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지리 Geography 200

황하, 오르도스, 黃河, 베이징, 톈진

황허강(黄河江) 또는 황하(강)(黃河)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이다. 칭하이성 쿤룬 산맥에서 발원하여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허난성을 지나 최종적으로 산둥성 둥잉시에서 발해만으로 유입되며 전장은 5,464km, 유역 면적은 75만 2443km²에 이른다. 강의 길이에 비하면 수량이 적은 편이고 유역 면적이 상당히 좁은 편이다. 수량은 심각할 정도로 적어서 건기에는 아예 건천이 될 때도 있을 정도이다. 현지 발음을 살려 황허라고도 한다. 중국 대륙에서는 장강 다음으로 길고 지구에서 여섯 번째로 긴 강이다. 중요한 지류로는 시안 근처를 지나가는 위수(渭水)가 있다. 황하는 황해의 바닷물을 누렇게 만드는 원인이며 황해를 잠수함의 지옥으로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황하는 황..

江(강), 河(하), 水(수), 장강(長江), 황하(黄河), 회수(淮水)

江(강)이란 한자 자체가 장강을 가리켰으나, 한대에 이르러 일반 명사로 바뀌었다. 이에 다른 강과 구별하기 위해 육조시대부턴 장강(긴 강)이라 불렀다. 산해경 등 고문서를 보면 江(강) 자만 쓰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장강을 뜻한다. 河(하) 역시 원래 황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현대인이 생각하는 일반적인 '강'은 '수(水)'라고 불렀는데, '회수(淮水)'가 대표적인 사례. 중국 남방 지역에서는 큰 하천을 대부분 ‘강’이라 부른다. 주강(珠江), 감강(赣江), 민강(闽江), 금사강(金沙江) 등이 대표적이고 가장 유명한 것은 장강(長江)이다.장강을 넘어 북방 지역으로 가면 ‘강’이라는 말을 듣기 어렵다. 통상 ‘하’라 부른다. 회하(淮河), 분하(汾河), 해하(海河)가 그 예다. 그리고 중국의 ‘젖줄..

중원 평야, 황하 문명, 대운하

중원 평야 중국의 평야 지역 명칭의 하나이며, 고대부터 상나라를 포함해서 황하 문명이 자리를 잡았다. 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난세에 항상 전투가 벌어져서, 이를 두고 중원축록의 고사성어처럼 중국 자체, 그리고 패권 경쟁의 중심지를 의미하는 말이 됐으며, '중원 평야'는 그 격전지였다. 지리 이 '중원 평야'는 '요서 회랑'을 경계로 '만주 벌판'과 인접해 있다. 역사 고대 말 중세 초 5호16국시대에 오호(흉노족, 갈족, 강족, 저족, 선비족)를 비롯하여 탁발선비가 중원을 차지하였는데, 북위 제3대 황제인 세조 태무제 시기에 북하, 북연, 북량을 멸망시키고2 하북 평야를 점령했다. 거란족의 요나라가 중원 일부를 차지했었다. 북주의 무제가 북제를 무너뜨리고 중원 평야를 점령했다. 그 이후에 양견(楊堅..

중원, 中原, 황하 중하류, 허난성, 시안, 뤄양

중원 中原. 하북 지역 중에서도 오늘날의 허난성에 있는 황토 고원에서부터 황하 중하류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일컫는 역사적인 명칭. 황하 문명의 발원지로서 옛 중국 문명이 태동한 곳이며, 기나긴 중국사 내내 수많은 왕조들의 수도권으로써 기능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중심지 역할을 담당했다. 다른 이름으로는 하락(河洛)[황하(黃河)와 낙수(洛水)], 중토(中土) 등이 있다. 중국의 자국중심주의, 중화사상을 엿볼 수 있는 명칭이기도 하다. 북적(北狄)서융(西戎)중화(中華)중원(中原)동이(東夷)남만(南蠻) 좁은 의미의 중원이란 북쪽으로는 태항(太行)·곽(霍)·여량(呂梁)·태원(太原)·임분(臨汾)·상당(上黨)이, 남쪽으로는 복우(伏牛)·웅이(熊耳)·외방(外方)·동백(桐柏)·대별(大别)이 둘러싸고 있으며 그..

