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고대

원시공동체 사회,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고대 #02]

Jobs 9 2022. 11. 20. 16:08
반응형

제 1편 선사.고대

제2장 원시공동체 사회

 

역사시대 : 문자 [○] → 사료 중요
선사시대 : 문자 [×] → 유물, 유적 중요★

 

★ 암기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후기 - 흥수동 달제양 

 

★ 암기
신석기 유물 - 신갈빗가눌 이른덧
신석기 유적지 신고수 암오동미궁

 

구석기 신석기
●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굴유적지 
연 경기도 천 전곡리 
석 공주 장리 
검 평남 상원 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구석기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굴 웅기 포리 서포항 
역 평양 포 대현동 
심 강원도 명주 곡리 
상 강원도 양구 무룡리 
승 덕천 리산 
빌 제주 레못 동굴 
점 제천 말동굴 

● 구석기 후기 - 흥수동 달제양 

흥 어린수아이 
수 단양 양개 
동 종성 관진 
달 평양 만리 
천창내 
양 남주호평
● 신석기 유물 - 신갈빗가눌 이른덧
돌, 갈판
살무늬토기 
락바퀴, 뼈바늘
러찍기무늬토기
이른 이른민무늬토기 
무늬토기 

● 신석기 유적지 - 신고수 암오동미궁

고 제주도 한경 산리 
수 김해 가리 
암 서울 사동 
오 강원도 양양 산리 
동 부산 삼동 
미 경기하남 사리 
궁 평남 온천 산리








 

 

● 선사시대 구분

구분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경제 수렵⋅채집어로 초기: 수렵 어로
후기: 농경⋅목축시작
벼농사 시작(BC8) 농업혁명
토기   이른민무늬토기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토기
압인문토기
덧띠새김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미송리식토기
붉은간토기
중국식 회도
덧띠토기
김해식(가야)토기
검은간토기
주거 막집+동굴 해안ㆍ강가(수변생활)
움집+동굴

(원형,방형,중앙에화덕)
내륙에 집단취락
야산의 구릉지
움집+지상가옥
(사각,장방형,한쪽에화덕)
귀틀집, 초가집
온돌구조
배산임수
산성거주
석기 뗀석기 간석기 간석기

유물 주먹도끼, 팔매돌
슴베찌르개, 찍개
찌르개 ,새기개
긁개, 밀개(조리용). 자르개
갈돌⋅갈판(조리용)
가락바퀴(방추차), 뼈바늘 

돌괭이ㆍ돌보습
비파형동검(북방계통)
거친무늬거울(조문경)
홈자귀 반달돌칼
고령양전동 암각화
울주반구대 암각화
세형동검(마한지역
영산강ㆍ금강유역)
잔무늬거울(세문경)
거푸집
명도전
농사
기구
X 조 피 수수 기장
돌괭이 돌보습
보리 콩 벼
반달돌칼 홈자귀
벼농사 발달
철제(청동X) 농기구
철제무기(청동기의기화)
국가
형태
무리사회 씨족⋅부족사회 군장(성읍)국가 초기: 연맹국가
후기: 고대국가
사회 평등사회
이동생활
평등사회
부족사회
정착생활(집단취락X)
족외혼(폐쇄적)
족장(군장)사회
분업사회(집단취락O)
가부장적사회
사유재산⋅계급발생
친족공동체사회
사유재산
계급분화 심화
민족
기원
한반도 최초거주 우리민족의 기원
민족의 기틀마련
우리민족의 주류

 

 

 

● 유적지 

∘ 단양 금굴: 가장 오래된 구석기 유적(最古)
* cf. 한반도 최고의 신석기 집터 유적지: 양양오산리 (덧무늬토기 발견)

∘ 공주 석장리: 해방 후 남한에서 발견된 최초의 구석기 유적(전기~후기)

∘ 종성 동관진: 일제 강점기(1933)에 발견된 최초의 구석기 유적지, 일본학자들은 인정 X

∘ 인골 화석: 덕천 승리산, 만달리유적, 청원 두루봉(흥수아이, 장례흔적), 단양 상시리(남한최초), 제천 점말동굴, 역포 대현동

∘ 선각화(주술적신앙): 단양 수양개, 공주 석장리 *cf.암각화 X

∘ 암사동 선사유적지
- 1979년 7월26일 사적 제267호로 지정, 서로 다른 시기의 문화층이 발견
- 맨 밑에 층에서 신석기 유물 발견, 두 번째 층에서 신석기 유물과 청동기 유물이 동시에 출토, 맨 위층에는 백제의 유적도 발견 , but 고인돌 출토X

