 [결딴녁]

그러나 ㄴ 자음 뒤에서 오히려 앞의 'ㄴ'이 'ㄹ'로 동화되는 경우가 있다 . 이를 (역행적) 유음화라 한다.

예 ) 권력 [궐력] 신라 [실라] 대관령 [대괄령] 광한루[광할루]

 

이렇게 우리말에는 ㄴ과 ㄹ 자음이 연쇄할때 치조비음화가 일어나기도 하고 유음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역사적 자료를 보면 유음화가 먼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음운현상이 아니므로  주로 한자어에서

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국어에서는 치조비음화가 선호되고 있음 (고유어, 외래어) 을 볼 수 있다.

 

2 ) 유음화

유음화는 유음 'ㄹ'에 인접한 비음 'ㄴ'이 유음 'ㄹ'으로 동화되는 현상이다.

**표준발음법에서는 유음화, 비음화, 구개음화의 상위개념을 '동화'로 보고 있다.

그리고 유음화 현상은 순행적 유음화와 역행적 유음화로 나뉜다.

- 순행적 유음화의 예 : 칼날 [칼랄] , 불놀이 [불로리] , 달님[달림]

- 역행적 유음화의 예 : 신라[실라], 대관령 [대괄령] , 권력 [궐력]

 

** 예외도 존재한다. 출산률 [ 출산뉼 O , 출살률 X ] , 입원료 [이붠료 > 이붠뇨 O, 이붤료 X ] 와 같이 치조비음화가 일어나기도 함.

 

3) 조음위치동화

한 자음이 인접한 다른 자음의 조음위치에 동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조음위치동화는 양순음화, 연구개음화 2가지 현상이 있다.

- 양순음화 : 치조음(ㄴ,ㄷ) 이 양순음(ㅁ,ㅂ) 앞에서 양순음으로 동화되는 현상   
예 ) 신문 [ 심문]

- 연구개음화 : 치조음 (ㄴ,ㄷ) 또는 양순음 (ㅁ,ㅂ)이 연구개음(ㅇ) 앞에서 연구개음(ㅇ,ㄱ)으로 동화되는 현상
예 ) 손가락 [송까락] , 옷감 [ 옫감 > 옥깜 > 오깜 ] , 감기 [ 강기] , 밥그릇 [ 박끄륻 ]

* 조음위치동화는 발음상의 편의를 추구하는 현상으로 수의적으로 일어나며 표준발음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 동화 - 모음동화 - 'ㅣ'모음 역행동화, 모음조화

 

1 ) 'ㅣ'모음 역행동화

앞음절의 후설모음(ㅡ,ㅓ,ㅏ.ㅜ,ㅗ)이 뒤음절의 전설모음 'ㅣ'에 이끌려 전설모음(ㅣ,ㅔ,ㅐ,ㅟ,ㅚ)으로 동화되는 현상이다.

동화주인 'ㅣ'와 피동화주 '후설모음' 사이에는 양순음이나 연구개음이 끼어 있다. 이 자리에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오는 경우 이 변동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예 ) 어미 [ 에미] , 먹이다 [ 멕이다 ] , 고기 [괴기] ,

* 'ㅣ'모음 역행동화는 발음상의 편의를 추구하는 현상으로 수의적으로 일어나며 표준발음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내기'(서울내기, 풋내기 등), '-쟁이'(멋쟁이, 소금쟁이 등), 냄비, 동댕이치다와 같은 단어들은 'ㅣ'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발음이 보편화 되어 이를 표준 발음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 'ㅣ'모음 뒤 이중모음화 ( 기어 [기여] , 미시오 [미시요] ) 역시 표준발음이 아니다. 다만, 되어, 피어, 이오, 아니오 는 모음으로 끝난 어간과 모음으로 시작한 어미가 결합한 경우로 발음 시 모음충돌을 피하기 위해  [ 되여, 피여, 이요, 아니요 ] 의 발음도 허용하고 있다.

 

2) 모음조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이다.

음성모음 : ㅣ, ㅔ, ㅟ, ㅡ ㅓ, ㅜ

양성모음 : ㅐ, ㅚ , ㅏ , ㅗ

 

용언의 어간, 어미 결합에서도 모음조화는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질은 점점 잘 지켜지지 않는 쪽으로 변해가고 있다.

