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사회, 문화 Social, Culture

조선시대 3대 기녀, 3대 스캔들 여인

Jobs 9 2022. 1. 24. 13:45
반응형
◎조선 三大詩妓 = 황진이(黃眞伊. 名 眞).    매창(梅窓. 名 李香今).    부용(雲楚. 名 金芙蓉).
 
           *황진이(黃眞伊. 名 眞 1514~?) - 조선 중종 때 기녀로 미모와 歌唱 書史 詩가 등 예술적 재능을 가진 여성.
                                                         얼녀(孼女- 賤民의 妾에서 태어난 자식)출신은 양반의 첩으로도 될 수 없는 신분.
                                                                         ·서자(庶子). 서녀(庶女) - 良人 妾의 자손.
                                                                         ·얼자(孼子). 얼녀(孼女) - 賤人 妾의 자손.
                   ·김경원(金慶元 부운거사 1528~?)  조선중기 문신.   충청도 병마절도사. (첫 번째 남자)
                   ·벽계수(碧溪守 名 이창곤(李昌坤 충남)를 유혹한 시에  여색에 무관심.  미색에 현혹되지 않다가 결국 도취함.
                                                                충남은 조선 사대부 최고의 절조의  군자(宗室)였지만.
                   ·화담 서경덕(花潭 徐敬德 1489~1546)은 불도에 변함이 없어  유혹에 실패하고  스승처럼 생각하고 돌아옴.
                   ·지족선사(知足禪師)를 찾아가 미색으로 30년간 벽만 바라보고 수도에 정진하는 선사를 결국 굴복 파계시킴.
                   ·이사종(李嗣宗 1543~1634)은  1592년부터 6년 사랑.
                   ·소세양(蘇世讓 1486~1562. 조선중기 문신) 과의  30일간 사랑 후 이별.

          *매창(梅窓 李香今. 字 天香. 梅窓. 桂生 1573~1610)   조선 여류시인 ·기생(扶安 名妓).   (梅窓은 37세로 요절)
                               한시(漢詩)· 시조(時調)· 가무(歌舞)· 현금(玄琴). 다재다능한 예술인.    자색은 곱지는 않았다고 함.
                   ·촌은 유희경(村隱 劉希慶 1545~1636) - 1592년 만남.  (촌은 48세.  매창 20세 때 만남).
                   ·이귀(李貴. 字 李玉汝 1557~1632) - 김제군수.   매창은 20대 후반.
                   ·교산 허균(蛟山 許筠 1569~1618) - 육체적 관계는 없었다고 전해짐.

         *김부용(雲楚 金芙蓉 1800~1857) 성천 관기출신.   시화(詩畵)에 능함.   (1820~1869.1817~미상)
                   당대 권세가로   한강변 별장 일벽정(一碧亭)을 소유한 김이양(金履陽 1755~1845)의  소실.

   ◎조선시대 3대 섹스 스캔들의 여인

         *장녹수(張綠水 ?~1506) - 10代 燕山君 (1476~1506)시대 - 한국 역사속의 10대 미인.
                              폭군을 조종한 궁녀의 치맛바람. (조선 연산군 시대)
                              본래  제안대군(齊安大君)의 가비(家婢-여종)로 가난해서 시집도 여러 번 가고 자식까지 둔 여인이
                              가노(家奴-남자 종)에게 출가 후 자식을 하나 두었는데   장녹수는 흥청(興淸)이라는 기생 출신에서
                              용모가 뛰어나고 가무(歌舞)에 능해   30세의 나이에  연산군에게 발탁되어  후궁의 지위에까지 올라
                              총애를 받다가 숙원(淑媛)에 봉하고 왕비(王妃)에 오름.   연산군의 中宗반정 때 참형(斬刑)을 받음.

         *유감동(兪甘同 ?~?) - 4代 世宗 (1397~1450)시대 때  양반 출신 부녀자로 기생 · 무희 ·시인.
                              아버지는 검한성(檢漢城)을 지낸  유귀수(兪龜壽)였고    남편은 평강현감 최중기(崔仲基).
                              김여달이란 사람한테 강간당한 후
                              스스로를 기생 창기라 부르며  40여명과의  당대의  세도가 남자들과 관계를 맺었고
                              남편 지방함께 외간 남자 만나려고 병을 핑계 삼아 홀로 한성에 머무르면서 수많은 남자들과 정을 통해
​                              남편에게  버림을 받았고  세종 때 간통한 처벌 죄로  곤장을 맞고 노비(奴婢)가 된 여자.
                              1428년(세종 11년) 석방되었음.