∘ 황해도 봉산 지탑리ㆍ평양 남경 유적: 탄화된 좁쌀 발견 ⇒ 신석기 시대 후기의 농경 흔적

∘ 경기도 여주 흔암리ㆍ충남 부여 송국리: 탄화미 발견 ⇒ 청동기 시대의 벼농사 흔적, 중국에서 전래

∘ 제주 한경면 고산리 유적: 신석기 시대를 BC 6천년에서 BC 8천년으로 앞당김, 한반도에서도 구·신석기
시대가 자연스럽게 연결됨을 입증. * 청동기 시대를 500~1000년 앞당겨 BC 2천 ~ BC 1500년에 한반도 청동기 시대가 본격화 된 사실을 입증하는 유물은 덧띠새김무늬토기

∘ 암각화: 울주 반구대(고래ㆍ짐승 등 사냥감), 울주 천전리(제1암각화-사냥감, 제2암각화-기하무늬), 고령양전동 알터(○ + △ 기하무늬), 칠포(국내 최대규모)


 


● 구석기 시대


1. 구석기 시대 - 동굴, 바위그늘, 평지(집터)
  ․함북 웅기 굴포리      ⇒ 두만강
  종성 동관진      ⇒ 맘모스, 코뿔소 화석, 석기, 골각기
  ․평남 덕천 승리산동굴  ⇒ 아래턱뼈
평양 만달리동굴  ⇒ 머리뼈, 아래턱뼈
평양 상원 검은모루동굴
  ․황해도 평산 해상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 주먹도끼(아프리카 아술리안형 도끼와 유사)
  ․충남 - 공주 석장리      ⇒ 집터(화덕자리,후기구석기)
  ․충북 단양 상시리      ⇒ 바위그늘, 인골(상시인)
청원 두루봉동굴  ⇒ 어린이뼈(홍수아이인)
제천 점말동굴
  ․강원도 명주 심곡리
  ․제주도 빌레못동굴

2. 구석기인의 생활과 문화 - 수렵, 채취생활
  ․사냥도구 -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요리도구 - 긁개, 밀개
  ․공작도구 - 새기개

 

 

● 신석기인의 등장


1. 신석기인의 등장  (B.C. 4000 ~ B.C. 10세기)
  ․전기 (BC 6000) : 원시 민무늬토기(原始無文土器),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북 만포, 강원도 오산리, 부산 동삼동, 경남 상노대도
       (만주 흑룡강 중류, 대마도)
  ․중기 (BC 4000)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남 대동 청호리, 서울 강동 암사동, 경기도 양주 미소리, 부산 영도 동삼동
       (요동반도, 송화강 유역, 內몽고, 발해주)
  ․후기 (BC 2000) : 平底즐문토기, 물결무늬토기(波狀文土器), 번개무늬토기(雷文土器)
                     ⇒ 중국 칠무늬(彩文土器) 영향받음
     - 함북 청진 농포동, 평남 온천 궁산리, 황해도 봉산 지탑리, 경기도 부천 시도,
       강원도 춘천 교동

2. 신석기인의 생활 - 강가, 바닷가, 내륙지방(후기)
  ․어로 - 돌로 만든 그물추(石錘), 작살, 낚시, 조개잡이
    사냥 - 돌로 만든 화살촉, 창 - 사슴, 노루, 멧돼지
    과일 채집
  ․농경 시작 - 괭이, 반달돌칼(추수용)
               피, 기장, 조 같은 밭곡식 재배
  ․주거지 - 움집, 원형→정방,장방형 변화
             가운데 화덕자리, 저장구덩
             뼈바늘, 가락바퀴(직물), 꾸미개

신석기 청동기
밭농사 벼농사
조, 피, 수수, 기장 보리, 밀, 콩, 팥, 피
물 뿌려야 물 고여야

●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1. 씨족 공동체의 사회 - 취락을 이루고 집단생활, 자급 자족하는 경제 독립체
  ․기본 사회 단위 - “씨족”  ⇒ 촌락을 이루고 삶 (혈연중심)
       예) 혁거세의 전설 - 6村
  ․토테미즘 - 자연물과의 친근관계 ; 다른 씨족과 구별지음
       예) 곰, 호랑이...
  ․씨족회의 → 신라의 和白
  ․공동 생산활동 → 두레

2. 무속신앙
  ․애니미즘 - 우주의 만물이 영혼을 지니고 있다 ; 영혼 불멸 사상
       예) 태양, 산, 강, 나무
  ․샤머니즘 - 주술 (질병·불행 퇴치)

3. 원시예술
  ․토기 - 빗살무늬토기, 번개무늬(雷文)토기
  ․조각품 
    - 암사동 : 동물모양 토우
    - 오산리 : 흙으로 빚은 안면상
    - 동삼동 : 눈과 입을 뚫은 패면(貝面), 장식용 구슬

 

반응형



 Q  다음 유물들이 대표하는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처음으로 농경이 시작되었다.
② 권력을 가진 지배자가 등장하였다.
③ 뗀석기를 주로 이용하였다.
④ 주로 동굴에 거주하거나 막집에 살았다.

