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 과학 Applied Science/건강, 의료 Health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노르아드레날린, 교감신경계 자극,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Jobs9 2024. 10. 3. 15:56
반응형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교감신경의 말단과 부신 속질(adrenal medulla)의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우세하고, 부신 속질에서는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약 4:1 정도로 우세하다. 화학식은 C8H11NO3이다.

 

교감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

교감신경계를 자극하므로 이것이 분비되면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등의 효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에피네프린에 비해 전신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크게 상승시키지만 에너지 대사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훨씬 약하다.  

 

 

노르에피네프린 구조식

 

 

신경전달물질 구조식

 

 


합성과 대사


카테콜아민의 합성

노르에피네프린은 도파민으로부터 도파민 베타 일산소첨가효소(dopamine beta-monooxygenase)에 의해 합성된다.[1] 또한, 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으로부터 페닐에탄올아민 N-메틸기전달효소(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에 의해 합성된다. 

 


노르에피네프린의 대사

노르에피네프린은 MAO(monoamine oxidase)와 COMT(catechol-O-methyltransferase),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바닐릴만델산(vanillylmandelic acid, VMA)으로 대사 된다. 이때, MAO가 작용한 뒤 COMT가 작용할 수도 있고, COMT가 작용한 뒤 MAO가 작용할 수도 있다. VMA는 노르에피네프린뿐만 아니라, 에피네프린, 도파민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비타민 C와 구리 의존 효소다.

 

 

작용
노르에피네프린은 α1 수용체와 β1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며, β2 수용체에의 작용은 크지 않다. α1 수용체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β1 수용체는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β2 수용체는 혈관을 이완하는 작용이 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이완기혈압과 수축기혈압을 모두 상승시킨다. 

뇌에서는 주로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을 위시한 인지기능,주의력 강화, 장기기억과 작업기억의 강화, 입력에대한 반응 강화등을 한다. 

혈관을 수축시킨다는 특성이 있어 코막힘 약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어원
에피네프린(epinephrine)은 epi nephron(그리스어 επι νεφρων)를 어원으로 '신장에(있는 부신)'라는 뜻에서 연유한다. 아드레날린(adrenaline) 역시 라틴어 ad renal(신장(콩팥)에 있는 부신)를 어원으로 하고 있다. 노르-(nor-)는 normal(보통의) 접두사이다.[2]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특별한 아드레날린(adrenaline)보다는 덜 특별한 따라서 보통의 아드레날린(noradrenaline)임을 뜻한다. 




감정과 의지는 마음아닌 뇌로부터 컨트롤
 

마음의 톱니바퀴 신경전달물질, 어떻게 조절할 수 있을까?
뇌에는 60가지 이상의 신경전달물질 있어
음식물 섭취를 통해 신경전달물질 생성


사람들은 일상의 다양한 사건, 사고에 희로애락을 느끼며, 자신의 의지를 행동으로 옮긴다. 최근에는 이러한 감정과 의지가 마음으로부터 비롯된 게 아닌 뇌로부터 컨트롤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신경전달물질이 마음을 만든다

뇌에서는 신경세포끼리 정보를 전달하면서 의지나 감정, 행동이나 운동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오고 가면서 감정을 느끼거나 생각을 하는 것이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 사이의 접촉 부분인 시냅스에서 분비되어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 시냅스에서 나오는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너무 많거나 부족하면 뇌가 정보 전달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그럴 경우, 뇌 작용의 균형이 무너져서 신체나 정신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뇌에는 60가지 이상의 신경전달물질이 있다. 이 신경전달물질은 우리의 기분, 내장 활동, 운동 등 인체에 폭넓게 관여한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이 있다. 

노르아드레날린은 ‘분노의 호르몬’으로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화가 나면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혈압이 올라가곤 하는데, 그 이유는 뇌 신경세포에서 다량의 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르아드레날린이 부정적인 영향만 주는 것은 아니다. 혈압이 상승하면서 생동감과 활력을 주기도 한다.