연운 16주, 군사적 요충지, 후진, 석경당, 요나라, 후당, 화북의 16개 주, 만리장성

연운 16주燕雲十六州 오대십국시대 후진의 건국자인 석경당이 936년 요나라에 군사 원조를 요청해서 지원군을 받은 후 을 멸망시키고 그 대가로 바친 화북의 16개 주를 가리키는 지명이다. 구성 연운 16주라는 명칭은 이 16개 주 중 대표 지역인 연주(燕州, 지금의 베이징)과 운주(雲州, 지금의 산시성 다퉁)에서 따온 것으로 16개 주의 위치는 아래 표와 같다. 유연(幽燕) 16주, 연유(燕幽) 16주라고도 한다. 명칭현재의 지역유주(幽州)연주(燕州)베이징시 시청구순주(順州)베이징시 순이구단주(檀州)베이징시 미윈구유주(儒州)베이징시 옌칭구계주(薊州)톈진시 지저우구영주(瀛州)허베이성 창저우시 허젠시막주(莫州)허베이성 창저우시 런추시탁주(涿州)허베이성 바오딩시 줘저우시신주(新州)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규주..

장강, 양쯔강, 티베트 고원 발원, 길이 6,300km, 청두, 충칭, 창사, 우한, 난징, 상하이

장강 위치중국 └쓰촨성, 안후이성, 윈난성, 장시성, 장쑤성└충칭시└칭하이성, 티베트 자치구, 후난성, 후베이성발원칭하이성 하이시 몽골족-티베트족 자치주 거얼무시(탕구라산맥, 5,042 m)하구장쑤성 난퉁시 치둥시 (북부)상하이시 충밍구 (남부)유입지류└야룽강, 민강, 타강, 자링강, 한강└황푸강, 감강, 상강, 원강, 자강, 오강유출동중국해길이6,300km (3,900 mi)유역면적1,808,500km² (698,300 sq mi)유량평균 30,146m³/s (1,064,600 cu ft/s)장강(长江) 또는 양쯔강(扬子江)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내륙을 거쳐 동중국해로 흐르는 강이다. '양쯔강'은 양자강(揚子江)의 영어 표기로, 본래는 난징시, 전장시, 난퉁시, 상하이시 근처에서 흐르는 장강..

호르무즈, 해협, 이란, 오만, 아랍 에미리트, 54km, 한국, 일본, 중국, 동아시아, Hormuz Strait

호르무즈 해협Hormuz Strait호르무즈 해협은 북서쪽의 페르시아 만과 남동쪽 아라비아 반도의 오만 만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이다. 해협의 북쪽에는 이란이 있고 남쪽에는 오만과 아랍 에미리트가 있다. 가장 좁은 곳의 폭은 54km다. 해협의 이름은 이란 쪽에 떠 있는 건조한 황무지섬인 호르무즈 섬에서 유래했다. 역사호르무즈 혹은 오르무스는 중세 페르시아어로 조로아스터교의 선한 신 아후라마즈다를 일컫는 말이었다. 동시에 페르시아어로 '대추의 땅'이란 뜻이라는 설, 그리스어로 '만'이란 뜻이라는 설이 있다. 11세기 말엽 호르무즈 섬에 무함마드 디람쿠가 케르만 셀주크 및 살구르 왕조 (파르스 왕국)의 속국으로써 호르무즈 왕국을 세웠고, 13-14세기에는 일 칸국에 복속한 채로 페르시아만과 아라비아해를 ..

태평양, 발견, 발보아, 마젤란, 1513

발보아, 태평양 발견(1513.9.25)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신대륙을 발견한 뒤 스페인은 그곳에 식민지를 세웠다. 금이 난다는 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들었으나 금은 발견되지 않았다. 식민지 총독은 땀 흘려 일할 리 없는 부랑자들을 모아 카리브 해 건너 남미 대륙으로 파견할 탐험대를 조직했다. 30대 중반의 바스코 누녜스 발보아도 탐험대의 일원이었다. 탐험대는 파나마 해협의 다리엔을 남미대륙 최초의 신도시로 건설했다. 본국에서 임명한 총독을 내쫓고 권력을 차지한 발보아에게 한 인디언 추장이 찾아왔다. “산 너머에 큰 바다가 있고 그곳으로 흐르는 강물에 금이 많다.”는 추장의 말에 발보아는 1513년 9월 1일 탐험을 시작했다. 탐험 25일째, 산 정상에 오른 발보아의 눈 앞에 큰 바다가 펼쳐졌다. 유..