예 ) 깨어 , 되어  등은 양성모음(ㅐ, ㅚ) 인데도 '어'형 어미와 결합

 

현대 국어에서는 'ㅏ,ㅗ' 두 모음만이 양성 모음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 ) 막아 , 보아

한편 ㅂ 불규칙 용언 활용에서 모음조화는 더욱 붕괴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 곱+와 > 고와 , 덥+워 > 더워  (단음절 어간에서는 'ㅏ,ㅗ' 만 양성모음 구실을 함)

     가깝+워 > 가까워 , 괴롭+워 > 괴로워 (다음절 어간에서는항상 'ㅓ'형 어미만 연결)

 

 

 

3. 축약 - 자음축약 , 모음축약  

축약 : 두 개의 음운이 하나로 합쳐지는 현상.

1) 거센소리되기 (유기음화)

자음 'ㅂ,ㄷ,ㄱ' 등과 'ㅎ'의 축약에 일어나는 음운 변동  ㅎ은 자음성이 약해서 탈락하거나 소리가 바뀌기 쉽다.

순행적 유기음화 : 용언 어간 끝자음 ㅎ, ㄶ,ㅀ 과 어미의 첫자음 ㄱ, ㄷ, ㅈ 이 만나면 거센소리 ㅋ,ㅌ,ㅊ, 로 바뀐다.

예 ) 노랗고 [노라코] , 많다 [ 만타 ] , 옳지 [올치]

* ㅈ은 [ㄷ]으로 발음되며, ㅂ이 없는 이유는 우리말에 'ㅂ'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없기 때문이다.

역행적 유기음화 : ㄱ,ㄷ,ㅂ,ㅈ, 의 자음이 먼저오고 ㅎ이 뒤따를 때 거센소리 ㅋ ,ㅌ, ㅍ,ㅊ 로 바뀐다.

예) 낙하산 [ 나카산], 닫히자 [ 다치다 ] , 법학 [버팍], 앉히고 [ 안치고]

 

2) 어간모음 'ㅗ,ㅜ,ㅣ' 와 어미모음 'ㅏ,ㅓ'의 결합

한 형태소의 끝모음과 다른 형태소의 첫모음이 만났을 때만 발생한다. ( 부엌>붴 , 기억 > 격 은  X )

어간모음 'ㅗ,ㅜ,ㅣ'는 어미모음 'ㅏ,ㅓ'와 결합할 때 , 어간모음이 반모음 'ㅜ(w)', 'ㅣ(j)' 로 바뀌면서 어미 모음과 축약되어

이중모음 'ㅘ,ㅝ,ㅕ' 를 형성한다.  그리고 축약된 모음은 장모음화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보 +아서 > 봐서 , 주+어라 > 줘라 , 덤비+었다 > 덤볐다

단, 지어라 [저라] 와 같이 경구개 자음 뒤에서는 'ㅣ' 에서 바뀐 반모음 'ㅣ'가 탈락하고 장모음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위 변동과 달리 과거에 일어났던 모음 축약이 있다. 

어근의 끝 모음과 피,사동접사 '-이-'의 모음 'ㅣ'가 축약되거나, 어간모음 'ㅚ'와 어미모음 'ㅓ'가 'ㅙ'로 축약되는 것이다.

예) 보+이+다 > 뵈다 , 되+어 > 돼

 

 

4. 탈락 - ㄹ탈락 , ㅎ탈락, 어간끝모음 'ㅡ'탈락, 어미 첫모음 'ㅏ,ㅓ' 탈락

1) ㄹ 탈락

ㄹ탈락의 환경은 아래와 같다.