세로토닌은 마음을 평온한 상태로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인간의 격정적인 마음을 안정시키고 우울한 감정을 다독여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쉽게 짜증이 나거나 기운을 차리기 어렵게 된다. 

도파민은 감동과 쾌감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사람이 이성을 되찾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하는 마음, 중독성, 탐닉 등도 도파민과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우리 마음은 신경전달물질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는 지극히 생리적인 반응이다. 인간의 의지나 노력만으로는 조절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식사로 관리하는 뇌 건강

물론 신경전달물질 분비에 영향을 주는 음식을 선별해 섭취하면 어느 정도 컨트롤할 수는 있다. 신경전달물질은 음식물 섭취를 통해 생성되기 때문이다.

가령 타이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을 섭취하면 의욕과 집중력을 향상할 수 있다. 타이로신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동기부여에 관여하는 노르아드레날린이나 도파민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집중력을 회복하고,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데 도움을 준다. 

타이로신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육류, 유제품, 바나나, 대두 등이 있다. 타이로신은 공복에 당질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당질과 타이로신이 모두 함유된 바나나가 타이로신을 보충하는 데 효과적이다.

자율신경의 작용을 제어하는 세로토닌을 만들어내는 아미노산은 트립토판(tryptophan)이다. 트립토판을 통해 생성되는 세로토닌은 노르아드레날린이나 도파민의 과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억제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근 매체에서는 세로토닌을 ‘행복 호르몬’이라는 이름으로 홍보하기도 한다. 세로토닌을 생성하는 트립토판이 함유된 식품은 유제품이나 견과류, 대두 등이 있다.

또한 아미노산의 일종인 가바(감마아미노산)는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적이다. 가바는 부교감신경을 강화해 흥분을 가라앉히고, 안정을 되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바는 체내에서도 자연적으로 만들어지지만,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를 완화하기 위해 먼저 소진되므로 자주 부족함을 느끼기 쉽다. 가바는 먹어도 뇌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바 생성의 재료가 되는 글루탐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글루탐산이 함유된 식품은 생선이나 육류, 밀, 달걀 등이 있다. 


운동과 명상도 마음의 안정을 찾는 데 도움

신경전달물질이 뇌에서 균형 있게 분비되려면 먼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한다. 스트레스는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세로토닌의 분비를 감소시켜 혈압을 오르게 한다. 이는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럴때는 유연한 운동이나 명상이 신경전달물질의 올바른 분비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명상을 통한 호흡 훈련은 뇌파를 건강하게 조정하는 효과가 있다. 자신에게 알맞은 속도와 깊이로 천천히, 반복적으로 호흡하면 뇌가 맑아지면서 신경전달물질이 원활히 분비돼 인체의 면역력이 높아진다. 

한편, 신경과학에서도 인간이 감정과 기분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에 대한 기전을 아직 정확히 밝히지 못했다. 사회와 개인의 관계처럼 뇌와 마음은 하나이면서도 독자적인 법칙을 가지고 있다. 하나 분명한 건 서로가 원인이자 결과이며,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는 것이다. 

 

 

 

 

 

 

신경전달물질(神經傳達物質, neurotransmitter, NT)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신호 물질이다. 고전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시냅스를 통해 인접한 신경 세포의 전위를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신경세포는 모노아민이나 뉴로펩티드(neuropeptide)를 통해 보다 넓은 지역의 세포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작용 기전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의 시냅스 소포체 안에 들어있다. 신경세포에 자극이 전달되면 신경세포 시냅스 전에 칼슘이온 채널이 열려 칼슘이 신경세포 안으로 유입되어 시냅스 소포체를 신경세포의 세포막으로 이동시킨다. 세포막으로 이동한 소포체가 축삭돌기 말단에서 세포외유출에 의해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로 방출시킨다.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 후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시냅스 후 세포의 투과성을 변화시킨다. 만약 양이온 채널이 열려서 양이온이 신경세포안으로 들어가면 신경세포가 탈분극되어 흥분성 신경을 전달하고 음이온 채널이 열리면 신경세포가 과분극 되어 신경전달이 억제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