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엄마 걱정, 기형도 [현대시]

Jobs9 2024. 6. 29. 08:38
반응형

엄마 걱정

기형도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개관

- 제재 : 외롭고 슬픈 어린 시절의 추억
- 주제 : 시장에 간 엄마를 걱정하고 기다리는 애틋한 마음 / 외롭고 두려웠던 유년에 대한 회상

- 성격 : 회상적, 서사적, 애상적, 감각적, 고백적
- 표현  * 어린 아이의 목소리를 통하여 동시적 분위기를 형성함.
* 유사한 문장의 반복과 변조를 통해 리듬감 형성
*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엄마의 고된 삶과 나의 정서를 생생하게 표현함.
* 각 행을 비종결어미로 끝냄으로써, 내용상 마지막 행을 수식하는 구조로 됨.
* 이러한 문장 구조는 유년기의 고통을 현재까지 연장시키는 효과를 낳기도 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열무 삼십 단 → 엄마가 느끼는 삶의 무게
*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 시간적 배경으로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연출해 냄.(활유법) / 독특한 비유는 엄마가 이고 간 열무와 연관지어 파악할 수 있는데, 이는 해가 졌다는 것과 실제로 엄마가 이고 간 열무가 시들 정도로 시간이 흘렀다는 것과 엄마가 이제 지쳤을 거란 생각들을 해 볼 수 있음.
* 밤 → 어둠, 외로움, 두려움의 시간대
* 찬밥 → 화자의 처지(가난 때문에 누구도 돌보지 않는 어린 시절 화자의 서글픈 모습)를 단적으로 나타냄.
*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 외로움과 두려움을 잊기 위해 일부러 천천히 숙제를 하는 화자의 모습
*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삶에 지치고 고단한 어머니의 모습을 시든 배추 잎에 비유함.
*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 화자의 무섭고 외로운 심리가 직접적으로 나타남.
* 빗소리 → 화자의 외로운 정서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소재임. 청각적 심상
*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 어린 시절의 구슬프고 애달픈 기억의 한 장면
* 아주 먼 옛날 → 성인이 된 화자의 현재 처지를 나타내줌.
*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 과거 기억에 대한 애상감
* 윗목 → 온돌방의 위쪽, 곧 굴뚝에 가까운 방바닥을 가리키는 말임. / 이 단어의 함축적 의미는 '찬밥'의 의미와 유사한 것으로, 서럽고 외롭고 소외된 처지를 나타내는 말로 해석됨.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어머니를 기다리던 어린 시절(과거)
- 2연 : 어린 시절에 대한 가슴 아픈 그리움(현재)

 

이해와 감상
기형도의 시는 고통스럽다. 되돌아보는 눈길이 지나온 유년의 기억이든, 현재 맞닥뜨리고 있는 현실이든, 아주 내밀한 잃어 버린 사랑이든, 그의 눈길엔 어김없이 고통이 묻어난다. 그가 짐짓 목소리를 높일 때, 우리는 그의 시에서 잘 뒤섞이지 못하는 몇몇 풍경들이 서로 버성기고 있음을 목도한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구체적 기억에 의존하는 한, 그의 시는 날카로운 연상과 섬세한 묘사를 통해 음울한 내면의 풍경을 수려하게 펼쳐 보이고 있다.  
이 시는 어린 시절의 어머니에 대한 회상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가난한 어린 시절에 시장에 나간 어머니를 기다리며 찬밥처럼 방에 담겨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는 화자의 모습을 떠올려 보면, 화자의 막막한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 캄캄해지도록 돌아오지 않는 어머니를 기다리는 화자의 마음은 무섭고 슬펐을 것이다. '안 오시네, 엄마 안 오시네, 안 들리네'로 바뀌어 가는 화자의 말에는 어머니가 없다는 두려움뿐 아니라 어머니에 대한 걱정도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2연에는 어느 새 자라서 성인이 된 지금, 그 때를 생각하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난다. 그 때의 두려움은 그리움으로 변하여, 화자의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어린 시절 그 기억이 화자에게 가슴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 기형도(1960∼1989)
시인. 1960년 2월 16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도에서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79년 연세대학교 정법대학 정법계열에 입학하여 1985년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 문화부 · 편집부에서 일하며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89년 시집 출간을 위해 준비하던 중, 종로의 한 극장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고 사인은 뇌졸중이었다. 
대학 재학 시절 윤동주 문학상 등 교내 주최 문학상을 받았고,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안개>가 당선되면서 문예지에 시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중앙일보에 근무하는 동안 여러 작품을 꾸준히 발표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주로 유년의 우울한 기억이나 도시인들의 삶을 담은 독창적이면서 개성이 강한 시들을 발표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유고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잎>(1989), 산문집 <짧은 여행의 기록>(1990), <기형도 전집>(1999) 등이 있다. 
■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1989) - 죽음의 시학 
기형도의 시는 기형도라는 실존의 삶과 죽음의 기록으로 읽혀졌다. 아무도 기형도의 죽음과 기형도의 시를 떼어 놓고 읽지 못한다. 그의 죽음은 그에 대한 읽기를 간섭하고, 그에 대한 읽기는 그의 죽음조차 하나의 책으로 만든다. 그의 시집은 그의 육체적 죽음이라는 현실적인 사건으로 그 의미 맥락을 완성한다. 한 젊은 시인의 갑작스런 죽음은, 죽음이 얼마나 우리 가까이에 도사리고 있었는가를 환기시켜 주는 계기가 된다. 또한 그 죽음은 삶을 설명할 수 없는 우연과 부조리로 추락시킨다. 더욱이 심야의 삼류 극장 객석에서의 그의 죽음은, 그것을 더욱 강렬한 상징으로 만들고 만다. 결국 그의 죽음이 그의 상징을 낳은 것이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