        *어우동(於于同 또는 於乙宇同 ?~1480) - 9代 成宗 (1457~1494)시대 천하의 色女. - 한국 역사속의 10대 미인.
                              승문원 지사 박윤창(朴允昌)의 딸로   종실 태강수(泰江守) 이동(李仝)에게 시집가서
                              수십 명의  조관(朝官-벼슬치)과  유생(儒生)들과 난잡한 관계로 사회적 물의(風俗)를 이르켜
                              남편인  종실 태강수(泰江守) 이동(李仝)에게 소박 받고 의금부에 잡혀
                              1480년 10월 18일 바로  교형(絞刑-목을 매어 죽임)에 처해 짐.
                              의금부에서 아뢰기를   방산수(方山守) 이난(李瀾)과  수산수(守山守) 이기(李驥)가
                              어우동(於宇同)과 간통한  관리의 죄는
                              율(律) 장(杖) 1백대.  도(徒-구속형) 3년과  고신(告身-관리의 임명장)을  박탈하는 데에 해당하여
                              은(銀)을 대신 바치게 한 후   고신(告身)만 거두고 먼 지방에 부처(付處)하게 하고.
                              어우동(於于同)은  교형(絞刑)에 처하는 조치를 취함.
                                                                     ※율(律)- 조선의 형률은 대체로 대명률에 규정된 것을 준용.

 

              *靜夜思 (정야사)     차천로 (車天輅 1556~1615)      조선중기 문신.

                            相思無路莫相思  (상사무로막상사)  -  만날 길 없는 사랑이 무슨 사랑 인가요

                            暮雨遙雲只暫時  (모우요운지잠시)  -  달콤한 사랑도 잠깐뿐이었어요

                            孤夢不知關邊邊  (고몽부지관변변)  -  외로운 꿈속 길은 변방이 먼 줄 몰라

                            夜隨明月到天涯  (야수명월도천애)  -  달빛 따라 헤매다 하늘 끝에  닿아요​

 

             *梅窓疏越 (매창소월 - 매화 창에 비친 달)     성삼문 (成三問 1418~1456)   사육신.

                               溫溫人似玉  (온온인사옥)  -  온화한 사람은 마치 옥과 같고

                            露露花如雪  (로로화여설)  -  몽실 몽실 피는 꽃은 눈과 같구나

                            相看兩不言  (상간양불언)  -  서로 마주 보며 말이 없으니

                            照似靑天月  (조사청천월)  -  푸른 하늘에 달만 비추는 구나

                             ↕

                            溫溫人似玉 (온온인사옥) - 사람은 훈훈하기가 마치 옥(玉)과 같고

                            譪藹花如雪 (애애화여설) - 꽃은 흐드러지게 피어 눈(설-雪)인 듯 하네

                            相看兩不言 (상간양불언) - 서로 마주 보며 말이 없으니

                            照似靑天月 (조사청천월) - 푸른 하늘에 뜬 달만 비추고 있네

 

             *詠紫薇花 (영자미화)    정철 (松江 鄭澈)은 전라감사 때 머리를 얻어준 童妓 紫薇(江娥)를 평생 사랑했고 도성지가 되어  서울로 가며 이별하면서 써준 詩.

                            一園春色紫薇花   (일원춘색자미화)  -  봄빛 가득한 동산에 자미화 곱게 피어

                            纔看佳人勝玉釵   (재간가인승옥채)  -  그 예쁜 얼굴은 옥비녀 보다 곱구나

                            莫向長安樓上望   (막향장안루상망)  -  망루에 올라 장안을 바라보지 마라

                            滿街爭是戀芳華   (만가쟁시연방화)  -  거리의 모든 사람 꽃다운 네 모습 연모하여 다투리

             *燕山君 詩 (연산군 시)   조선 10대 임금으로 폐위 됨.     (조금 고쳐서 올림)

                            眉似春娟柳  (미사춘연류)  -  눈썹은 봄날의 버들가지 같이 고와라       媚(아첨할미)→眉(눈썹미). 娟(예쁠연)

                            顔如露愕芳  (안여로악방)  -  얼굴은 이슬 맺힌 듯 꽃 같아 놀라네

                            朱脣開皓齒  (주순개호치)  -  붉은 입술로 하얀 치아 드러내면

                            能斷蕩夫腸  (능단탕부장)  -  바람둥이들의 애간장을 녹이리라

             *詠杜鵑花(영두견화)     정씨 (鄭氏)    정자순(鄭自順)의 딸.    정찬우(鄭纘禹)의 부인.

