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한국사 인물 169

경순왕(敬順王), 통일신라 제56대(재위:927~935) 왕, 경주의 사심관(事審官), 마의태자(麻衣太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56대(재위:927~935) 왕. 재위 927∼935. 신라의 마지막 왕으로서 나라를 고려 태조에게 바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성은 김씨, 이름은 부(傅)이며, 문성왕(文聖王)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의흥대왕(懿興大王)으로 추봉된 관○(官○, 혹은 實虹·乍慶)이며, 아버지는 신흥대왕(神興大王)으로 추봉된 효종(혹은 할아버지라는 설도 있음)이고, 어머니는 헌강왕(憲康王)의 딸인 계아태후(桂娥太后)이다. 왕비는 죽방부인(竹房夫人) 박씨이며, 큰아들은 마의태자(麻衣太子)이고 막내아들은 범공(梵空)이다. 고려에 항복한 뒤에 왕건(王建)의 장녀 낙랑공주(樂浪公主)와 다시 결혼하였다. 경명왕(景明王)이 즉위할 무렵 이미 지방에는 궁예(弓裔)와 견훤(甄萱)의 정권이 형성되어 세력을 다투고..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충선왕 왕비

고려후기 제26대 충선왕의 왕비.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이름은 보탑실련(寶塔實憐)이다. 할아버지는 원 세조 쿠빌라이의 장자 짐김[眞金]이며, 아버지는 진왕(晉王) 감말라[甘麻剌]이다. 동생은 원 진종[晋宗, 6대 황제 태정제(泰定帝)]이다. 1296년(충렬왕 22) 충선왕이 세자로 원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다. 1298년 충선왕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어 궁을 중화궁(中和宮), 부를 숭경부(崇敬府)라 하였는데, 특히 숭경부는 좌우사윤(左右司尹)을 두어 장관체제의 특혜를 누렸다. 1309년(충선왕 복위 2)에 원으로부터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로 봉해졌다. 1315년(충숙왕 2) 원에서 사망하였다. 혼인동맹의 중요성과 자신의 위상을 잘 알고 있었던 계국대장공주가 고려에 들어올 때 고려 내부에는 충렬왕과 ..

경덕왕(景德王), 통일신라 제35대(재위:742~765) 왕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5대(재위:742~765) 왕. 재위 742∼765. 성은 김씨이며 이름은 헌영(憲英). 제33대 성덕왕의 셋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소덕왕후(炤德王后)이다. 효성왕의 동모제(同母弟)이다. 효성왕이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왕비는 이찬(伊飡) 김순정(金順貞)의 딸이다. 743년(경덕왕 2) 다시 서불한(舒弗邯) 김의충(金義忠)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경덕왕 때에는 신라 중대 왕실의 전제왕권이 새로운 귀족세력의 부상으로 인해 흔들리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경덕왕은 왕권의 재강화를 위한 일련의 관제정비와 개혁조치를 취하였다. 개혁정치의 주역은 경덕왕과 신라 중대에서 행정책임자였던 집사부의 중시였다. 744년 이찬 유정(惟正)이 중시에 임명된..

경대승(慶大升), 무신정권, 정중부일파 숙청

고려후기 교위, 사심관, 장군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경진(慶珍)의 아들이다. 일찍이 큰뜻을 품고 가산을 돌보지 않았으며, 아버지 경진(慶珍)이 불법으로 탈취한 토지의 전안(田案)을 선군(選軍)에 바치고 하나도 취하지 않아 청백하다는 평판을 받았다. 15세에 음서(蔭敍)로 교위(校尉)에 임명된 뒤 차차 벼슬이 올라 장군이 되었다. 1178년(명종 8)에 개경에서 살다가 낙향한 청주 출신 사람들과 원래 청주인(원주민) 사이에 분쟁이 생겨 100여 명이 죽게 되자 박순필(朴純弼)과 함께 사심관(事審官)으로 파견되었으나, 그 일을 해결하지 못했다 하여 파면되었다. 1179년 평소 불만이 많던 집권 무신 정중부(鄭仲夫) 일파를 제거하고자 결심하고, 견룡(牽龍) 허..

