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고전문학

국화야 너는 어이, 이정보, 평시조, 절개가

Jobs 9 2022. 1. 24. 17:51
반응형

국화야 너는 어이

이정보

국화(菊花)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三月東風)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퓌엿는다,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국화야, 너는 어찌 춘삼월 봄바람 부는 사절을 다 보내고,
나뭇잎이 떨어진 때의 추운 날씨에 와서야 너 혼자 피어 있느냐?
아마도 모진 서리를 혼자 끝끝내 외로이 이겨내는 굳은 절개를 가진 것은 국화 너뿐인가 한다.

 

창작 배경
작가가 말년에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소동파의 시구 "국잔유유오상지(菊殘猶有傲霜枝)"를 떠올리며 지었다고 한다. 이것은 '국화는 오히려 서리에 오만한 가지를 남겨 가진다.'는 뜻으로, 추운 겨울을 이겨내는 국화의 지조를 나타낸다.

 

이해와 감상
가을에 홀로 피는 국화를 지사(志士)의 절개에 비유하여 기린 노래이다. 꽃이란 따뜻한 봄철에 핀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깨뜨리고, 추운 가을에 핀다는 파격적인 개성을 가지고 있는 국화이기에 이런 기림을 받는 것이다. 
'국화'를 통해서 자신이 지켜나가려는 꿋꿋한 절개를 표현하고 있으며, 중장의 '낙목한천'은 국화가 이겨내야 하는 험하고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예부터 군자의 사랑을 많이 받아 온 사군자 중의 하나인 국화의 고절(高節)을 의인화하여, 작자의 삶에 대한 신념을 새롭게 다짐하고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 국화 → 중심소재, 지조와 절개의 상징
* 삼월동풍 → 평온한 시절
* 낙목한천 → 국화가 꽃을 피우는 늦가을(화자가 극복해야 할 정치적 시련과 고난)
* 오상고절 → 서릿발도 이겨내는 꿋꿋한 절개

 

- 성격 : 평시조, 절개가
- 표현
① 의인법을 사용하여 대상에 대한 친근감을 부각함.
② 계절적 대비(봄-가을)를 통해 국화의 고고한 기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주제 : 선비의 높은 절개와 굳은 지조 예찬
- 문학사적 의의 : 화자가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 생활을 할 때 소동파의 시구를 떠올리며 지은 작품으로, 국화에 대한 예찬을 통해 절개와 지조 있는 삶을 살고자 하는 자신의 내면을 드러냄.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