                            昨夜春風入洞房  (작야춘풍입동방)  -  어젯밤 봄바람이 방에 들어오더니

                            一張雲錦爛紅芳  (일장운금난홍방)  -  한 폭 구름 비단 붉은 꽃에 향내 서렸네

                            此花開處聞啼鳥  (차화개처문제조)  -  이 꽃 피는 곳에 새 울음소리 들리니

                            一詠幽姿一斷腸  (일영유자일단장)  -  그윽한 자태로 울 때마다 남의 애를 끊네

             *繡梅枕 (수매침)     이씨 (李氏)   광주(光州) 문관  이영(李渶)의 누이.

                            一幅寒槎色  (일폭한사색)  -  한 폭 차갑게 비낀 빛이여

                            佳人繡裏眞  (가인수이진)  -  고운임은 수(繡)속에 참으로 순수하구나              繡(수수)수놓다.

                            冰條與雪萼  (빙조여설악)  -  얼음 같은 가지와 눈 꽃받침

                            長帶枕邊春  (장대침변춘)  -  베개 가에 길게 봄을 둘렀네

             *無題 (무제)     임제 (白湖 林悌 1549~1587)      조선중기 시인·문신.

                                                                         송도를 지나다  黃眞伊(1514~?) 무덤에  술 한 잔 놓고 절을 올린뒤 지은 시.

                            脈脈雲蹤去後疑  (맥맥운종거후의)  -  사뿐사뿐 고운걸음 진정 떠나는가?

                            餘香唯有半衫知  (여향유유반삼지)  -  오직 적삼에 향기 남아 있을 뿐

                            無腸可斷虛怊悵  (무장가단허초창)  -  끊어질 창자 없어 슬픔도 부질없으니

                            不及相思掩淚時  (불급상사엄루시)  -  서로 그리워하며 눈물 흘릴 때만 못하네

             *自傷 (자상)       이씨 (李氏)    이신(李神)의 동생으로  광해군(1609~1622) 때  궁녀.

                              시문에 능해 광해군이 항상 상궁(尙宮)과 소용(昭容)에 견주었다고 함.

                              광해군 폐출 후 심기원(沈器遠 1587~1644)의 소실이 되었다가 역모로 처형된 뒤 낙서 김자점(洛西 金自點 1588~1651)의 소실이 됨.

                            歌坮舞殿惣成塵  (가대무전총성진)  -  노래하고 춤추던 전각이 모두 먼지가 되었네

                            舊日繁華似隔晨  (구일번화사격신)  -  옛날 번화했던 시절이 어제 아침 같은데

                            怊悵宮花餘一朶  (초창궁화여일타)  -  슬프구나 한 떨기 남은 궁중의 꽃

                            幾番風雨泣殘春  (기번풍우읍잔춘)  -  비바람 가는 봄에 얼마나 울었던가

             *觀優戱 (관우희)     송만재 (宋晩載 1788~1851)   조선후기 판소리의 연구자료인 觀優戱五十首 저자.

                            擧手徘徊一打扇  (거수배회일타선)  -  손들고 빙 돌고는 부채를 탁치니

                            商沈宮仄笑談閑  (상침궁측소담한)  -  낮은 소리 떨어지는 소리에 우스개도 한다네

                            誰家墜髺庸粧女  (수가추괄용장녀)  -  수수한 저 아낙 뉘 집 사람인지

                            紅杏墻頭露半顔  (홍행장두로반안)  -  살구꽃 담장으로 얼굴 살짝 내밀었네

             *情談 (정담)      김병연 (蘭皐 金炳淵 1807~1863)   조선후기 방랑시인(放浪詩人).

                            樓上相逢視目明  (루상상봉시목명)  -  누상에 올라 만나보니 볼수록 아름답고

                            有情無語似無情  (유정무어사무정)  -  사랑한다는 말을 못하니 무심한 듯 바라보네

                            花無一語多情密  (화무일어다정밀)  -  꽃은 말 한마디 안 해도 정답게 꿀을 주고

                            月不踰墻問深房  (월불유장문심방)  -  달은 담장을 넘지 않고도 깊은 방을 엿본다오

             *題畵 (제화)    정섭 (板橋 鄭燮 1693~1765)   중국 청대중기 문인·화가.  양주 8괴(楊州八怪)의 한 사람.