신항로 개척 이전 무역권, 지중해, 오스만 제국, 베네치아

신항로 개척 이전 무역권 유럽의 대항해시대는 구대륙과 신대륙의 본격적인 최초의 교역이라는 점에서 세계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 시대에 유럽과 신대륙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민족, 종교에 있어서 역사적인 대변혁을 맞는데 특히 이후 유럽 제국주의의 시발점이 되는 시대라는 점에서 대항해시대의 역사적인 의의는 매우 중대하다. 사실상 신항로, 신대륙 개척을 통한 막대한 금의 유입과 경제 발전이 없었더라면 이후의 빅토리아 시대, 벨 에포크와 같은 유럽의 전성기는 늦어지거나 나타나기 어려웠을 것이다. 1. 새로운 항로 1) 새로운 항로의 개척 - 신항로 개척의 배경 ① 동양에 대한 다양한 전설, 마르코 폴로의 등으로 동양에 대한 관심 증대 ② 향료, 비단과 같은 동방의 산..

스페인, 신항로 개척, 오스만 제국, 아라곤 왕국, 지중해 해상 무역 차단

스페인, 신항로 개척, 오스만 제국, 아라곤 왕국, 지중해 해상 무역 차단 스페인은 포르투갈과 달리 서지중해를 접하고 있었고, 자연스레 당대의 이탈리아 반도 국가들과 더불어 지중해 해상무역권 쟁탈에 일찌감치 참여하고 있었다. 먼저 이를 주도한 것은 스페인의 전신인 아라곤 왕국이었는데, 아라곤은 먼저 발레아레스 제도를 점령하고 이를 발판으로 지중해 각지로 뻗어나가 1311년 아테네 공국을 접수하더니 1442년에는 시칠리아와 나폴리 왕국의 왕위까지 장악하여 지중해에 아라곤 해상국가를 완성시킨다. 아라곤 왕국은 이를 기반으로 베네치아, 제노바와 함께 지중해 3대 세력으로 거듭나려고 했다. 하지만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무너뜨리며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키고 그 직후 아테네 공국까지 흡수하면서..

대항해 시대, 신항로 개척 시대, 15세기, 비단길, 한자 동맹 타격, 아랍권 정체, 미국 신대륙 전성기

대항해시대Age of Discovery 大航海時代 대항해 시대(大航海時代), 또는 신항로 개척 시대란 유럽인들이 항해술을 발전시켜 아메리카로 가는 항로와, 아프리카를 돌아 인도와 동남아시아, 동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발견하고 최초로 세계를 일주하는 등 다양한 지리상의 발견을 이룩한 시대를 말한다. 대체로 포르투갈 왕국의 엔히크 왕자를 주축으로 한 15세기 초중반의 대서양 방면 해외 진출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이후 스페인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유럽-아메리카 항로개척, 바스쿠 다 가마의 아프리카 남단을 통한 인도 항로 개척, 그리고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일주 항해가 이루어진 15세기 말-16세기 초반에 정점에 달하였다. 이 영향으로 고대 이후 동서양이 교역하는 육상 통로였던 비단길은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

아프가니스탄, 카불, 역사, 탈레반, 아편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امارت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1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2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알라 외에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역사영국으로부터 독립 1919년 8월 19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건국 1996년 9월 27일탈레반 축출 및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건국 2001년 11월 13일탈레반 재집권 및 과도정부 수립 2021년 8월 15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재건국 2021년 8월 19일 수도카불면적652,230km²접경국우즈베키스탄중국 투르크메니스탄이란파키스탄타지키스탄인도 인구43,372,950명(2024년) | 세계 36위민족파슈툰인 ..

