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고전문학

유구곡(維鳩曲), 고려속요, 비두로기 노래

Jobs 9 2022. 1. 23. 17:30
반응형

유구곡(維鳩曲)

원문
현대어 풀이
비두로기 새ᄂᆞᆫ 비두로기 새ᄂᆞᆫ
우루믈 우르ᄃᆡ
버곡댜ᇰ이ᅀᅡ 난 됴해
버곡댜ᇰ이ᅀᅡ 난 됴해
비둘기새는 비둘기새는
울음을 울되
뻐꾸기야말로 나는 좋아라
뻐꾸기야말로 나는 좋아라

 

이해와 감상
 작자 미상의 고려 속요로 연 구분이 없는 비연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노래는 고려 예종이 지었다는 <벌곡조>의 개제(改題)인 듯하다. <벌곡조>는 가사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다만 [고려사악지]에 그 제작동기만 밝혀져 있다.  --- " 간관(諫官)이라고 임금의 잘못을 말하는 벼슬아치가 있는데, 임금이 화를 내지 않고 곧바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면서 고치게 만드는  이를 일등 간관이라고 불렀다. 그 일등 간관을 '봉황새의 울음소리'라고 말하는 것이다. 비두로기 새는 가냘픈  소리로 울 뿐만 아니라, 잘 울지 못하는 새이기 때문에 비두로기의 울음소리는 간관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맑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면서 오래도록 잘 우는 새가 버국새이다. 간관의 직분을 게을리하지 않기 위하여 임금을 보고 곧바로 울어 젖히는 이를 버국새간관이라고 말한다. 예종이 자신의 허물과 정치의 잘잘못을 들을 수 있는 길을 넓히고자 하였으나, 간관들이 오히려 임금을 두려워하여 임금의 잘못을 이야기해 주지 않자 그 간관들을 넌지시 타일러 주기 위하여 울기를  잘하는 <버국새 노래>를 지었던 것이다(高麗史 樂志).  " ----
한마디로 이 노래의 내용은 "비둘기는 울면서 노래하지만 겁이 많고, 뻐꾸기보다 못해 나는 뻐꾸기가 좋다, 뻐꾸기야말로 좋아라"는 짧은 노래이다.  '비둘기'는 중신을, '뻐꾸기'는 백성을 비유한 말로 해석된다. 겁이 많은 신하들을 풍유함으로써 백성들의 너른 여론을 듣고자 했다는 내용이 백성들의 정서에 부합되어 민요로 정착되어 당시 백성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결한 형식의 노래이면서 별다른 기교가 없지만, 몇 마디의 말 속에는 빛나는 함축과 풍자가 숨어 있다. 당시의 정치를 풍자한 것으로 솔직한 여론을 듣고 싶어 하는 임금의 마음을 표현한 노래이다.

 

요점정리
- 성격 : 고려속요
- 주제 : 뻐꾸기 울음을 듣고 싶음(백성들의 여론을 듣고자 함)
- 별칭 : 비두로기 노래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