                            一節復一節  (일절부일절)  -  한 마디 다시 한 마디

                            千枝攢萬葉  (천지찬만엽)  -  천 가지에 만개의 잎 모였네

                            我自不開花  (아자불개화)  -  내 스스로 꽃을 피우지 않는 것은

                            免撩蜂與蝶  (면료봉여접)  -  벌과 나비의 어지럽힘을 면해서라네

             *贈妓 (증기 - 기녀에게 주다)      정습명 (鄭襲明 ?~1151)     고려중의 문신.

                            百花叢裏淡丰容  (백화총리담봉용)  -  백화 총총한 속에 청초한 그 모습

                            忽被狂風减却紅  (홀피광풍감각홍)  -  홀연히 광풍 만나 붉은 기색 덜었구나

                            獺髓未能醫玉頰  (달수미능의옥협)  -  수달의 골도 옥 같은 뺨 고치지 못하니

                            五陵公子恨無窮  (오릉공자한무궁)  -  오릉의 공자들 한이 무궁하여라

                                                                                  ·봉용(丰容)- 아름다운 모양. 맵시 있는 모양

                                                                                  ·달수(獺髓)- 수달(水獺)의 골

                                                             ·五陵公子- 五陵은 漢나라 서울 장안(長安)의 귀한 집 자제가 여자들과 풍류하는 곳.

             *相思 (상사)   김씨 (金氏 1611~1661)     잠곡 김육(潛谷 金堉 1580~1658)의 딸.   감사 서문리(監司 徐文履)의 부인.

                            向來消息問如何  (향래소식문여하)  -  요즈음 우리 임은 어떻게 지내시는지

                            一夜相思鬢欲華  (일야상사빈욕화)  -  밤새 그리움에 머리가 세려 하네

                            獨倚雕欄眠不得  (독의조난면부득)  -  홀로 난간에 기대어 잠 못 이루니

                            隔簾踈竹雨聲多  (격렴소죽우성다)  -  발 너머 대숲에선 비오는 소리

             *헤여질까 두려워 (강계 기생 秋月과의 만남)    김병연 (蘭皐 金炳淵  = 김삿갓.金笠 1807~1863)    조선후기 방랑시인.

                            久慕偶相逢  (구모우상봉)  -  오래 사모하다 우연히 만나 되니

                            俱疑是夢中  (구의시몽중)  -  모두가 꿈이 아닌가 싶사옵니다

                            卽今歡樂事  (즉금환락사)  -  지금은 이렇게 즐기고 있어도

                            心裏畏空房  (심리외공방)  -  언제 또 혼자될까 두렵습니다

             *夢魂 (몽혼 - 꿈속의 넋) / 自述 (자술)       이옥봉 (李玉峰 이름 李淑媛 1550?~1590)      조선 여류시인.

                                                                           조선 선조 때 충청도 옥천 군수를 지낸 양녕대군의 고손자인

                                                                           자운 이봉(子雲 李逢 1526~?)의 서녀(庶女).

                                                                           承旨를 지낸 운강 조원(雲江 趙瑗 1544~1595)의 소실.

                                                                           조원(趙援)을 사모하여 소실로 들어 갈 때  詩를 짓지 말라는 약속을 어겨서

                                                                           버림받은 뒤 恨과 그리움이 애절해서 지은 시.

                          -柳外江頭五馬嘶  (류외강두오마시)  -  버들 강가에서 오화마 울음소리 들려 오화마?

                           半醒半醉下樓時  (반성반취하루시)  -  취한 듯 깬 듯 누각을 내려오네

                           春紅欲瘦臨粧鏡  (춘홍욕수임장경)  -  고운 얼굴 수척하여 거울을 끌어당겨

                           試畵梅窓半月眉  (시화매창반월미)  -  매화 핀 창가에서 반달눈썹을 그려봅니다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  요즈음 어떻게 지내시는지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  달 드는 사창에 한이 더욱 서리네요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  꿈속에 넋이 오간 흔적 남는다면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  문 앞 돌길이 반은 모래가 되었을 거예요

                           ↕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  근래 안부를 여쭙니다 어떠신가요?

                           月白紗窓妾恨多  (월백사창첩한다)  -  달 밝은 비단 창에 소첩의 한은 많기도 합니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  만약 몽혼으로 하여금 다닌 길에 자취가 남게 한다면

                           門前石路已成沙  (문전석로이성사)  -  문 앞 돌길은 이미 모래가 되었을 거예요

             *鳳箏引 (봉쟁인)     신흠 (象村 申欽 1566~1628)      조선중기 문신.

