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Humanities/책, 고전, 읽기 Reading, Books

귀소본능,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결국 집으로 돌아간다

Jobs 9 2022. 2. 3. 11:03
반응형

귀소본능 / 베른트 하인리히

정확한 나의 위치 인식하는게 바로 집으로 향하는 출발지점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이 깃들이는 ‘집’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오래 떠나왔다가도 생의 어느 순간에 그곳으로 돌아가게 하는 ‘귀소(歸巢)’ 본능을 생물학적 관찰과 연구에다 철학적 사고까지 보태서 잘 비벼낸 책이다. 저자는 곤충생리학과 동물행동학 분야의 주목받는 저작을 잇달아 펴내 자연사 부문에서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생물학자다. 두루미와 물고기, 곤충, 새, 양서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들의 집과 귀소본능에 대해 다룬 이 책은, 저자가 버몬트대 교수직에서 퇴임한 뒤 고향 메인주로의 귀향을 꿈꾸고 있었던 시절 집필됐다. 

그는 책머리에서 다른 연구를 진행하면서 귀소에 대한 연구와 집필작업을 뒤로 미뤄두었는데, 그러다 스스로 귀향을 생각하면서 다시 책상 앞에 앉게 됐다고 술회한다. 강단에서 퇴임한 학자가 자신이 유년시절을 보낸 메인주의 숲으로 되돌아가길 소망하면서, 귀소성과 관련해서는 동물 무리에서 벌어지는 일이나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이 용어만 다를 뿐 별반 차이가 없다는 자각과 깨달음을 얻게 됐고, 이런 깨달음이 곧 펜을 다시 드는 계기가 됐다는 얘기다. 

이 책을 관통하는 저자의 핵심적인 질문은 ‘우리는 왜 집으로 돌아가는가’이다. 알래스카에서 호주까지 1만㎞에 육박하는 거리를 쉬지 않고 밤낮을 날아가는 큰뒷부리도요는 이동 과정에서 체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남김없이 소진하고 근육과 소화관을 비롯해 내장기관에 이르기까지 뇌를 제외한 모든 신체기관이 손상돼 몸무게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수많은 철새는 왜 이런 고행과도 같은 고통스러운 비행을 하는 것일까. 저자는 다양한 동물들의 회귀 방법과 함께 그토록 돌아가고자 하는 ‘집’은 그들에게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도 덧붙인다.

이 문제의 해답을 얻기 위해 저자는 끊임없이 관찰하고 연구한다. 텍사스나 멕시코에서 출발해 5000㎞ 떨어진 알래스카의 늪지로 날아오는 두루미는 대체 어떻게 광활한 침엽수림에 펼쳐진 수천 개가 넘는 얼음언덕 중에서 자신의 보금자리를 정확하게 알고 해마다 찾아오는지, 꿀을 따서 벌집으로 정확하게 찾아가는 꿀벌은 자신이 있는 위치를 어떤 방법으로 파악하는지, 뱀장어는 산란기를 앞두고 얼마나 먼바다 한가운데까지 헤엄쳐 가는지, 8개월 동안 서로 몸을 포갠 채 동면하는 수천 마리의 무당벌레는 어떻게 공동 동면 장소를 아는지 등을 놓고 저자는 관찰과 연구를 거듭한다. 더불어 인간은 왜 집을 가진 이후 이동에 제약을 받고 집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는지, 왜 때가 되면 집을 떠나야 했는지 등을 과학적이고 분석적으로 들여다보는 대목도 있다. 저자의 집요한 시선은 경계가 없다. 수리남의 미개척 산림지대부터 집 안에다 거미줄을 친 거미에 이르기까지, 군락을 지어 대규모 이동을 하는 나그네 비둘기부터 묘목을 심어 기른 밤나무와 사과나무 숲까지. 그의 관찰과 기록은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단순한 생물학적인 사실만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물들의 귀소본능 얘기를 다루다가 어린 시절 독일에서 살다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온 이민가정의 저자는 유년시절 처음 정착했던 메인주의 농장과 가족사, 그리고 퇴임 후 꿈꾸는 귀향 얘기 등을 슬쩍 끼워 넣는다. 이 책이 생물들의 이주와 집짓기, 귀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저자의 세밀하고 집요한 탐사의 기록인 동시에, 이런 일련의 과정에 대한 철학적이고 인문적인 해설서로 읽히는 건 그래서다. 저자가 들려주는 생물들의 귀소에 대한 이야기 속에서 자꾸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건 풍부한 생물학적 지식을 풀어놓다가 슬쩍 인문적으로 변주해내면서 보여주는 저자의 깊은 통찰력이다.

저자가 들려주는 생물들이 집으로 향하는 긴 여정에 대한 이야기들은, 때로 삶의 태도를 묻는 중의적인 질문으로 들린다. “자신이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야말로 삶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문제”라는 저자의 설명은 생물들이 제집으로 돌아가는 시작 지점이 내가 어디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 있는 것일까. 저자가 내린 결론에 따른다면 ‘우리는 자신이 어디쯤 있는지에 대해서 아직 명쾌한 해답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지금 어디 있는지 알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이 책은 돌아갈 집에 대한 진정한 의미와 행복, 치유의 본능인 귀소의 가치를 가르쳐준다. 저자가 끈질기게 관찰하고 기록한 수많은 생물의 놀랄 만한 사례를 통해서 말이다. 

1부 | 태어난 곳, 옛집으로 귀향하다
캐나다두루미 밀리와 로이의 귀향
벌들의 경이로운 소통방식
저마다의 낙원을 찾아 이동하는 동물들
자연의 신호를 읽어내는 법
냄새로 어떻게 집을 찾을까
집터 후보지를 탐색하다

2부 | 동물들이 집을 짓고 가꾸는 법
정교하고 아름다운 동물들의 건축술
안락한 집을 떠나 대자연 속으로
집을 찾는 불청객들
우리 집 샬롯의 거미줄 집도 ‘특별하다’
사회성을 띤 동물들의 공동주택

3부 | 왜 회귀하는가
네 그루의 밤나무로 인공적인 숲 경계를 무너뜨리다
나무와 돌에 얽힌 집의 기억
우리가 즐겨 걷는 숲속의 길, 그리고 따뜻한 오두막집
따뜻한 온기를 품은 난롯가가 곧 집이 되었다
무리를 따라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