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조직론

Porter&Lawler 업적만족이론, 기대이론, 과정이론

Jobs 9 2022. 10. 1. 16:18
반응형

기대이론은 동기유발의 [과정이론]으로 동기유발의 과정을 파악하는데 초점
동기가 어떻게(HOW)유발되는지를 파악
Adams 공정성 이론, Vroom과 Poter&Lawler의 업적만족이론, Locke의 목표설정이론 등

 

● V.Vroom의 기대이론 (VIE이론)

✽ 기대감(Expectancy) - 노력·능력을 투입하면 성과가 있을 것이라는 주관적인 기대감 
✽ 수단성(Instrumentality) - 성과(1차 산출)가 바람직한 보상(2차 산출·결과)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는 주관적인 정도  
✽ 유의성(Valence) - 보상(2차 산출이나 결과)의 중요성에 대한 주관적인 선호의 강도

 

동기부여는 기대감(expectation), 수단성(instrumentality), 보상의 유의성(valence)의 곱
 
동기부여(M)=f(기대감*수단성*유의성)

기대이론에서 <노력>은 <동기유발>의 결과로 나타나고, <성과>는 <노력>의 결과로 만들어진다고 본다. 기대이론에서는 이러한 단계들의 연결을 중요시한다.

동기유발 -> 노력 -> 성과
 


● Porter&Lawler의 기대이론 확장 모형 - 업적만족이론

기존 이론 차이점
내용이론 : 만족이 업적 향상 ⇔ P L 업적만족이론 : 업적이 만족을 가져온다.
업적과 결부된 보상, 그리고 어떤 노력이 공평한 보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대가 직무수행능력과 생산성을 좌우

포터와 로울러는 브룸(Vroom)의 기대이론을 기초로 작업관련변수를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모형을 개발

① 직원은 자신이 받을 보상이 가치 있고 성과를 내서 보상을 받을 확률이 존재하거나 높을 때 [노력]을 하게 된다.
② 직원의 노력은 능력과 특성, 역할자각이라는 작업관련변수와 결부되어 성과를 만들어 낸다.
③ 성과에 대해서는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이 주어지는데 이런 보상이 공평한 것으로 지각되면 만족을 느끼게 된다.
④ 이런 [만족]은 순환적으로 미래에 직원이 받게 되는 보상의 가치과 성과를 내서 보상을 받을 확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시 노력하게 된다는 것이다.

(보상의 가치/지각된 보상 확률) -> 노력 -> (능력, 특성, 역할자각) -> 성과 -> (내재적 보상/외재적 보상) -> 보상의 공평성 지각 -> 만족

확장모형은 동기유발 과정을 설명하면서 다른 이론에 비해서 많은 변수들을 동원하여 포괄적으로 설명했다. 허쯔버그(Herzberge)의 2요인 이론에서 처럼 막연히 고려했던 만족과 성과와 관계를 명확히 규명했다는 평가 

 기대이론은 통제 위치(Locus of Control)의 내재론자에게 더 잘 작용한다. 이들은 스스로 노력으로 성공하려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대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다.

 


 Q 
 동기부여이론과 그 활용이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① A부서는 Vroom의 기대이론에 따라 선택적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조직원들의 기대감(expectancy)을 높였다.
② Herzberg의 2요인이론에 따르면 동기요인인 보수보다는 위생요인인 성취와 인정이 동기부여에 효과적이므로 B부서는 모든 직급과 연령대의 구성원들에게 보수의 향상보다는 성취와 인정을 느끼는 방안을 도입했다.
③ C부서는 Hackman&Oldham 직무특성이론에 따라 직무분석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동기부여를 향상시켰다.
④ D부서는 Adams의 공정성이론에 따라 준거인물을 설정할 수 없도록 재택근무제도를 도입했다.
⑤ E부서는 Herzberg의 직무확충이론에 따라 표준운영절차(SOP)를 강화했다. 

【해설】 정답 ③ 
① 기대감(E)은 노력(행동)이 산출(성과)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주관적 확률로서 선택적 복지제도와 같은 경제적·물질적 유인과는 직접 관계가 없다.
② 보수는 위생요인이고, 성취와 인정감은 동기요인
④ Adams 공정성이론은 노력과 보상간 비율을 준거인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때 행동이 유발된다는 이론
⑤ Herzberg의 직무확충이론은 직무를 양적으로 다양화하는 직무확대와 질적으로 직무의 자율과 책임을 심화시키는 직무충실(풍요화)을 강조하는 직무재설계(탈전통적 직무설계)를 통한 현대적 동기부여이론으로 표준운영절차(SOP) 등을 통하여 기계적 구조를 확립하려는 전통적 직무설계와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