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고전문학

사변록, 박세당

Jobs 9 2021. 4. 28. 16:17
반응형

사변록

박세당

 

 육경(六經)의 글은 모두 요.순 이래 성현의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서 조리가 매우 정밀하고 자세하며, 뜻이 깊고도 멀다. 정밀한 것으로 말하자면 털끝만큼도 어지럽힐 수 없고, 자세한 것으로 말하자면 미세한 것도 빠뜨린 적인 없다.  

 깊이를 헤아리고자 하나 그 밑바닥을 찾을 수 없고, 멀리 추구하고자 해도 끝간데를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진.한 시대로부터 수 .당 시대에 이르기까지 갈래를 나누어 쪼개며 잘라내고 찢어발겨 마침내 대체(大體)를 훼절한 것이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 이단에 빠진 자는 근사한 것을 끌어다가 간사한 말을 꾸며대고, 옛 전적(典籍)만을 굳게 지키는 자는 고집스럽고 편벽되어 평탄한 길을 알지 못한다. 이것이 어찌 부지런하고 간절하게 육경을 지어 말씀을 남긴 성현들이 천하 후세에 기대한 뜻이겠는가.  

 <중용>에 이르기를 “먼 곳을 가려거든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하였으니, 이른바 깊은 곳은 얕은 데서부터 들어가고, 자세한 부분 역시 간략한 데서부터 미루어가며, 정밀한 경지 또한 거친 데서부터 차츰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런 데 오늘날 육경을 탐구하는 자들은 대부분 얕고 가까운 것을 뛰어 넘어서 깊고 먼 데로 만 치달리며, 거칠고 간략한 것은 소홀히 하고서 정밀하고 자세한 것만을 엿보고 있으니, 어둡거나 어지럽고 빠져 헤어나지 못하거나 넘어지고 말아 끝내 아무 소득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저들은 비단 깊고 멀고 정밀하고 자세한 것을 잃을 뿐만 아니라, 얕고 가까우며 거칠고 간략한 것마저 모두 잃게 될 것이니, 슬프다, 얼마나 미혹된 일인가. 무릇 가까운 것은 미치기 쉽고 얕은 것은 헤아리기 쉬우며 간략한 것은 알기 쉽고 거 친 것은 터득하기 쉽다. 그 도달한 바를 딛고 한 발 멀리 가고 또 한 발 멀리 간다면 먼 끝까지 갈 수 있을 것이며, 그 헤아린 바를 연유하여 차츰 깊게 들어가다 보면 마침 내 깊은 끝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대저 귀먹은 이는 천둥과 벼락의 소리를 듣지 못하고, 눈먼 이는 해와 달의 빛을 보 지 못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 자신의 신체적 장애로 인한 것일 뿐, 천둥과 벼락, 또는 해와 달은 의연히 그대로인 것이다. 천둥과 벼락은 천지에 굴러다녀 소리가 진동하고 해와 달은 고금에 비추어 빛이 찬연하니, 일찍이 귀먹은 이가 듣지 못하고 눈먼 이가 보지 못했다 하여 그 소리나 빛이 혹여 작아지거나 흐려진 적이 없다. 그러므로 송나라 때 정자(程子)와 주자(朱子)가 나와서 마침내 해와 달 같은 거울을 닦아내고 천둥과 벼락같은 북을 울리어 소리가 멀리 미치고 빛이 넓게 퍼지게 되자 육경의 뜻이 다시 세상에 환히 밝혀졌으니, 이제 지난날의 편벽된 것들이 사람의 사려를 막을 수 없으며 근사한 것들이 명분을 빌 수 없게 되어 간사한 선동과 유혹이 마침내 끊어지고 평탄 한 표준이 뚜렷해졌다.   

 그러나 경전에 실린 말은 그 근본은 비록 하나지만 그 가닥은 천 갈래 만 갈래이니, 이것이 이른바 “한 가지 이치인데도 백 가지 생각이 나오고, 귀결은 같을지라도 이르는 길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처럼 아무리 뛰어난 지식과 깊은 조예를 가졌다 해도 그 뜻을 완전히 알아서 세밀한 것까지 잃지 않기는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여러 사람의 장점을 널리 모으고 보잘것없는 성과도 버리지 않은 다음에야 거칠고 간략하다.  


