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Humanities/서양사 Western History

북유럽 신화

Jobs 9 2022. 6. 14. 08:47
반응형


 

아스/아젠/아시르/애시르 신족
거인족과 전투를 하며 질서를 수호하는 전사집단으로 신화의 주역 집단.
오딘 - 신화의 주인공. 전쟁의 신, 지혜의 신, 마법의 신, 전사의 신, 죽음의 신, 폭풍의 신이면서 모든 신들의 왕인 주신이다. 그러나 지혜의 신이 한 눈을 대가로 바친다는 미친 짓을 했다는 점에서 딜레마가 된다. 현세의 모든 지식을 얻고, 창에 꿰인채 9일간 세계수에 매달린 끝에 죽음과 룬의 마법에 통달해서 마법의 신이자 전사의 신이기도 하다. 
로키 - 거짓말, 장난의 신.
토르 - 천둥의 신.
프리그 - 오딘의 아내. 가정의 신.
발두르 - 빛의 신, 정의의 신, 순수의 신, 사랑받는 신.
헤르모드 - 전령의 신
헤임달 - 태양의 신, 경계의 신, 아스가르드의 문지기 신.
티르 - 전쟁의 신, 의회와 법률의 신, 결투의 신이자 민중의 신이기도 하다. 오딘에게 밀려난 주신이다. 상당히 많은 기록에서 티르가 옛 주신이었다고 언급한다. 하지만 어떤 과정으로 주신에서 물러나게 된 건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펜리르의 입에 오른손을 넣어 결국 팔을 잃은 신이 바로 이 신인데, 민중의 신이 민중의 의견을 대표할 때 사용하는 오른팔이 없다는 것이 아이러니 이를 '주신격의 상실'을 의미한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포르세티 - 법의 신으로 발두르와 난나의 아들이며 글리트니르리고 하는 성을 소유하고 있다.
우르 - 활과 스키의 신. 스카디의 새 남편.
스카디 - 겨울의 여신. 거인 티야치/트야치의 딸. 본디 거인의 일원이었으나 뇨르드와 결혼하면서 아스가르드에 입주했으며 이후 대모신의 성향도 띈다. 어느 판본에는 뇨르드와 성격차로 이혼 후 우르와 재혼한다는 버전도 있다.
시프 - 금발의 여신, 토르의 아내. 스루드의 어머니.
시긴 - 로키의 아내. 처벌받는 로키를 간병하던 아내.
이둔 - 생명의 여신.
브라기 - 시와 스칼드의 신. 수퉁의 딸 군로드와 오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둔을 아내로 두고 있다.
운명의 3여신 - 노른
베르단디
스쿨드
우르드
발리 - 복수의 신.
비다르
회니르 - 헤니르, 또는 호니르라고도 한다. 오딘의 그림자 역할을 한 신으로 중요한 신화에서는 별로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딘의 동행자', '오딘의 추종자', '오딘에게 신뢰받는 자' 등의 호칭으로 불리고 있다. 또 로키의 별명에 '헤니르의 친구'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로키와도 친했던 것 같다. 실제로 로키와 함께 오딘을 수행했다는 신화가 몇 가지 남아 있지만, 대부분 오딘과 로키가 모든 문제를 해결해버리기 때문에 헤니르는 거의 잘 드러나지 않는다. 애시르 신족-바나 신족 간의 전쟁 이후 미미르와 함께 바나에게 인질로 갔는데 여기서 다소 아둔한 신으로 묘사되어, 모든 결정을 할 때마다 미미르에게 물어보고 미미르가 없으면 우물쭈물 대답을 회피한다. 특기는 재빠름이라서 '긴 다리의 신'이라든지 '몸 동작이 빠른 신'이라든지 하는 호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 외에는 이렇다 할 만한 특기가 없다. 앞을 내다볼 줄 아는 과묵한 신이나 그에게는 왕으로서의 자질이 부족했기 때문에 '미친 왕'이라든지 '신 중에서 가장 겁이 많은 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의 별명 중 하나가 '진흙/늪지 왕'이고, 페로 제도의 전승 중에서는 그가 물새들(특히 백조 등)을 관장했다는 전승도 있기에 그의 별명인 '긴 다리'하고 '몸 동작이 빠른 신'이랑 연관지어서 원래는 두루미나 왜가리 따위의 물새와 관련된 신이었다고도 추측된다. 인간에게 자유의지와 이성, 열정을 주었다는 전승이 있다. 라그나로크 이후에도 살아남아 세계의 재생을 지켜본다. 오딘의 형제 빌리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마침 빌리(Vili)는 영어로 의지를 뜻하는 윌(will)과 어원이 같으니 더더욱.
로두르 - 오딘, 헤니르와 함께 세계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만들면서 인간에게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주었다고 하는데 그것 외에는 거의 등장과 언급이 없다. 빌리와 베, 로키, 프레이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정설은 없다.
오드
호드
에이르 - 치유의 여신
사가 - 이야기의 여신으로 오딘의 아내(첩)이다. 아스가르드에서 소크바베크라는 영역을 소유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이며 아들로는 시의 신 브라기가 있다.
풀라, 흘린, 그나 - 프리그를 수행하는 3 위의 여신들로 풀라는 프리그와 모든 비밀을 공유하고 있고, 흘린은 프리그가 지키고 싶어하는 자들을 수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나는 프리그의 의지를 세상으로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쇼픈 - 감각과 사랑의 여신
로픈 - 상냥함의 여신. 자신을 향해 부르짖는 이들의 기도를 들어준다. 또한 오딘과 프리그의 허락을 받아 여신이 선택한 연인들을 반드시 이어주는 역할도 겸임한다. 영어로 사랑의 뜻하는 Love의 어원이 되는 여신.
바르 - 약속의 여신. 맹약을 어긴 자에게 가차없는 보복을 가한다.
보르 - 지혜의 여신. 아무도 이 여신을 속일 수 없다.
쉰 - 진리의 여신. 마땅하지 못한 자(거짓을 일삼는 자)들이 프리그의 성채에 발을 딛으려는 것을 물리친다. 또한 티르와 포르세티처럼 법정의 수호신 역할도 겸비하여 거짓말하는 자를 축출해낸다고 한다.
스노트라 - 겸양의 여신. 오딘과의 사이에서 나온 아들이 고트족의 조상이 된다.
모디와 마그니 - 토르와 거인 야른삭사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 라그나로크 이후 성인으로 성장하여 전사한 아버지의 유품인 묠니르를 발견한다. 이후 지하에서 돌아온 숙부인 발데르와 숙모 난나, 작은숙부 호드, 라그나로크때 살아남은 숙부 비다르와 다시 만나서 다시 한 번 이 세계를 다스리는 존재가 된다.
발키리
스루드 - 토르의 딸. 발키리.

