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만선, 천승세, 희곡, 장막극(3막 6장), 비극, 사실주의극

Jobs 9 2022. 5. 17. 17:01
반응형

만선(滿船)(1965)

천승세

● 줄거리
1965년 국립극장 현상모집에 당선된 천승세의 희곡 작품이다. 칠산 앞바다를 배경으로 하여 가난한 어부 곰치 일가의 비극적 삶을 부서떼의 출현과 결부시키면서 가난을 극복하려는 그들의 몸부림과 비극적 좌절을 탁월하게 형상화해 놓고 있다.

이 작품은 칠산 앞바다에 몇 십 년만에 나타난 부서떼를 계기로 시작된다. 가난하지만 노력한 어부이자 강한 자부심의 소유자인 곰치는 이제 고대하던 만선의 꿈을 실현하려 한다. 고리대와 가난에 시달려온 이들에게 고기잡이는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다. 이때 첫 번째 장애가 다가오는데, 선주 임제순의 고리대 변제 요구가 그것이다. 그는 선변제를 요구하며 배를 묶고 또 다른 열악한 계약을 강요한다. 곰치 일가의 꿈이 인간사회의 불평등한 구조 앞에서 좌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고기잡이에 대한 욕구는 운명처럼 강렬하여 곰치는 아들 도삼과 함께 결국 바다로 나가지만 이미 부서떼는 이동해 버린 후였다. 이 두 번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은 지나치게 부서떼를 뒤쫓다가 배는 전복되고 곰치만이 구조된다. 이 과정에서 아들을 잃고 실성한 곰치의 아내 구포댁은 빚 변제 요구에 딸 슬슬이를 주막집 주인 범쇠에게 팔아 넘기고 어린 아기를 배에 실어 바다로 내보낸다. 배가 있는 범쇠에게 슬슬이를 시집 보낸다고 스스로 위로하며, 어린 아기는 뭍으로 보내 어부를 시키지 않겠다고 하는 그녀의 환상적인 해결 방식은, 결국 슬슬이의 자살을 야기하며 아기의 익사를 암시한다. 운명적인 가난을 벗어나려는 그들의 꿈이 현실 속에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강한 암시가, 구포댁의 이러한 행동 속에서 더욱 처절하고 강렬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이 희곡 작품은 이러한 강한 주제로 인하여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고, 긴박한 대사 처리와 호흡, 그리고 잘 짜여진 구성 때문에 모범적인 희곡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 감상 및 이해
남해안의 작은 어촌을 배경으로 대자연과 싸워 나가는 어촌 사람들의 끈질긴 삶의 의지를 사실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작품이다. 만선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않는 곰치의 끈질긴 의지와 그에 맞서 하나 남은 갓난 아들을 지켜 내고자 하는 곰치의 아내 구포댁의 갈등이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만선을 둘러싼 인물 간의 갈등 외에도 인간과 자연의 갈등, 빈부 차이에 의한 갈등, 숙명과 의지의 갈등 등 다양한 갈등 양상이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은 1960년대 어촌을 배경으로 어민들의 비극적인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한 희곡이다. 억센 사투리로 짙은 향토성을 구현하고 있으며, 다양한 갈등 양상을 통해 어부의 비극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곰치가 만선에 대한 강한 집념을 갖고 자연과 숙명에 도전하는 모습은 자연과 인간, 숙명과 인간의 갈등 양상을 보여 준다. 이러한 갈등은 숙명에 도전하려는 곰치와 숙명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아내의 대립을 통해 더욱 첨예화되고 있다. 이 작품의 비극성은 실성한 아내가 갓난아이를 배에 실어 육지로 띄워 보내고 곰치의 딸인 슬슬이가 자살하는 데서 최고조에 이른다. 주인공의 굽힐 줄 모르는 집념과 의지가 오히려 파멸의 원인이 되는 비극의 한 전형을 보여 주고 있다.   


● 정리하기
- 성격 및 갈래 → 희곡, 장막극(3막 6장), 비극, 사실주의극
- 구성
* 발단 : 부서 떼가 몰려들자 만선의 꿈을 꾸는 곰치
* 전개 : 배를 묶어 이득을 챙기려는 선주 임제순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곰치
* 절정 : 만선의 꿈을 이루지만 거센 풍랑에 잡은 고기와 도삼 연철까지 잃은 곰치
* 하강 : 곰치에게 빚을 갚으라고 독촉하는 임제순
* 대단원 : 구포댁은 갓난아이를 배에 태워 육지로 보내고, 슬슬이는 자살함.
- 배경 → 시간적(여름), 공간적(남해안의 어느 어촌)
- 갈등 → 인물과 인물 간의 갈등, 인물과 자연 간의 갈등, 빈부 간의 갈등, 숙명과 의지 간의 갈등
- 주제 → 한 어부의 만선에 대한 집념과 도전 의지(인간의 도전과 좌절)
- 특성
1) 사투리와 비속어를 사용하여 인물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2) 대조적인 성격을 지닌 인물들 간의 갈등이 첨예하게 나타남.