① 어미 첫자음 'ㄴ,ㅅ' 앞에서 ㄹ이 탈락

예 )  울+는 > 우는 , 울 +소서 > 우소서  ( 같은 조음위치의 자음 앞에서 ㄹ이 탈락하는 것)

 

② 어미 첫자음과 결합해서 생긴 겹받침 중 하나를 줄이기 위해 ㄹ이 탈락

예) 울+-ㄴ > 운 , 울+-ㅂ니다 >웁니다 , 둥글+-는 > 둥근  (우리말 음절 구조상 종성 자리에는 하나의 자음만 올 수 있음)

 

③ 파생어, 합성어 형성 과정에서 자음 'ㄴ,ㄷ,ㅅ,ㅈ' 앞에서 ㄹ 이 탈락

예) 딸+님 > 따님 , 달+달+이 > 다달이 , 불+삽 > 부삽, 쌀+전 > 싸전

* 15C 국어에서는 ㄴ,ㄷ,ㅅ,ㅿ, ㅈ 류의 치조음 앞에서 어간 끝 ㄹ이 수의적으로 탈락하였으나 현대로 오면서

어미자음 ㄴ, ㅅ 앞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범위가 축소되었다.

 

2) ㅎ탈락

용언 어간 끝소리 ㅎ이 모음어미와 결합하면 탈락하는 현상이다. ㅎ의 소리값이 조음위치가 뚜렷하지 않아 생기는 현상.

예) 넣+어서 [너어서] , 끊+어서 [끄너서]

그러나 단어에서의 ㅎ 탈락은 수의적 현상으로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 전화[저놔], 올해[오래]

 

3) 어간끝모음 'ㅡ'탈락

어간 끝모음 'ㅡ'가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모음 중 'ㅡ'가 가장 약한 ㅗㅁ음이므로 탈락.

예) 끄+어라 > 꺼라 , 아프+아도 > 아파도

 

4) 어미첫모음 'ㅏ,ㅓ' 탈락 (동음탈락)

어간의 끝모음 'ㅏ,ㅓ' 뒤에서 어미첫모음 'ㅏ,ㅓ'가 탈락하는 현상. 여기서 '어미'모음이 탈락한다고 보는 것은

어간, 어미모음이 연속할때 'ㅡ'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미모음이 탈락하기 때문이다.

예) 가+아서 > 가서, 서+어도 >서도

* 깨+어>깨, 베+어 >베 처럼 어간끝모음 'ㅐ,ㅔ'도 어미첫모음 'ㅏ/ㅓ'앞에서 어미모음이 탈락하나 이 경우는 수의적이라

탈락하지 않은 형태도 널리 쓰인다.

 

5. 사이시옷 현상 (ㅅ첨가, ㄴ첨가)

두 개의 형태소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가 될 때 음운변동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원래 형태소나 단어가 가지고 있던 분절음 사이의 관계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코+등 의 경우 코가 모음(ㅗ)으로 끝났음에도 불구하도 등의 초성자음 'ㄷ'이 'ㄸ'으로 발음되고 

코+물 의 경우 앞말과 뒷말 사이에 없었던 'ㄴ'소리가 덧나는 것이 바로 그 예이다.

이는 합성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어떤 자음이 첨가된다고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위와 같은 변동을 겪기 위한 자음은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며, 흔히 위와 같은 합성 명사에 'ㅅ'을 적어온 우리말 표기의 역사를

고려하여 첨가음을 'ㅅ'으로 표기에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ㅅ 첨가에 따른 된소리되기 , ㄴ첨가를 묶어 사잇소리 현상이라 칭한다.

 

*단, 앞말이 이미 받침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한자어의 경우 원칙적으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기로 정하였으나  곳간 셋방 횟수 숫자 찻간 툇간 에 한해서만 사이시옷 표기를 허용한다.

***사잇소리현상은 같은 음성적 조건에서도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수의적)

**** 앞말이 받침소리를 가지고 뒷말 첫모음이 'ㅣ'나 'ㅣ'계 이중모음일때는 'ㄴ'이 첨가된다.

      예) 꽃+잎[꼳입>꼳+ㄴ+입>꼳닙>꼰닙] , 솔+잎 [ 솔입 > 솔+ㄴ+입 > 솔닙> 솔립] , 불+여우 [ 불+ㄴ+여우 >불녀우>불려우]

      예외) 김유신 [기뮤신] 삼일절 [사밀쩔] 송별연[송벼련] :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발음이 표준발음.

             검열 [거멸, 검녈] 야금야금 [야그먀금, 야금냐금] 이글이글 [이그리글, 이글리글] : 둘다 표준발음으로 인정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