                            披紈曳綺臨雕楹  (피환예기림조영)  -  화려한 비단옷 입고 아로새긴 기둥 임하여

​                            含睇微笑調鳳箏  (함제미소조봉쟁)  -  예쁘게 곁눈질하고 미소지며 봉쟁을 타노니

                            雁柱乍移聲窅綿  (안주사이성요면)  -  기러기발 언뜻 옮기자 소리 요원해지고

                            金撥欲轉曲崢嶸  (금발욕전곡쟁영)  -  금술대 돌리려 하매 곡조 높아지도다

​                            瑶觴桂醞酌上賓  (요상계온작상빈)  -  옥술잔에 계피주 부어 상빈께 올리노니

                            穠李夭桃嬌艶春  (농리요도교염춘)  -  화사한 오얏꽃 고운 복사꽃 요염한 봄이로세 ①

                            翠袖婀娜爲君舞  (취수아나위군무)  -  푸른 소매 하늘거리며 그대 위해 춤출 제

                            瓊筵靚穆不動塵  (경연정목부동진)  -  화려한 자리 조용해라 먼지도 일지 않네

                            牽牛婺女西復東  (견우무녀서복동)  -  견우와 직녀는 동서로 떨어져 있고

                            嫦娥孤眠廣寒宮  (항아고면광한궁)  -  항아는 외로이 광한궁에 잠들었나니 ②

                            生憎綠綺別鶴操  (생증록기별학조)  -  녹기의 별학조는 가증스럽기만 하고 ③

                            可羨元央函萏叢  (가선원앙함담총)  -  연꽃 밭의 원앙새는 부러움직하여라

                            歌扇當窓月作容  (가선당창월작용)  -  노래하는 부채 둥근 달 모양 같나니 ④

                            南山不老期相終  (남산불로기상종)  -  남산처럼 오래도록 해로하기를 기약하세

                            更衣莫怕蘭麝歇  (갱의막파란사헐)  -  옷을 갈아입음에 좋은 향기 다할까 두려워 말라

                            文疏密箔韶光濃  (문소밀박소광농)  -  화려한 창 밴 주렴에 봄빛이 무르녹네

                                                                ①모두 미인(美人)을 형용한 말.

                                                                ②항아(嫦娥)는 달 속에 있다는 선녀(仙女)를 말하고

                                                                                             광한궁(廣寒宮)은 또한  달 속에 있다는 궁전(宮殿) 이름.

                                                                ③녹기(綠綺)는 거문고 이름으로 전하여 거문고를 말함.

                                                                                            별학조(別鶴操)는 악부(樂府) 금곡(琴曲)의 이름.

                                                                                 상릉(商陵)의 목자(牧子)가 장가든지 5년이 되도록 자식이 없어

                                                                                 그의 부형(父兄)이 그를 다시 장가들이려 하자 그의 아내가 그 사실을 알고

                                                                                 밤중에 일어나 문을 기대고 휘파람을 슬피 불어 목자가 그 소리를 슬피 여겨

                                                                                 거문고를 가져다가 노래한 것을 후인이 취하여 악장(樂章)으로 만든 것이라 함.

                                                                ④한(漢)나라 성제 유오(成帝 劉驁 BC52~BC7)로부터 총애를 잃고 이를 상심하여 지은

                                                                                  반첩여(班婕妤)의 단선사(團扇詞) 글에서 온 말인 듯.

                                                                                  *班婕妤(BC48~BC2)는 西漢成帝 劉驁가 BC32년 즉위할 무렵 후궁이 됨.

​                            *團扇詞 (단선사)     반첩여 (班婕妤  BC48~BC2)

                                       新裂齊紈素  (신열제환소)  -  흰 비단을 새로 짜개니

                                       皎潔如霜雪  (교결여상설)  -  깨끗하기 눈서리 같고

                                       裁爲合歡扇  (재위합환선)  -  이것으로 합환선을 만드니              合歡扇- 부채?

                                       團團似明月  (단단사명월)  -  둥실하기 밝은 달 같았네

                                       出入君懷袖  (출입군회수)  -  임금의 품속에 드나들면서

                                       動搖微風發  (동요미풍발)  -  흔들어 실바람 내었나니

                                       常恐秋節至  (상공추절지)  -  항상 두려운 건 가을이 와서

                                       涼颷奪炎熱  (량표탈염열)  -  서늘한 바람이 더위를 빼앗아

                                       棄捐筮笥中  (기손서사중)  -  상자 속에 버려져서

                                       恩情中道絶  (은정중도절)  -  은정이 중도에 끊어짐일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