 

 

바나 신족/바니르 신족
평화와 풍요를 중시하는 온화한 신족. 에시르에 흡수되었다고 한다.
뇨르드 - 프레이르와 프레이야의 아버지로 거주지는 항구도시 노아툰. 해양세계인 세(Sæ)를 다스린다. 라그나로크 이후에도 살아남은 몇 안되는 신.
프레이르 - 프레이야의 오빠. 풍요와 번영, 수확과 정력의 신.
프레이야 - 프레야. 다산과 풍요, 미의 여신.
난나 - 식물의 여신. 발두르의 아내.
굴베이그 - 이름의 뜻은 '황금의 열망'. 추한 노파의 모습이나, 모든 자를 현혹시키고는 사라져 모든 자에게 황금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남겼다. 프레이야와 동일한 존재라는 설이 있으며, 굴베이그의 존재가 바니르 신과 애시르 신과의 불화를 촉발했다 전해진다.
네르투스(Nerthus) - 로마의 기록에 등장하는 게르만 신화의 여신. 풍요와 대지의 여신으로, 이름의 어원이 뇨르드와 동일하다시피 한 데다가 노르드어로 대지가 '요르드'이기 때문에 뇨르드와 네르투스는 같은 신격에서 갈라져 나온 부부신으로 으레 여겨진다. 흔히 뇨르드의 누이이자 아내인 여신으로 추측되기에 여기에 기재. 기록에 한 번 언급된 게 전부인 여신 '뇨룬(Njörun)'이 그녀의 또다른 이름이라는 가설도 있다.