朴世堂(1629-1703)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 반남. 자 계긍(季肯). 호 서계(西溪)․잠수(潛). 시호 문정(文貞). 참판 정(炡)의 아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장원, 64년 부수찬(副修撰)으로 황해도 암행어사로 나갔다. 67년 수찬에 이어 이조좌랑(吏曹佐郞)이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장형(杖刑)을 받았다. 그 해 동지사서장관(冬至使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예조참의 등을 지낸 뒤, 94년 갑술 옥사에 소론이 득세하자 승지로 특진하였다. 이어서 공조판서를 거쳐 이조․형조의 판서를 지냈다. 1703년 중추부판사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 《사변록(思辨錄)》을 저술, 주자학을 비판하고 독자적 견해를 발표하였다. 이에 반주자(反朱子)로서 사문난적(斯文亂賊)의 낙인이 찍혀 삭직, 유배 도중 옥과(玉果)에서 죽었다. 사직(司直) 이인엽(李寅燁)의 상소로 신원되었다. 이중환(李重煥)․안정복(安鼎福) 등보다 앞선 시대의 실학파 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글씨도 잘 썼다. 저서로 《사변록》 외에 《색경(穡經)》 《서계집》 등이 있다.  


해설

조선 숙종 때의 실학자(實學者) 박세당(朴世堂)이 지은 책으로 박세당의 말에 의하면
 “그러나 경전에 실린 말은 그 근본이 비록 하나이지만 그 가닥은 천 갈래 만 갈래이니, 이것은 이른바 ‘한 가지 이치인데도 백 가지 생각이 나오고 귀결은 같으면서도 길이 다르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독 지쉼 깊은 조예로서도 오히려 그 뜻을 전부 알아서 세밀한 것까지 틀리지 않기는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여러  사람의 장점을 널리 모으고 조그마한 선도 버리지 않은 다음에야 거칠고 간략한 것이 유실되지 않고 얕고 가까운 것이 누락되지 않아, 깊고 멀고 정밀하고 자세한 체제가  비로소 완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나는 문득 참람한 짓임을  잊고 좁은 소견으로 터득한 것을 대강 기록한 다음 이것을 모아 책을 만들고는 <사변록>이라  명명하였는데, 진실로 선유들이 세상을 깨우치고 백성을 도와주신 본의에 티끌 만한 도움이 없지 않을까 한다. 그러므로 이설을 하기 좋아하여 하나의 학설을  만들려고 한 것은 아니다. 나의 이 경솔하고 망녕되어 소략하고 좁은 것을 헤아리지 못한 죄로 말하면 회피할 수 없지만, 뒷날 이 책을 보는 자들이 혹시 딴 뜻이 없음을 생각하여 특별히 용서해 준다면 이 또한 다행이겠다."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탈주자학적인 경향이 강하다. 

 사변록은 필사본. 14책이고 《통록(通錄)》이라고도 한다. 먼저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 등 사서(四書)를 주해하고, 이어서 《상서(尙書)》와 《시경(詩經)》에 대한 주석을 하다가 신병 때문에 《주역(周易)》에는 손을 대지 못했다고 한다. 1책에 《대학》, 2책에 《중용》, 3책에 《논어》, 4․5책에 《맹자》, 6~9책에 《상서》, 10~14책에 《시경》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특히 그가 심혈을 기울인 사서의 주해는 주자(朱子)의 학설을 비방했다 하여 조야(朝野)의 큰 비난을 받기도 했다. 더욱이 《대학》 《중용》의 경우에는 원전의 장구(章句)와 편차(編次)까지 고치면서 주자의 학설에 반론을 펴는 한편, 자기류의 해석을 내린 나머지 일대 물의를 빚어 사문난적(斯文亂賊)의 낙인을 찍히기까지 하였다. 완사본(完寫本)이 저자의 후손인 박계양(朴啓陽)에게 전해지며, 그 복사본이 서울대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