【해설】 정답 ①

신석기시대 유물

신석기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가락바퀴, 갈돌과 갈판

① 신석기시대부터 원시 농경이 시작되어 정착 생활

② 청동기 시대에는 정치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지배자가 등장하였는데, 이 지배자를 군장(족장)

③ 구석기시대에는 돌을 깨뜨려 만든 뗀석기를 사용

④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대체로 움집을 지어 살았으며,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거나 물을 얻기 쉬운 강가에 막집을 짓고 생활

 

 

 Q  다음 중 구석기 시대 유적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경기 연천 전곡리에서는 아슐리안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방대한 석기가 출토되었다. 
② 부산 동삼동에서 출토된 조개 가면은 국자 가리비에 사람의 눈과 입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집단의 공동체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③ 충북 제천 점말동굴에서는 사람 얼굴을 새긴 동물의 뼈가 출토되었다.   
④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에서는 주먹도끼와 외날찍개가 출토되었다. 

【해설】 정답 ②

구석기 신석기
●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굴유적지 
연 경기도 천 전곡리 
석 공주 장리 
검 평남 상원 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구석기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굴 웅기 포리 서포항 
역 평양 포 대현동 
심 강원도 명주 곡리 
상 강원도 양구 무룡리 
승 덕천 리산 
빌 제주 레못 동굴 
점 제천 말동굴 
● 신석기 유적지 - 신고수 암오동미궁
고 제주도 한경 산리 
수 김해 가리 
암 서울 사동 
오 강원도 양양 산리 
동 부산 삼동 
미 경기하남 사리 
궁 평남 온천 산리








구석기 유적지
경기 연천 전곡리(1978): 주먹도끼(아슐리안형: 양면핵석기, 동아시아 최초의 희귀성)와 4000 점 이상의 방대한 석기 출토, 전기 구석기 말
충북 제천 점말 동굴(1973): 중기 구석기층에서 사람의 얼굴을 새긴 털코뿔이 앞팔뼈와 사람의 자국 등이 발견되었고, 후기 구석기층에서도 사람의 발뼈와 손뼈가 발견되었다.
평북 상원 검은모루 동굴(1966): 60~40만년의 전기 구석기 유적. 주먹도끼, 외날 찌개, 긁개 등 전기 뗀석기와 물소, 코끼리 등의 아열대 동물 화석 출토. 
② 신석기 유적지인 부산 동삼동 유적에서 출토된 조개껍데기 가면은 국자 가리비에 사람의 눈과 입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신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집단의 공동체 의식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Q  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양양 오산리 유적 – 덧무늬 토기
ㄴ. 서울 암사동 유적 – 빗살무늬 토기
ㄷ. 공주 석장리 유적 – 미송리식 토기
ㄹ. 부산 동삼동 유적 –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설】 정답 

구석기 신석기
●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굴유적지 
연 경기도 천 전곡리 
석 공주 장리 
검 평남 상원 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신석기 유물 - 신갈빗가눌 이른덧
 돌, 갈판
 살무늬토기 
 락바퀴, 뼈바늘
 러찍기무늬토기
이른 이른민무늬토기 
 무늬토기 

● 신석기 유적지 - 신고수 암오동미궁

고 제주도 한경 산리 
수 김해 가리 
암 서울 사동 
오 강원도 양양 산리 
동 부산 삼동 
미 경기하남 사리 
궁 평남 온천 산리


ㄱ. 양양 오산리 유적은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 토제 인면상과 백두산 산 흑요석기, 결합식낚시 바늘이 발견되었고, 신석기 시대의 토기인 납작 밑 토기, 덧무늬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ㄴ. 서울 암사동 유적은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집터 유적으로, 뾰족 바닥의 빗살무늬 토기와 원형의 움집터가 발견되었다. 

ㄷ. 공주 석장리 유적은 구석기시대의 유적이다. 그러나 미송리식 토기는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토기이다.