발라
솔과 마니
알파두르

 

요툰(요트나르, 거인)
게이로드 - 동명이인의 인간이 있다.
미미르 - 미미르의 샘 참조.
우트가르드 로키 - 우트가르드의 왕.
이미르 - 최초의 거인.
흐룽그니르
트야치 - 스카디의 아버지
에기르와 란 - 바다의 신 부부.
요르드(Jord) - 땅의 여신. 표르귄 혹은 흘로뒨이라고도 불리며, 토르의 어머니다.
야른삭사(Jarnsaxa) - 맨 몸으로 적진을 향해야 했던 토르에게 자신의 장비들을 빌려준 여자 거인. 마그니의 어머니.
게르드 - 프레이의 부인.
파르바우티 & 라우페이 - 로키의 부모.
수르트 - 신들의 전쟁 라그나로크 때 침입한 불의 거인족(무스펠)의 왕. 화염으로 휩싸인 검을 휘둘러 이그드라실을 불태웠는데, 이때 사용된 것이 레바테인으로 알려진 그 칼이라고도 한다.
트림 - 묠니르를 훔치고 프레이야를 차지하려 한 거인 왕.
히미르 - 티르 신의 아버지(판본에 따라서는 양아버지 또는 외할아버지)
앙그르보다 - 로키의 아내. 펜리르, 요르문간드, 헬의 어머니.
로기 - 우트가르드 로키가 낸 시험에서 로키를 패배시킨 불의 신(불 그 자체가 형상화된 요툰). 에기르의 형제라는 판본이 있다. 아내는 글로드/글루트이며, 딸들은 에이사(Eisa)와 에인뮈랴(Einmyrja).
카리 - 바람의 신(바람 그 자체가 형상화된 요툰). 아들은 서리와 고드름의 신 프로스티/요쿨, 손자는 눈의 신 스내르. 역시 로기처럼 에기르의 형제라는 판본이 있다.
비드블린드 - 스노리가 편집한 신 에다에만 이름이 언급되는 거인으로, 고래를 물고기처럼 잡았으며, 그런 이유로 고래는 비드블린디의 멧돼지라고 불렸다고 한다.
스크림슬리- 덴마크 서쪽 페로 제도의 민담 '로카 타투르'에서 등장하는 거인으로 어느 농부와 내기 체스를 해서 이긴 대가로 그 농부의 아들을 데려가려 하였고, 이에 농부가 오딘과 회니르한테 도와달라고 기도를 했으나 스크림슬리한테 모두 패배하자, 농부의 기도를 들은 로키가 나타나서 스크림슬리를 죽이고 농부와 그의 아들을 구해주었다고 한다.
볼토른(Bölþorn) - 베스틀라의 아버지이자, 오딘의 외조부. 이름만 언급된다.
수퉁 - 마시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워지는 효과를 지닌 꿀술을 가지고 있었던 거인. 그러나 오딘에게 속아 꿀술을 모두 빼앗겼다. 가족으로는 형제 바우기와 딸 군로드, 그리고 군로드와 오딘 사이에서 태어난 시의 신 브라기가 있다.
흐레스벨그 - 세계의 북쪽 끝에 살며 모든 바람의 근원이라고 하는 흰 독수리. 수리의 모습을 한 요툰이라고 한다.

 

인간
인간
리프(♀)(의미 : 생명)와 리프트라시르(♂)(의미 : 생명을 사랑하는 자) - 라그나로크 이후 살아남은 인간 남녀로 신인류의 시조가 된다.
아셰라드 - 1번 문단. 민간전승의 등장인물로 엄밀히 말해 신화의 인물은 아님.
아스크르(Askr)(♂)와 엠블라(♀) - 오딘과 그 형제들에 의해 만들어진 인류의 시조
시구르드/지크프리트
브륀힐드
티알피 - 토르의 시종. 달리기 최강.
하르바르트 - 토르를 엿먹인 뱃사공
스키르니르 - 프레이르의 시종.
로스크바 - 토르의 시종.
크바지르 - 오딘이 애시르 신족과 바니르 신족의 침을 합쳐 빚어서 만든 현인으로 신들을 대변하는 임무를 맡았다.
게이로드 - 오딘의 총애를 받은 왕, 나중에 오딘이 축복을 거두면서 죽는다. 같은 이름을 가진 요툰족이 있다.
대장장이 뷜란트 - 설화 속 인물. 앉은뱅이 대장장이. 나중에는 엘프로 묘사되기도 하며, 독일어로는 '빌란트', 영어로는 '웨일런드'라고 전해진다. 대장장이 신으로 모셔진 것으로 추측.
디트리히 폰 베른
헬기
구드룬
시그문드
아슬라우그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난쟁이/드워프
안드바리
알베리히
알비스
레긴
브록크 & 에이트리 : 토르의 망치, 묠니르를 만든 대장장이 형제.
이발디
이발디의 아들들
퍌라르 & 갈라르 : 크바지르를 살해하고 그의 피로 지혜와 지식을 선사하는 마법의 술을 만든 사악한 난쟁이 형제.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지역

