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망매가(祭亡妹歌)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伊遣
생사로은 차의유아미차 이견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오은거내여사질도 모여운견거내니질고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어내추찰조은풍미 차의피의부량락시엽여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일등은지양출고 거노은처모동호정
阿也 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아야 미타찰양봉호오 도수양대시고여
生死路ᄂᆞᆫ
예 이샤매 저히고
나ᄂᆞᆫ 가ᄂᆞ다 맔도
몯 다 닏고 가ᄂᆞ닛고
어느 ᄀᆞᅀᆞᆯ 이른 ᄇᆞᄅᆞ매
이에 뎌에 ᄠᅥ딜 닙다이
ᄒᆞᄃᆞᆫ 가재 나고
가논 곧 모ᄃᆞ온뎌
아으 彌陀刹애 맛보올 내
道 닷가 기드리고다
현대어 풀이
삶과 죽음의 길은 / 이에 있음에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 못 다 하고 갔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 여기저기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같은 나뭇가지에 나고서도 /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아아, 극락에서 만나 볼 나는 / 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다.
시어 풀이
生死路(생사로) : 삶과 죽음의 갈림길을 이르는 말.
이른 바람 : 시적 대상(누이)이 요절하였음을 암시, '바람'은 인간의 운명을 지배하는 초자연적인 힘을 상징
나뭇잎 : 변화무쌍한 삶을 살다가는 사람, 여기서는 시적 자아와 누이를 나타냄.
한 가지 : 시적 화자와 대상과의 관계가 동기지간(同氣之間)임을 암시. 같은 부모를 뜻하는 말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 인간이 살아가는 현세와 죽어서 가는 내세와의 아득한 거리감
아으 : 낙구의 감탄사로, 극한적인 고뇌를 분출하고 종교적 초극이 이루어지는 전환점. 깨달음의 감탄사
彌陀刹(미타찰)
: 아미타불(부처)이 있는 서방 정토(西方淨土). 아미타불을 외면 죽은 뒤 극락에 간다고 함.
개관
‘도솔가’의 작가이기도 한 월명사가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종교적으로 승화시키며 극복한 노래이다. 삶과 죽음의 문제를 뛰어난 비유로 그려 내 향가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갈래 : 10구체 향가
* 성격 : 추모적, 애상적, 비유적, 종교적
* 제재 : 누이의 죽음
* 주제 : 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
* 시적 화자의 태도 : 이별의 슬픔을 종교적 신앙심으로 승화, 극복하고 재회를 다짐함.
* 의의 : 정제된 형식미와 고도의 서정성을 담은 작품으로 현전 향가의 백미로 꼽힘.
* 연대 : 신라 35대 경덕왕(8세기)
* 출전 : “삼국유사” 권 5
짜임
9,10행 : 승려로서의 작자의 면모가 드러나며, 삶의 무상함을 뛰어넘어 슬픔의 종교적 승화 이룸. 인간적인 고뇌와 슬픔이 종교적 믿음으로 극복되어 시상의 전환을 이루고 있음.
배경 설화
월명은 일찍이 죽은 누이동생을 위해서 재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더니 갑자기 광풍이 일어나 종이돈이 서쪽으로 날려 사라졌다. 월명은 늘 사천왕사(四天王寺)에 살았는데 피리를 잘 불었다. 일찍이 달밤에 피리를 불면서 문 앞의 큰길을 지나가니 달이 그를 위해 가는 것을 멈추었다. 이로 말미암아 그 길을 월명리(月明里)라 했고, 월명사 또한 이로써 이름이 났다. 신라 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함은 오래되었는데 대개 시송(詩頌)과 같은 것이었다. 그러므로 자주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이해와 감상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월명사가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 지전(紙錢; 종이돈)이 서쪽으로 날아갔다고 한다. 배경 설화에는 이러한 주술적인 요소가 있지만 이 노래의 근본적 지향은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정서의 표출이므로 순수 서정시의 단계에 이른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단순히 죽음을 감상적으로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를 깊이 성찰하고, 뛰어난 비유로 그려 낸 작품으로 향가 가운데서도 특히 뛰어난 문학성과 고도의 서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 ~ 4구에서는 누이의 죽음을 계기로 생사의 갈림길에서 느끼는 두려움과 안타까움을 표출하였으며 5 ~ 8구에서는 생사의 문제를 나무와 낙엽에 견주어 말하고 있다. 9 ~ 10구에서는 그러한 죽음의 불가해성을 불교적으로 승화시키면서 내세에서 다시 만날 것을 염원하고 있다.
작품 연구
- 시구의 비유적 의미
이 작품이 문학성이 뛰어난 서정 시가로 불리는 것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자연의 섭리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 바람’은 젊은 나이에 요절한 누이의 죽음을, ‘떨어질 잎’은 죽은 누이를, ‘한 가지’는 누이와 화자를 낳아 준 어버이를 뜻한다. 가지에 붙었던 잎이 일찍 불어온 바람에 떨어지는 현상에 빗대어, 한 부모에게서 태어나 혈연관계로 맺어졌던 이승의 인연도 죽게 되면 어떨 수 없이 헤어져야 한다는 인식론적 깨달음을 드러내고 있다.
- ‘예’와 ‘미타찰’의 대비를 통해 본 화자의 태도
이 작품의 화자는 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안타까움과 인생의 허무함과 같은 인간적인 정서를 느끼지만, 이러한 감정을 감상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자세를 보인다. 그리하여 낙구에서 화자는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불교적 믿음으로 극복, 승화하며 수용하고 있다.
- ‘죽음’을 다룬 시에 드러난 화자의 태도
문학 작품은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다양하게 형상화한다. 죽음을 형상화한 대표적인 시가 작품 속에서 시적 화자가 보이는 태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작가 소개 - 월명사(月明師,?~?)
신라 35대 경덕왕 때의 승려. 학덕이 높은 이름난 승려였으며 향가를 잘 지었다고 전한다. ‘제망매가’와 함께, 하늘에 해가 두 개 나타나는 기이한 현상이 생기자 이러한 괴변을 물리치기 위해 불렀다고 하는 4구체 향가 ‘도솔가(兜率歌)’가 전한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