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아 셰한숨아~, 작자 미상, 사설시조
한숨아 셰한숨아~
작자 미상, 사설시조
한숨아 셰 한숨아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고모장ᄌᆞ 셰살장ᄌᆞ 가로다지 여다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ᄇᆡ목걸새 ᄯᅮᆨ닥 박고 용(龍) 거북 ᄌᆞ물쇠로 수기수기 ᄎᆞ엿ᄂᆞᆫ듸 병풍(屛風)이라 덜걱 져븐 족자(簇子)ㅣ라 ᄃᆡᄃᆡ글 ᄆᆞᆫ다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어인지 너 온 날 밤이면 ᄌᆞᆷ 못 드러 ᄒᆞ노라 |
● 현대어역
한숨아 세(가느다란)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온다
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이상 문의 종류) 암돌쩌귀, 숫돌쩌귀,(문 다는데 필요한 도구들) 배목걸새(문고리 거는 쇠) 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이깊이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은 족자라 대대굴 마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찌된 일인지 네가 오는 날이면 잠 못 들어 하는구나.
*고미장지: 고미다락의 장지문.
*세살장지: 문살이 가는 장지문.
● 핵심정리
갈래 : 사설시조
성격 : 수심가(愁心歌), 해학적(諧謔的)
제재 : 시름, 한숨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시름
특징 :-추상적 대상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하여 화자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군.
-열거법, 의문법을 사용하고 있다.
-무형(한숨)의 대상을 유형적인(너로 의인화) 것으로 인식하여 표현한 것으로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한 것임
● 구성
초장: 한숨(근심, 걱정)이 자꾸 마음속으로 들어옴.
중장: 들어오지 못하게 단단히 단속을 해도 계속 들어오는 한숨
종장: 한숨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함.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는 조선 후기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현실의 시름과 해학으로 견뎌 내려는 자세가 잘 나타나 있다. 삶의 고뇌와 시름을 청각적으로 형상화한 ‘한숨’을 의인화하여 작중 청자로 설정한 점이 독특하며, ‘한숨’을 막으려고 온갖 노력을 다 했는데도 어디로 그렇게 들어오는 것이냐고 묻는 화자의 모습에서, 당시 서민들이 겪어야 했던 힘겨운 삶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칠 줄 모르는 시름이라는 어두운 주제를 해학적으로 표현해 내고 있는데, 온갖 장지문의 종류와 그 부속품들을 일일이 열거하고는 문을 닫아 걸고 거기에 온갖 장애물까지 덧댔다는 중장의 표현에서 그런 해학미를 느낄 수 있다. 시름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는 이런 경향은 조선 후기 평민 문학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이는 시름을 막아 보려고 아무리 애써도 삶의 고통과 비애를 피할 수 없었던 서민들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현실적인 노력이 아무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때, 결국 삶의 시름은 웃음을 통해서 극복할 수밖에 없다고 본 것이다. 한편, 장지문의 온갖 종류와 돌쩌귀 등의 부속품들을 열거한 이 작품의 중장은 다른 사설시조 작품 ‘窓(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의 중장과 상당 부분 똑같은데, 이는 사설시조가 유동 문학(流動文學)이자 적층 문학(積層文學)으로서 작품 간의 활발한 상호 교섭을 거쳐 왔음을 보여 주는 하나의 증거라 할 수 있다.
Q 다음 시조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한숨아 셰 한숨아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고모장ᄌᆞ 셰살장ᄌᆞ 가로다지 여다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ᄇᆡ목걸새 ᄯᅮᆨ닥 박고 용(龍) 거북 ᄌᆞ물쇠로 수기수기 ᄎᆞ엿ᄂᆞᆫ듸 병풍(屛風)이라 덜걱 져븐 족자(簇子)ㅣ라 ᄃᆡᄃᆡ글 ᄆᆞᆫ다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어인지 너 온 날 밤이면 ᄌᆞᆷ 못 드러 ᄒᆞ노라 -작자 미상, 「한숨아 셰 한숨아」- |
① 부사어를 활용하여 시적 대상의 존재를 부각하고 있다.
② 의인화한 시적 대상과의 대화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③ 동일한 구절을 반복하여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강조하고 있다.
④ 유사한 종류의 사물들을 열거하여 시적 대상을 향한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해설】 정답 ②
시적 화자는 ‘한숨’을 청자로 설정하여 말을 건네고 있다. 이는 시적 대상인 ‘한숨’을 의인화. 하지만 ‘한숨’의 답변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대화로는 볼 수 없다.
① 병풍이라 덜걱 져븐(병풍처럼 덜컥 접고) → ‘덜걱’, ‘족자(簇子)ㅣ라 대대글 만다(족자처럼 데굴데굴 마느냐?)’의 ‘ᄃᆡᄃᆡ글’이라는 부사를 통해, 열심히 단속한 문을 열고 들어온 ‘한숨’의 존재를 부각
③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 들어오지 못하게 단속을 해도 계속 들어오는 한숨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 는 화자의 원망과 한탄을 강조
④ 고모장ᄌᆞ 셰살장ᄌᆞ 가로다지 여다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ᄇᆡ목걸새 → 다양한 ‘문’과 잠금장치를 열거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한숨을 막으려고 하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