검모잠(劍牟岑), 고구려 부흥운동

삼국시대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한 지도자. 고구려 멸망 후인 670년 유민 등을 규합해 당나라에 대항해 부흥운동을 전개했으나 부흥운동의 구심점으로 세운 안승(安勝)과의 의견 대립으로 피살되었다. 고구려 수림성(水臨城)출신으로 관등은 대형(大兄)이다. 수림성은 현재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임진성(臨津城)으로 비정하기도 하지만, 검모잠의 활동이 대동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평양 이북의 어느 지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668년 고구려가 멸망 뒤인 670년 유민 등을 규합해서 당나라의 관리와 승려 법안(法安) 등을 죽이고 궁모성(窮牟城)에서 패수[浿水 : 대동강] 남쪽으로 옮겨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검모잠의 거병 시기에 대해서는 중국측 기록에는 670년 4월의 일이라고 하고, 『삼국사기』에는 6월의 일이라..

거칠부(居柒夫), 물력(勿力), 구지포례(久遲布禮), 혜량(惠亮), 승통(僧統), 국사(國史)

삼국시대 신라의 파진찬, 상대등 등을 역임한 관리. 장수. 일명 ‘황종(荒宗)’ 또는 ‘거칠부지(居七夫智)’·‘거칠부지(居柒夫智)’라고도 한다.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5대손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권17 계체기(繼體紀) 23년조에 등장하는 구지포례(久遲布禮)로 비정된다. 할아버지는 잉숙(仍宿), 아버지는 이찬(伊湌) 물력(勿力)이다. 잉숙은 소지마립간의 장인으로서 486년(소지왕 8) 2월에 이벌찬이 되어 국정을 총괄한 내숙(乃宿)과 동일 인물로 추정되고 있다. 아버지 물력은 524년(법흥왕 11)에 건립된 울진봉평리신라비에 법흥왕(모즉지매금왕)과 함께 국정을 논의한 사람 가운데 한 명으로 전하며, 당시 그의 관등이 일길간지(一吉干支)였다. 후에 이찬까지 승진하였다. 거칠부는 545년 신라왕조의 ..

개로왕(蓋鹵王), 백제 제21대(재위:455~475) 왕, 고구려에 살해

삼국시대 백제의 제21대(재위:455~475) 왕. 개설 재위 455∼475. 이름은 '여경(餘慶)'또는 ‘경사(慶司)’, 또는 ‘근개루왕’이라고도 한다.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로서 왕위를 계승했고, 제22대왕인 문주왕의 아버지이다. 생애 475년에 백제는 그 발상지이자 중심부인 한강유역 일대를 고구려에 빼앗기고 개로왕은 포로가 되어 살해당했다. 이러한 참담한 패배에 대해 『삼국사기』 개로왕 21년조에서는 고구려 장수왕이 간첩으로 파견한 승려 도림(道琳)의 계략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도림은 개로왕이 바둑을 좋아하는 점을 이용해 신임을 얻은 뒤, 개로왕이 고구려의 침공에 대비할 생각을 못하게 하였다. 화려한 궁궐의 축조 등 대대적인 토목역사를 일으키게 함으로써 국력을 피폐화시켰다. 이 기록은 ..

강희안(姜希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조선전기 호조참의,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우(景愚), 호는 인재(仁齋). 강시(姜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북면순무사(東北面巡撫使)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동생이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이며, 이모부가 세종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1년(세종 23)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가 되었다. 1443년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세종이 지은 정음(正音) 28자에 대한 해석을 상세하게 덧붙였다. 1444년 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와 함께 의사청(議事廳)에 나아가 언문(諺文)으로 운회(韻會)를 번역했고, 1445년에는 최항 등과 「용비어천가(龍..

강희맹(姜希孟), 사숙재집(私淑齋集), 금양잡록(衿陽雜錄)

조선전기 예조정랑, 이조참의, 진헌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운송거사(雲松居士)·국오(菊塢)·만송강(萬松岡). 강시(姜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북면순무사(東北面巡撫使)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형이 인순부윤(仁順府尹)이자 화가 강희안(姜希顔)이며, 이모부가 세종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7년(세종 29) 24세로 친시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가 되었다. 1450년 예조좌랑과 돈녕판관을 역임하고, 1453년(단종 1) 예조정랑이 되었다. 1455년(세조 1)에 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고, 그 뒤 예조참의·이조참의를 거쳐, 1463년 중추원부사로서 진헌..

강홍립(姜弘立), 조명연합군, 광해군 중립외교

조선시대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군신(君信), 호는 내촌(耐村). 강온(姜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 아버지는 참판 강신(姜紳),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진사가 되고, 1597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로 급제, 설서(說書)·검열(檢閱) 등을 거쳐, 1605년 도원수 한준겸(韓浚謙)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었다. 이해 진주사(陳奏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보덕(輔德)이 되고, 이듬해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1614년 순검사(巡檢使)를 역임한 뒤 1618년에는 진녕군(晉寧君)에 봉해졌다. 이때 후금(後金)이 명나라 변경을 침입하는 등 세력을..