남한 면적, 10만, 국가 면적, 국가별 국토 면적 순위

국가 면적N국가면적km²비고-영연방29,958,050 ↳ 영연방 왕국18,700,000 -독립국가연합21,540,000 1러시아17,220,734세계 최대, 유럽 최대, 동유럽 최대, 연방국가 최대↳크림 공화국26,081 ↳ 세바스토폴864 ↳헤르손주(러시아)28,461 ↳자포로지예주27,183 ↳도네츠크 인민공화국13,160 ↳루간스크 인민공화국26,684 -남극14,200,000 -아랍 연맹13,132,327 2캐나다9,984,670아메리카 최대, 북아메리카 최대, 신대륙 최대, 선진국 최대3 미국9,833,517북아메리카 2위↳푸에르토리코9,104 ↳괌544 ↳북마리아나 제도464 ↳미국령 버진아일랜드347 ↳미국령 사모아200 ↳ 미국령 군소 제도49 4중국9,640,821아시아 최대, 동아시아 ..

런던(London), 로마 론디니움 요새, 시티 오브 런던

런던(London) 영국의 전례주·수도·최대도시 지역영국 잉글랜드 그레이터런던 주설립 년도47년 (로마 제국 론디니움)시청 소재지잉글랜드 그레이터런던 주 뉴엄구 Kamal Chunchie Way E16 1ZE시 면적1,572㎢광역권 면적8,382㎢인구도심8,799,800명 (2022년)교외9,787,426명 (2011년)광역권14,800,000명 (2023년)인구밀도도심5,598명/㎢광역권1,765명/㎢기후서안 해양성 기후(Cfb)런던(London) 잉글랜드, 나아가 영국 수도이며 최대 도시다. 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면서 영연방 국가들을 포함하여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며, 미국 뉴욕, 일본 도쿄와 함께 세계적인 위상과 영향력으로 “세계 3대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더불어 옛..

토트넘, 북 런던, 영국 폭동, 슬럼가, 토트넘 홋스퍼 FC, Tottenham

토트넘Tottenham 지역그레이터 런던 해링게이 자치구국회의원노동당데이비드 래미인구129,237명(2011년) 영국 런던 북부에 위치한 지역. 역사 토트넘 지역에 인간이 거주한 것은 천년이 넘었다. 중세 토지조사서인 둠즈데이 북이 1086년에 편찬되었을 때, 이 지역의 장원에는 대략 70여 가구가 거주했다. 주로 장원의 영주 밑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었다. 토트넘이란 이름은 이 둠즈데이 북에서 언급된 마을의 토타(Tota)라는 농부에서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토타의 마을('Tota's hamlet', 토타스 햄릿)이 '토트넘'으로 발전된 걸로 여겨진다. 당시 둠즈데이 북에선 토트햄(Toteham)이라고 기록되었다. 1894년에, 토트넘은 준자치구가 되었고 1934년 9월 27일에는 자치구가..

분수령(分水嶺), 대양별 분수계

분수계(分水界)는 물이 서로 다른 수계로 흘러가는 유역의 경계를 말한다. 대개 산마루나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수령(分水嶺)이라고도 하나, 평야나 고원이 분수계를 이루기도 한다. 빗물이 떨어지면 주로 봉우리를 이은 선(분수계)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갈라져 흘러내릴 테고 이 선을 중심으로 각각의 하천이 유역을 형성한다. 한반도 하천의 중요한 특징은 주요 분수령인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이 동해 쪽으로 치우쳐 있어 대하천의 경우 남서 방향으로 흘러 황해나 남해로 연결되는 반면에,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은 길이가 짧다는 것이다. 또한, 평균 경사도가 비교적 크고 강수량의 계절적 변화가 큰 특징으로 인하여 하천의 하상계수가 높은 수문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하천은 하곡의 폭이 넓고 구배가 완만한 특..

