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김광림
한여름에 들린
가야산(伽倻山)
독경(讀經) 소리
오늘은
철 늦은 서설(瑞雪)이 내려
비로소 벙그는
매화 봉오리.
눈 맞는
해인사
열 두 암자를
오늘은
두루 한겨울
면벽한 노승 눈매에
미소가 돌아
개관
- 성격 : 관조적, 선적(禪的), 회화적
- 표현 : 시간의 비약적 제시(한여름→한겨울)를 통해 선의 세계를 적절히 제시함. / 간결한 시행, 서술어의 생략, 장면의 제시 등 선적 분위기를 극화하는 데 도움을 줌. / 회화성을 중시한 이미지 중심의 서정시
- 주제 : 눈 내리는 가야산에 그득한 선적(禪的) 세계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독경 소리 → 깨달음(돈오, 頓悟)과 진리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수도(輸道)의 과정.
* 오늘(한겨울) → 깨달음이 이루어지는 시간. / 꽃이 피고 노승의 눈매에 미소가 감도는 시간.
* 서설 → 상서로운 눈으로 좋은 조짐이 있을 것 같은 첫 눈. / 종교적 경건성, 신비성을 극화한 말.
* 철 늦은, 비로소 → 시간과 관련되는 표현으로, 이제서야 이루어졌다는 안타까움의 표현이라기보다는, 큰 기쁨을 잉태하는 오랜 기다림의 완성이 드디어 열매맺는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는 표현임.
* 벙글다 → 꽃봉오리가 피어나려고 벌어지다.
* 매화 봉오리 → 수도의 과정을 겪은 뒤에 비로소 맺어지는 기쁨(환희)의 열매.
* 면벽 → 참선하기 위하여 벽을 마주 대하고 앉는 일
* 노승 눈매의 미소 → 단순한 감정적 기쁨이 아니라, 고매한 혜안(慧眼)을 얻은 정신적 희열임.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눈내리는 가야산에 피어나는 매화 봉오리
- 2연 : 눈 맞는 해인사 암자에서 면벽한 노승의 미소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눈 내리는 가야산의 선적(禪的) 고요와 종교적 깊이를 노래한 것으로, 그것을 그려내는 수법 또한 불교적 성격을 띠게 되어, 한 편의 절묘한 조화를 일구어낸 작품이라 하겠다.
이 시에서는 선적(禪的)인 세계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선의 세계는 점진적 논리 구조나 인과관계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설명되는 세계가 아니라, 느닷없는 깨달음이라는 사유의 비약이 그 본질이다. 선의 세계에 있어서 시작과 그 끝인 깨달음까지의 거리는 사유의 시간적 경과를 의미하지, 논리의 진행 과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시에 있어 시간의 비약적 제시는 바로 이런 선의 세계와 절묘하게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읽는 데 중요한 것은 하나하나의 사물, 이미지를 음미하면서 그것들이 연상적 관계 속에서 저절로 어울리도록 하는 일이다. 현재의 작중 상황은 겨울, 해인사의 암자가 있는 어느 산 속이다. 철 늦게 푸근한 눈이 내리고, 그 속에서 매화 봉오리가 막 피어나려 하고 있다. 여기서 화자는 갑자기 언젠가 들었던 가야산에서의 독경 소리를 연상한다. 그러나 지금은 눈 내린 한겨울, 암자에서 오래도록 벽을 향하여 마주 앉아 수도하던 노승의 눈매에 미소가 어린다. 어떤 그윽한 진리를 깨친 때문일까? 밖에는 눈이 희게 내려 있고, 그 서늘한 빛깔 사이에서 매화 봉오리가 보인다. 이것뿐이다. 시인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는 더 이상 알 수 없다. 제시된 이러한 이미지들의 통일성을 바탕으로, 단순히 겨울 산의 한 풍경으로 보든지 아니면 불교의 오묘한 깨달음의 세계를 그린 것으로 보든지는 독자의 몫인 듯하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소방학,민법,상법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