 

● 참고자료
◆ 희곡의 구성 요소
1. 형식적 요소
⑴ 해설 : 희곡의 맨 처음에 나오는 지시문. 등장인물, 장소, 무대 등에 대한 설명을 해 줌.
⑵ 지문 : 대화 중간에 인물의 동작, 표정, 심리 상태 등을 설명하거나, 조명, 효과, 배경 등을 지시해 줌.
⑶ 대사
* 대사의 종류
① 대화 : 등장인물들이 서로 주고받는 말
② 독백 : 등장인물이 혼자서 중얼거리는 말
③ 방백 : 다른 등장인물에게는 들리지 않고 관객에게는 들리는 것으로 약속되어 있는 독백. 인물의 내면 심리나 의식 등을 관객에게 전달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대사의 기능 → 대사는 행동의 한 양식으로, 사건을 진행시키며 분위기를 드러냄. 인물의 생각, 성격을 나타냄. 무대 밖 사건에 관한 정보를 관객에게 전달해 줌.
2. 내용적 요소
⑴ 인물 : 의지적, 전형적, 개성적으로 창조되기 때문에 등장인물의 수나 성격 유형에 제한이 따름. 갈등과 의지의 투쟁을 보여 주는 인물을 등장시켜 극적인 효과를 뚜렷이 드러내야 함.
⑵ 행동 : 생략, 압축, 집중, 통일된 특성을 보임. 갈등과 긴장을 동반하는 것이어야 함.
⑶ 주제 : 인생의 단면을 집약적으로 보여 줌.
 
◆ 희곡의 인물
희곡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을 극 비평에서는 다음 세 유형으로 나눈다.
① 등장인물(person) : '정신적인 개체로서의 인간'을 말한다. 이 말은 라틴어의 'persona'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의미는 배우가 사용하는 가면을 뜻한다. 그러한 의미를 음미해 본다면 희곡에서의 등장인물은 곧 연극의 가면이라는 뜻이 된다. 
② 형상인물(figura) : 이 낱말은 라틴어의 'figura'에서 연유된 말로 조형물 또는 형상물이라는 의미이다. 이 말은 작가의 피조물로서의 인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곧 작가에 의한 인공적인 인물이다. 
③ 성격(character) : 그리스어인 'charakter'에서 연유된 말로서 원래 낙인 인쇄, 각인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오늘날 'character'는 개성, 특성으로 이해하지만 전형이라는 개념과도 관련을 갖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희곡 작품에서의 등장인물을 캐릭터라는 용어로 즐겨 사용하고 있다. 

◆ 희곡의 인물 형상화 기법
희곡에서의 인물 형상화 기법은 크게 인물을 통한 방법과 내포 작가의 시각에서 묘사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둘을 각각 다시 명시적인 것과 암시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인물을 통한 방법을 명시적 기법과 암시적 기법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으며, 내포 작가의 시각에서 묘사하는 방법도 명시적 기법과 암시적 기법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인물을 통한 기법
⑴ 명시적 기법 : 인물이 대사로 스스로나 타인을 형상화하는 경우이다. 독백이나 대화를 통한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언급은 인물의 시각에 의해 제한된 주관적인 이해를 표현한다. 
⑵ 암시적 기법 : 비언어적인 것과 언어적인 것이 있다. 비언어적인 것이란 인물의 태도, 행동, 외양, 표정, 의상, 소도구, 극적 공간 등을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는 기법이다. 언어적인 것으로는 음색, 언어 표현 방식, 방언 등이 있다. 
2. 내포 작가의 시각으로 형상화하는 기법
⑴ 명시적 기법 : 지시문을 통해 등장인물을 묘사하거나 인물의 특성을 직접 드러내는 이름 등을 이용하는 기법이다. 특히 지시문을 통해 인물의 외양을 묘사하고 작가가 해석을 덧붙인 경우 수용자의 독서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⑵ 암시적 기법 : 등장인물의 공존과 대립을 통해 형상화하거나 혹은 인물의 특성을 내포하며 은유하는 이름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잡스9급 PDF 교재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