긴눙가가프 - 태초의 아가리, 무저갱
나스트론드 - 니드호그의 영역, 지옥
위그드라실 - 세계수
무스펠헤임 - 불꽃과 열기의 세계
니플헤임 - 안개와 한기의 세계
미드가르드 - 중간계:인간들의 세계
발할라 - 전사들의 낙원, 에인헤야르의 거주지
비프로스트 - 지상계와 천상계를 잇는 무지개다리
아스가르드 - 아스 신족의 세계
알브헤임 - 빛의 알프들의 세계
스바르트알파헤임 - 어둠의 알프들의 세계
니다벨리르 - 난쟁이들의 세계
요툰헤임 - 거인들의 세계
바나헤임 - 바나 신족의 세계
헬 - 죽은 자들의 세계
우르드의 샘 - 생명의 샘,운명의3자매(노른)거주지
미미르의 샘 - 지혜의 샘
흐베르겔미르의 샘 - 질투의 샘. 세상 모든 강줄기의 원류.
야른비드르 - 미드가르드의 동쪽, 혹은 요툰헤임에 있는 철의 숲
엘리바가르 - 열한 줄기의 강

 

 

특별한 물건
걀라르호른(Gjallarhorn) - 헤임달이 가진,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뿔피리.
궁니르 - 난쟁이인 이발디 형제가 만든 보물, 로키가 주도한 브룩 형제와의 경쟁에서 만든 3가지 보물중 하나, 오딘의 창, 빗나가지 않는 필중의 창.
그람/노퉁/발뭉 - 영웅 시구르드, 또는 지크프리트의 검.
글레이프니르 - '열린 것', 펜리르를 묶은 마법의 끈.
나겔링
나글파르 - '손발톱의 배'.
드라우프니르 - 난쟁이인 브룩 형제가 만든 보물, 궁니르와 마찬가지로 경쟁에서 만든 3가지 보물중 하나로 오딘에게 큰 부를 가져다줌. 9일마다 아홉배로 늘어나는 황금의 팔찌, 혹은 반지.
레바테인
메긴기요르드 - 힘의 허리띠.
묠니르 - 브룩크,에이트리 형제가 만들다가 로키의 방해를 받아 손잡이가 짧아졌다. 드라우프니르와 마찬가지로 브룩 형제가 만든 보물중 하나로 수많은 거인을 죽이게 되는 망치이다. 아무리 멀리있더라도 다시 돌아오는 망치. 토르가 자고있을때 거인 스림에게 뺐기게되지만 프레이야로 변장해 신부로 잠입해서 묠니르를 되찾고 스림을 죽임.
미뭉
미스틸테인 - 가장 사랑받는 신을 죽인 겨우살이의 나뭇가지.
브리싱가멘 - 가장 아름다운 목걸이.
스키드블라니르 - 신의 배.
에케작스
야른그레이프
티르빙

 

 