ㄹ. 부산 동삼동 유적은 신석기시대의 유적이다. 그러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구석기시대 유적인 경기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Q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 충북 청주 산성동 출토 가락바퀴 
○ 경남 통영 연대도 출토 치레걸이 
○ 인천 옹진 소야도 출토 조개 껍데기 가면 
○ 강원 양양 오산리 출토 사람 얼굴 조각상


①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②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③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④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해설】 정답 ③
사료의 유물들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 ③ 신석기시대에 처음으로 조, 피 등을 경작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에 잡곡류를 경작했음을 알 수 있다.   
①, ④ 철기시대에는 철기와 함께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등의 화폐가 출토되었고, 경남 다호리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 암기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후기 - 흥수동 달제양 

 

★ 암기
신석기 유물 신갈빗가눌 이른덧
신석기 유적지 신고수 암오동미궁

 


 Q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대체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생활하였으며 불을 사용할 줄 알았다. 
② 단양 수양개,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등 강가에 살던 사람들은 주로 고기잡이와 밭농사를 하며 생활하였다.  
③ 이 시기의 대표적인 무덤 형식은 고인돌과 돌널무덤이다. 
④ 주먹도끼, 가로날도끼, 민무늬토기 등의 도구를 사용했다.

【해설】 정답  ①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이동 생활을 하면서 동굴이나 바위 그늘 혹은 막집을 지어 거주하였다. 이들은 언어와 불을 사용할 줄 알았다. 
오답 확인 
② - 단양 수양개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은 구석기시대 대표적 유적이지만, 조, 피, 수수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는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다. 
③ - 고인돌과 돌널무덤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 무덤이다. 
④ - 주먹도끼와 가로날도끼는 구석기시대 유물이지만, 민무늬토기는 청동기 시대 대표적 토기이다. 




 Q  밑줄 친 “ 이 시대”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이 시대의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잡곡류 경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농경의 발달로 수렵과 어로가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기 시작하였지만, 여전히 식량을 얻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한편 가락바퀴나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이나 그물을 만드는 등 원시적인 수공업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① 생산물의 분배 과정에서 사유 재산 제도가 등장하였다. 
② 마을 주변에 방어 및 의례 목적으로 환호(도랑)을 두르기도 하였다
③ 흑요석의 출토 사례로 보아 원거리 교류나 교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④ 집자리는 주거용 외에 창고, 작업장, 집회소, 공공 의식 장소 등도 확인되었다. 

【해설】 정답 ③
제시된 자료의 밑줄 친 ‘이 시대’는 신석기시대이다.  신갈빗가덧
③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강원도 양양 오산리 유적과 부산 동삼동 유적에서 발견된 흑요석기는 각각 한반도 동북 지방, 일본과의 원거리 교역을 보여준다. 
① 사유 재산 제도의 등장에 따른 사회 구조의 변화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내용이다. 
② 청동기 시대의 취락 구조에 대한 내용으로 충남 부여 송국리 유적, 울산 검단리 유적 등이 있다. 
④ 대규모 마을이 형성되고, 주거용 외에 창고와 공동 작업장, 집회소, 공공 의식 장소 등이 발견된 것은 철기 시대 유적지이다. 

 



 Q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 충북 청주 산성동 출토 가락바퀴  
○ 경남 통영 연대도 출토 치레걸이  
○ 인천 옹진 소야도 출토 조개 껍데기 가면  
○ 강원 양양 오산리 출토 사람 얼굴 조각상 


①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②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③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④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해설】 정답 ③ 
사료의 유물들은 신석기 시대에 제작

③ 신석기 시대에 처음으로 조, 피 등을 경작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에 잡곡류를 경작했음을 알 수 있다.  
①, ④ 철기시대에는 철기와 함께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등의 화폐가 출토되었고, 경남 다호리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Q  밑줄 친 ‘이 토기’가 주로 사용되었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토기는 팽이처럼 밑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표면에 빗살처럼 생긴 무늬가 새겨져 있다. 곡식을 담는데 많이 이용된 이 토기는 전국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대표적 유적지는 서울 암사동, 봉산 지탑리 등이다.


① 농경과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다.
②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을 만들었다.
③ 빈부의 격차가 나타나고 계급이 발생하였다.  
④ 군장이 부족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해설】 정답 ①
자료에서 설명하는 토기는 빗살무늬토기이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대표적 토기인 빗살무늬 토기가 나온 유적은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적은 서울 암사동, 평양 남경, 김해 수가리 등으로, 대부분 강가나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다. 빗살무늬 토기는 도토리나 달걀 모양의 뾰족한 밑 또는 둥근 밑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도 다양하다. 신석기시대에는 농경과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다.
②,③,④는 청동기 시대이다.

★ 암기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후기 - 흥수동 달제양 

 

★ 암기
신석기 유물 신갈빗가눌 이른덧
신석기 유적지 신고수 암오동미궁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