버마 로드(Burma Road), 버마 공로, 1,154km, 영국, 일본, 중국

버마 로드(Burma Road), 버마 공로 버마(지금의 미얀마)에 있던 간선 도로였다. 버마의 라시오를 기점으로 하여 중화민국 윈난성의 쿤밍까지 뻗어있었다. 영국령 인도 제국이 건설했다. 총 길이는 약 1,154km로, 산간부 지역을 통과했다. 쿤밍에서 버마 국경까지의 구간은 약 20만 명의 중국인 노동자들이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참여해 뚫었다. 영국이 이 도로를 뚫은 목적은 일본 제국과의 전쟁에서 연합군의 물자를 중화민국군에 원활하게 수송해주는 것이었는데, 일단 버마의 랑군(지금의 양곤)에 물자를 집약시킨 후 철도를 통해 버마 로드의 시점인 라시오까지 물자를 보낸 뒤, 이 버마 로드를 통해 중화민국으로 물자를 보냈다. 1942년 일본군이 버마를 점령하여 버마 로드를 통한 보급로가 막히자 연합..

간척干拓 / Reclamation

간척干拓 / Reclamation 간척은 수면에 둑을 쌓아 물 유입을 막고 그 안에 있는 물을 빼내거나 메워서 뭍 즉, 땅으로 만드는 일을 말한다. 보통 바다를 메우는 경우를 가리키지만 호수를 메우는 것도 포함한다. 방조제를 쌓고 그 안쪽을 땅이 아닌 담수호로 만드는 경우도 있기에, 땅을 메워 올리는 과정인 매립은 엄밀히 말하면 간척의 한 부분에 해당한다. 국내의 경우 비교적 수심이 얕은 서해에 간척개발을 했다. 방법 간척지를 만들기에 유리한 곳은 1) 넓은 갯벌이 이루어져 있으며 2)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앞쪽에 사주나 섬이 많은 곳이다. 필요에 따라 간사이 국제공항처럼 생 바다를 간척할 수도 있으나, 수심이 깊을수록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부등침하 같은 문제가 생긴다. 현대적인 항만시설은 대부분 소규모..

면적 비교, 싱가폴, 홍콩, 서울, 제주도

면적 비교, 싱가폴, 홍콩, 서울, 제주도 싱가포르, 홍콩, 서울, 제주도의 면적 비교 싱가포르는 740km², 홍콩은 2,700km², 서울은 605.25km², 제주도는 1,846km². 제주도가 가장 넓고, 홍콩, 싱가포르, 서울 순으로 면적이 작다. 면적 비교: 제주도: 1,846km² 홍콩: 2,700km² 싱가포르: 740km² 서울: 605.25km² 싱가포르는 계속적인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1960년대에는 581.5km²였지만 현재는 740km²로 확장되었다. 제주도는 섬이지만, 면적이 가장 넓다. 서울은, 부산과 비슷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

고비 사막, 암석 사막, 황사

고비 사막 중국 내몽골 자치구, 간쑤성 형태암석 사막 (대부분)모래 사막 (헝거린엘스 등 일부)면적약 1,295,000km² (500,000 sq mi)지질학적 형성신생대 신제3기 플라이오세(약 260-300만 년 전)쾨펜의 기후 구분사막 기후 (BW) Gobi Desert 고비 사막(Gobi)은 몽골과 중국의 국경 사이에 있는 동서 1500 km, 남북 800 km, 면적 129만 5천 km²에 이르는 암석 사막이다. 타클라마칸 사막과 더불어 역대 중국 왕조들을 북방 유목민으로부터 지키는 자연 방벽 역할을 했다. 지리 및 기후 '고비(Говь)'라는 말은 몽골어로 '황무지'라는 뜻이다. 북쪽에 알타이 산맥이, 동쪽에 동북 평야가, 동남쪽에 화북 평야가, 서남쪽에 티벳 고원이 있고 북부에 케룰렌 강이,..

베네치아, 5세기 고트족, 훈족, Venezia, 베니스, 십자군 원정, 나폴레옹, 오스트리아 제국령, 오리나무, 도시 입장료, Venice smell

Venezia베네치아 / 베니스 / Città di Venezia 국가이탈리아 주베네토Regione 광역 인구853,000명인구261,000명 면적414.57km² "그림으로 표현하기에 이 도시는 너무나 아름답다"- 클로드 모네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의 중심 도시. 동시에 해당 도시를 수도로 삼던 과거의 베네치아 공화국의 국명이기도 했다. 흔히 베니스(Venice)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영어식 발음이다. 본토 이탈리아어 발음으로는 베네치아(Venezia)다. 프랑스어로는 브니즈(Venise), 독일어로는 페네디히(Venedig)라고 부른다. 일본어는 ヴェネツィア, ヴェネーツィア, ヴェネチア, ベネツィア, ベネチア 표기가 혼용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는 ヴェネツィア. 인구는 2017년 기준..