특별한 동물
가름 - 헬의 입구를 지키는 파수견.
게리 & 프레키 - 오딘이 데리고 다니는 늑대로 게리는 탐욕스러운 자, 프레키는 굶주린 자라는 의미가 있다.
굴린부르스티/힐디스비니 - 말보다 더 빠르게 달리는 황금 멧돼지로 프레이의 탈것이다.
굴린캄비 - 발할라에 있는 수탉으로 황금 털과 볏을 가지고 있다. 라그나로크가 시작되면 크게 울어 전사들에게 개전을 알린다.
굴팍시(Gullfaxi) - 거인 흐룽그니르가 타고다니던 말. 흐룽그니르 사후 토르가 거두어 아들 마르니에게 주었다. 슬레이프니르에 준하는 명마라 오딘이 탐을 냈다.
그라니(Grani) - 슬레이프니르의 자식이자 영웅 시구르드가 타고 다녔던 말
니드호그 - 독이빨로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는 드래곤. 흐베르겔미르 샘의 지킴이 역할도 맡고 있다.
다인 & 드발린 & 두네위르 & 두라스로르 - 이그드라실 가지에 살고있는 네마리의 수사슴
고인 & 모인 & 그라프비트니르 & 그라바크 & 그라프볼루드 & 오프니르 & 스바프니르 - 이그드라실 밑둥에 살고 있는 일곱 마리의 뱀
라타토스크 - 위그드라실에 사는 다람쥐로 이유는 불명이지만 니드호그와 이름모를 거대한 수리를 이간질시킨다.
무닌 & 후긴 - 오딘이 데리고 다니는 까마귀로 무닌은 기억, 후긴은 감정이라는 의미가 있다.
이름 없는 수리 - 위그드라실의 꼭대기에 살고있는 이름 모를 거대한 수리. 니드호그와 항상 싸운다.
베드르폴니르 - 이름모를 거대한 수리의 눈썹 위에 붙어다니는 매.
스콜 & 하티 - 펜리르의 두 자식으로 스콜은 태양을 하티는 달을 먹으려는 늑대이다. 라그나로크의 알림이. 일식과 월식의 원흉.
슬레이프니르 - '미끄러지듯 걷는 자', 여덟 다리의 말. 오딘의 탈것이다.
스바딜페리 - 슬레이프니르의 아버지가 되는 숫말
에이크쉬르니르 - 발할라 지붕위에 사는 수사슴. 이그드라실의 가지를 씹으며, 그 뿔에서 스며나온 물이 떨어져 흐베르겔미르에 모여서 세상 모든 강물의 원류가 된다.
신팍시 & 림팍시 - 낮을 가져오는 말과 밤을 가져오는 말 자매.
아바크르 & 알스비드르 - 태양의 여신 솔의 마차를 끄는 말 두 마리.
아우둠라 - 태초의 거인 이미르에게 젖을 먹인 태고의 암소
요르문간드 - 로키의 세 자식중 한명, 세계(미드가르드)를 감싸고도 자신의 꼬리를 물 정도로 거대한 뱀으로 독을 뿜는다. 라그나로크때 토르와 싸워 죽으나 토르를 독에 중독시켜서 죽인다.
제림니르 - 발할라에 모인 에인헤야르를 위해 도축되는 돼지로, 죽은 뒤 다시 살아난다. 라그나로크가 벌어졌을 당시, 에인헤야르를 위한 제림니르가 한참이나 남아있었다는 언급이 있어, 에인헤야르가 예정치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을 가늠하는 지표로도 쓰였다.
탕그뇨스트 & 탕그리스니트 - 토르가 데리고 다니는 염소. 티얄피가 이 염소의 뼈를 망가뜨린 죄를 갚기 위해 토르의 시종이 되었다.
파프니르 - 영웅의 손에 쓰러지는 사악한 드래곤.
펜리르 - 로키의 세 자식중 하나인 늑대로 오딘이 라그나로크때 펜리르에게 물려죽는 꿈을 꾸게되어 다른 신들과 함께 펜리르를 속여 글레이프니르로 속박한다. 후에 큰 지진이 일어나 속박이 풀리자 라그나로크때 오딘을 물어죽였으나 오딘의 아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헤이드룬 - 발할라 지붕위에 사는 산양. 발할라 지붕에는 이그드라실의 가지가 있는데, 이 가지에서 난 이그드라실의 나뭇잎을 뜯어 먹고 젖대신 벌꿀술을 만들어 낸다. 이 벌꿀술은 위의 제림니르와 함께 에인헤야르의 주식중 하나였다.
흐레스벨그 -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흰 독수리/매로 세계의 북쪽 끝에 앉아있는데 그 날갯짓은 모든 바람의 근원이 된다고 전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