강조(康兆), 김치양, 천추태후, 이현운, 거란

고려전기 중대사, 이부상서참지정사, 행영도통사 등을 역임한 무신. 목종(穆宗) 때 중추사우상시(中樞使右常侍)로서 서북면도순검사(西北面都巡檢使)가 되었다. 1009년(목종 12) 김치양(金致陽)이 목종의 어머니 천추태후(千秋太后)와 사통해 낳은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난을 일으켰을 때, 목종의 명을 받고 궁궐수비를 위해 개경으로 오게 되었다. 그러나 개경에 도착하기 전 동주(洞州)의 용천역(龍泉驛)에 이르렀을 때 내사주서(內史注書) 위종정(魏從正)과 최창회(崔昌會)가 거짓으로 전한 개경의 소식을 듣고, 자신이 천추태후의 함정에 빠졌다고 생각해 다시 본영(本營)으로 되돌아갔다. 한편 천추태후는 군사들이 오는 것을 꺼려 내신을 보내어 절령(岊嶺)을 막고 사람의 왕래를 차단하였다. 이러한 사태를 걱정한 강조의 ..

강재구(姜在求), 수류탄 교관, 태극무공훈장

해방 이후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 1군 하사관학교 수류탄 교관 등을 역임한 군인. 인천중학교와 서울고등학교를 거쳐 1960년 육군사관학교 제16기로 졸업,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 이후 육군보병학교,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 1군 하사관학교 수류탄 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1965년 한국군 1개 사단의 월남파병이 결정됨에 따라 8월 29일맹호부대(수도사단의 별칭) 제1연대 제10중대장에 보직되었다. 10월 4일 오전 10시경 베트남 파병을 앞두고 중대원의 수류탄투척 훈련을 실시하던 중 이등병 박해천이 실수로 안전핀을 뽑은 수류탄을 중대원들이 모여있는 곳에 떨어뜨리자 순간적으로 위험을 느낀 그는 폭발하기 직전 수류탄 위에 몸을 날려 중대원 백여명의 생명을 구하고 자신은 산화하였다. 육군은 그의 숭고한 ..

강일순(姜一淳), 증산교

대한제국기 여러 종교단체가 믿는 증산 사상을 개시한 종교창시자. 증산교의 경전인 『대순전경 大巡典經』에 의하면, 그의 어머니인 권씨의 태몽에 갑자기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며 큰 불덩어리가 내려와 몸을 덮고 하늘과 땅이 밝아짐을 보았으며 그로부터 잉태하게 되어 13개월 만에 그를 낳았다고 한다. 그리고 출산 때에는 그의 아버지가 두 선녀가 하늘에서 내려와 산모를 간호하는 것을 비몽사몽간에 보았는데, 이상한 향기가 온 집안에 가득하고 밝은 기운이 집을 둘러 하늘로 뻗쳐올라 7일간 계속되었다고 한다. 가난한 농가의 2남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는데, 그의 선조들이 이조참의와 도승지 등의 벼슬을 지낸 것으로 보아 그는 몰락한 양반의 후예라고 할 수 있다. 학문적인 소질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빈곤 때문에 ..

강우(姜虞), 대종교, 종리문답

일제강점기 『종리문답』, 『천산도설』, 『제천혈고사』 등을 저술한 대종교인.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순서(舜瑞), 호는 호석(湖石). 충청남도 부여 출신. 진구(鎭求)·철구(銕求)·용구(鎔求)의 세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정교(正敎)와 대형(大兄)이란 호를 받았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하였고 1895년부터 9년간 함경북도 성진·길주·경원 등 세 곳의 감리(監理)를 역임하였다. 1909년 대종교가 조직되자 입교하였다. 1911년 지교(知敎), 1914년에는 상교(尙敎)로 승진되어 총본사의 총전리(總典理)로서 5년동안 교문의 최고행정책임자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916년 정교(正敎)로 승질됨과 동시에 대형의 호를 받았으며, 1918년에는 교주를 제외하고는 최고위 직책인 사교(司敎)에 임명되었다. 192..