연변, 지린성 자치주, 연길시, 중국, 러시아, 북한의 교차지점

연변지린성의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주정부 소재지연길시 공원로 2799호하위 행정구역6현급시 2현성급행정구지린성면적43,509km²인구1,993,100명 (2023)인구밀도45.8명/km²민족 구성한족 60.3% | 조선족 35.4%만주족 3.7% | 기타 민족 0.6% GRDP전체$142억 5,340만 (2024)1인당$6,462.5 (2023)상징시화진달래차량번호吉H, 吉K5행정구역 약칭延边행정구역코드222400지역전화번호0433우편번호133000ISO 3166-2CN-JL-24 연변(延边, Yánbiān, 옌비엔) 조선족 자치주는 중국 지린성의 행정구역으로, 지급시에 상당한다. 자치주의 주도(州都)는 연길시(延吉市)이며..

나폴리, 캄파니아, 이탈리아 제3의 도시, 세계 3대 미항, 스파게티, 피자, Napoli

Napoli나폴리 국가이탈리아인구967,000명인구 밀도8,247명/km²광역 인구2,198,000명면적117.27km²주캄파니아Regione Vedi Napoli e poi muori나폴리를 보고 죽어라 이탈리아 캄파니아의 주도(州都)이자 남이탈리아의 중심 도시로 로마와 밀라노에 이은 이탈리아 제3의 도시다. 이탈리아 통일 전까지 천 년 가까이 북이탈리아와는 판이한 역사를 이어온 남이탈리아의 정치적 중심지였다. 지금도 지중해에 닿아 있는 항구도시로 영어로는 네이플스(혹은 네이플)라고 한다. 참고로 위 사진에 보이는 봉우리 두 개의 높은 산은 폼페이를 멸망시킨 베수비오 화산이다. 서기 79년 8월 24일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한 날, 북풍이 아닌 동풍이 불었다면 폼페이 대신 나폴리가 멸망했을 것이다. ..

아펜니노 산맥, 이탈리아 척추, Apennine Mountains, 태백산맥

이탈리아어: Appennini 이탈리아반도를 종단하는 긴 산맥이다. 길이는 약 1,200km, 너비는 약 30-250km이고, 최고봉은 코르노그란데 산으로 2,912m이다. 이탈리아의 척추라고 불리우며, 국토 전체를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한국의 태백산맥과 포지션이 유사하다. 이름의 어원은 봉우리를 의미하는 켈트어 'pen'에서 유래되었다. 크게 북부 아펜니노 산맥(Upper Appennini, Appennino settentrionale), 중부 아펜니노 산맥(Central Appennini, Appennino centrale), 남부 아펜니노 산맥(Southern Appennini, Appennino meridionale) 으로 나뉜다. 또한 북부 아펜니노 산맥은 리구레(리구리아), 토스카노(투스카),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트란스옥시아나, 셀주크, 티무르 제국

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 아랄해에서 파미르고원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하는 이중내륙국에 해당하는 공화국. 수도는 '돌의 도시(또는 보석의 도시)'라는 의미의 타슈켄트(Toshkent, Tashkent). 국호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국호는 러시아어 표기인 우즈베키스탄(Узбекиста́н)에서 유래하며 우즈베크어로는 오즈베키스톤(Oʻzbekiston‍)으로 표기한다.7어원적으로는 고대 튀르크어의 외즈(*ȫŕ → 𐰇𐰔‎, '자신의')와 베그(*bǟg → 𐰋𐰏, '지도자·태수'), 페르시아어의 스탄(ستان / stân, '땅·나라')이 합쳐진 표현이다. 이는 '자신들의 지도자를 세운 나라', 즉 다른 민족에게 지배받지 않는 독립된 나라임을 뜻한다. 튀르크계 유목민족/씨족이었던 오구즈의 민족명에서 유래한 것으..

