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산도화 1, 박목월 [현대시]

Jobs9 2022. 5. 29. 18:15
반응형

산도화 1

박목월

산은
구강산(九江山)
보랏빛 석산(石山)

산도화
두어 송이
송이 버는데

 

봄눈 녹아 흐르는
옥 같은
물에

사슴은
암사슴
발을 씻는다.
 

개관

- 성격 : 관조적, 회화적, 서경적, 도교적
- 표현 : 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상 전개 / 회화적인 기법을 장면 묘사만 하고, 감정의 서술과 가치 판단은 일체 보류함. / 동양화적 효과를 음미(절제된 표현과 여백의 미학)
- 주제 : 자연(이상향, 정서적 고향)에 대한 향수
- 소재가 지닌 특성 : 속세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깨끗하고 신비롭고 맑고 아름다운 속성을 지님.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구강산(九江山) → 시적 공간으로 이상향 속의 산 / 완전한 자연(九), 산이면서 '물'의 비중을 부각시킴
    * 보랏빛 석산 → 구강산의 구체적인 모습.  극도로 단순화된 비현실적인 돌산(보랏빛:고귀함, 엄숙)
    * 산도화 → 동양적 이상향의 상징물
    * 두어 송이 → 충만보다 여백을 중시하는 동양의 미학
    * 버는데 → 꽃잎이 벙긋이 피어 벌어지는 모습
    * 옥 같은 물 → 차고 깨끗한 이미지(仙境)
    * 암사슴 → '청노루' 등과 함께 시인이 소중하게 다루는 '도피적·소극적·상서로운 동물'임.
    * 암사슴이 발을 씻는 정경 → '신선도'를 상상해 볼 수 있음(고결하고 신비로운 분위기)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배경제시(공간)
- 2연 : 배경제시(시간)
- 3연 : 배경제시(시·공간)
- 4연 : 대상(사슴)제시

 

이해와 감상
구강산은 우리 나라에 실재하는 구체적 지명(地名)이 아니다. 산도화가 동양적 이상향인 도화원(桃花園)을 떠올려 주는 것으로 미루어 '구강산'은 가공적인 선경(仙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이러한 배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순수하고 고결한 모습의 '사슴'이거나 '노루'이다. 이는 한 폭의 정갈한 신선도(神仙圖)를 보는 듯하다. 그의 자연 속에는 인간이 등장하지 않으며, 인간이 등장한다 하더라도 조화로운 자연의 일부로서 기능할 뿐, 그 자신이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에서도 시적 자아는 구강산에서 봄눈이 녹아 흐르는 물에 발을 씻고 있는 암사슴을 엿보는 사람일 뿐이다. 
사람 이야기가 전혀 등장하지 않는 이 같은 가상 세계(假想世界)는 순결하고 아름다운 이상향임에 틀림없지만, 이 작품을 현실 도피성 문학으로 비판받게 하는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시인이 그리고 있는 '도화원(桃花源)'은 곧 우리 한국인들의 시원(始原)의 고향이라는 점에서, 이 작품은 단순한 현실 도피가 아닌 자연 합일의 동양적 정신을 구현함으로써, 잃어버린 고향과 자연을 회복시키려 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의 말
"나는 이 작품에서 첫 두 연을 좋아했다. 보랏빛 석산과 가지만 앙상하게 빳빳한 산도화의 담담한 풍경에 홍백의 꽃송이를 두어 점 띄워 동양화적 정취를 풍기려 했으며, 이 '여백의 함축'은 내 시의 본질적인 일면이다. 이 동양화적인 풍경에 '봄 눈 녹아 흐르는 옥같이 맑은 물에 발을 씻는 사슴'을, 나대로는 차고 담담한 것 속에 생동하는 생명의 자태라 여겼으리라."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