강세황(姜世晃), 표암유고, 현정승집도, 송도기행첩, 풍악장유첩, 난죽도

조선후기 시, 서, 화 삼절(三絶)로 일컬어진 화가.문관, 평론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忝齋), 산향재(山響齋), 박암(樸菴), 의산자(宜山子), 견암(蠒菴), 노죽(露竹), 표암(豹菴), 표옹(豹翁), 해산정(海山亭), 무한경루(無限景樓), 홍엽상서(紅葉尙書). 서울에서 강현(姜鋧)의 3남 6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생모는 광주이씨이다. 후손으로는 부인 진주유씨(晉州柳氏) 소생인 강인(姜亻寅), 강흔(姜俒), 강관(姜亻寬), 강빈(姜儐)과 나주나씨(羅州羅氏) 소생의 강신(姜信)이 있다. 강신과 그의 아들 강이오(姜彛五), 강흔의 손자 강진(姜晉)이 그림으로 이름이 있었다. 생애 아버지의 극진한 사랑과 교육, 자형 임정(任珽)의 영향을 받았다. 처남 유경종(柳慶種), 친..

강민첨(姜民瞻), 소배압, 구주대첩

고려전기 추성치리익대공신에 책록된 공신.장수. 본관은 진주(晉州). 목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지기(志氣)가 있고 강하고 과감하여 주로 전공을 통하여 입신하였다. 1012년(현종 3) 5월에 동여진(東女眞)이 영일(迎日)·청하(淸河) 등지에 쳐들어오자 도부서(都部署)의 문연(文演)·이인택(李仁澤)·조자기(曺子奇) 등과 함께 안찰사로서 주군병(州郡兵)을 독려하여 격퇴하였다. 1016년에 내사사인(內史舍人)이 되었으며, 1018년에는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내침하자 대장군으로 평장사(平章事) 강감찬(姜邯贊)의 부장으로 출전하여 흥화진(興化鎭)에서 적을 대파하였다. 패배한 소배압의 군사가 바로 개경으로 쳐들어오자 다시 이를 추격하여 자주(慈州)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 공으로 101..

강감찬(姜邯贊), 거란, 강조의 정변, 소배압, 강민첨, 구주대첩

고려전기 서북면행영도통사, 상원수대장군,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금주(衿州). 초명은 강은천(姜殷川). 경주에서 금주로 이주해 호족으로 성장한 강여청(姜餘淸)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강궁진(姜弓珍)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983년(성종 3) 과거 갑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예부시랑(禮部侍郞)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聖宗)이 강조(康兆)의 정변을 표면상의 구실로 내세워 서경(西京)을 침공하자 일시 후퇴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현종(顯宗)을 나주(羅州)로 피난시켜 사직을 보호케 하였다. 이듬해국자좨주(國子祭酒)가 되고, 한림학사(翰林學士)·승지(承旨)·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중추원사(中樞院使)·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냈다. 1018년(현종 9)..

가실왕(嘉悉王), 가야 제7대(재위:421~451) 왕

삼국시대 가야의 제7대(재위:421~451) 왕. 금관가야(金官加耶)에 관한 기록인「가락국기 駕洛國記」에는 가실왕의 이름이 보이지 아니하므로 금관가야를 제외한 다른 가야국의 왕이었다고 생각되는데, 대가야(大加耶)의 왕이라는 견해, 또는 아라가야(阿羅加耶)의 왕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는 가실왕은 곧 금관가야의 취희왕(吹希王)이라는 견해도 있다. 당나라의 악기 쟁(箏)을 보고 열두달의 악률(樂律)을 형상하는 십이현금(十二弦琴), 곧 가야금(加耶琴)을 만들었다. 또 여러 나라의 방언이 각기 다르므로 성음(聲音) 또한 일정하게 할 수 없다고 하여 악사(樂師) 우륵(于勒)에게 명하여 십이곡을 만들게 하였다. 이때 우륵이 지은 열두곡은 「하가라도 下加羅都」·「상가라도 上加羅都」·「보기 寶伎」·「달이 達已」·「사물 ..

지청천(池靑天)-한국독립당 군사위원장,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광복군 총사령부 사령관

일제강점기 한국독립당 군사위원장,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광복군 총사령부 사령관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정치인. 군인. 한말 무관학교(武官學校)에 입교, 2학년 때 1, 2년생 40여 명과 함께 정부유학생으로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陸軍中央幼年學校)에 들어갔다. 이 때는 본명인 지대형을 사용하였다. 유년학교는 뒤에 일본사관학교 예과가 된 3년제이며, 다시 본과 2년이 있는데, 유학 도중 한일합병이 되어 본과에 편입되었다. 제26기생으로 1913년 졸업, 중위가 되면서 1919년 만주로 망명하여 대일무력항쟁을 지도하기 위해 일본의 병서와 군용지도를 가지고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찾았다. 독립군 간부양성에 진력하고 1920년 상해임시정부 산하의 만주군정부(滿洲軍政府)·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의 간부가 되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