다르다넬스 해협, 갈리폴리 전투, 에게 해, 마르마라 해, 차낙칼레 해협, 흑해-보스포루스 해협-마르마라 해-다르다넬스 해협-에게 해-지중해

다르다넬스 해협 에게 해와 내해인 마르마라 해를 잇는 해협으로서 보스포루스 해협과 함께 튀르키예를 아시아와 유럽 양쪽으로 나누는 대륙들 사이의 경계선 역할을 한다. 튀르키예에서는 차낙칼레 해협(Çanakkale Boğazı)이라고 부른다. 해협의 길이는 61km에 달하고1, 최소폭은 1.2km, 최대폭은 6km 정도다. 평균수심은 55m 정도에 최대수심은 103m이다. 다르다넬스 해협의 서쪽은 유럽 대륙이고 동쪽은 아시아 대륙으로서, 지중해와 흑해를 연결하는 매우 전략적 가치가 높은 천연해협 국제해로이다. 즉, (북쪽) 흑해-보스포루스 해협-마르마라 해-다르다넬스 해협-에게 해-지중해 (남쪽)의 순서이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 트로이도 다르다넬스 해협에 위치하여 무역을 활발히 할 수 있었다. 고대에는 헬레..

월경지(越境地, Exclave), 위요지(enclave, 圍繞地)

월경지(越境地, Exclave) 월경지를 한자로 풀이하면 '경계 너머의 땅'이라는 뜻으로, 본래 조선 시대의 행정구역에서 소속 군현의 관할구역에서 떨어져서 다른 군현 사이에 있는 땅을 뜻하는 용어였다. 이후 근대적인 지리학이 유입되면서 'exclave'의 번역어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월경지는 특정한 국가나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다른 나라 영토나 다른 행정구역에 둘러싸인 땅을 의미한다. 본토와 떨어진 땅이라도 섬처럼 애초에 육로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월경지라고 부르지 않는다. 예컨대 울릉도나 영국령 북아일랜드는 월경지가 아니다. 단지 영어에서 exclave는 바다에 면한 경우 바다 경계면 길이가 육지 경계면보다 짧은 경우에만 semi-exclave라고 부른다. 즉, 프랑스령 기아..

테헤란로, 1977년, 강남, 이란, 팔라비 왕조

테헤란로 테헤란路 | Teheran-ro | خیابان تهران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도로. 위치는 강남역에서부터 동쪽으로 종합운동장역이 근방에 있는 잠실자동차극장사거리까지다. 이름의 유래는 개통 당시 이란 제국의 수도였던 테헤란. 도로의 길이는 4.1km, 왕복 10차로, 너비는 50m이다. 이 도로 밑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그대로 지나간다. 강남역, 역삼역, 선릉역, 삼성역이 이 도로 지하에 있다. 강남역 사거리에서는 강남대로와 만나고 서초대로와 직결되어있다. 종점인 삼성교에서는 올림픽로와 직결된다. 과거에 "테헤란밸리"라고 불렸던 만큼 수 많은 기업들이 입주했고, 일부 벤처 기업들이 판교테크노밸리나 가산디지털단지로 옮겨가고 금융 기업들이 여의도로 옮겨갔지만 아직도 수도권 3대 기업 밀집..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 말라카 해협, 토마스 래플스, 리콴유, Republic of Singapore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화국Republic of Singapore | Republik Singapura新加坡共和國|新加坡共和国|சிங்கப்பூர் குடியரசு 역사1963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1965년 8월 9일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 싱가포르 공화국(Republic of Singapore)은 말레이반도의 남쪽 끝, 싱가포르섬에 있는 공화국이다. 북쪽의 조호르 해협을 두고 말레이시아의 조호르바루와 이어지며, 남쪽으로는 말라카 해협으로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와 마주보고 있다. 아시아의 대표적인 도시국가(시국)로, 간척지를 포함한 국토 면적이 733.5㎢13인 미니국가(ministate)에 해당한다. 지리적으로는 동남아시아에 속하나 경제적으로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고도로 발전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