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단어 형성 방법,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파생어

Jobs 9 2021. 9. 1. 08:44
반응형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 어근(실질 형태소)

형성방법 분류

● 통사적 합성어 : 일반적 단어 배열법 일치(국어 통사 구조 일치)

  • 새해(관형사+명사)
  • 작은형(형용사의 관형사형+명사)
  • 들어가다(용언 어간+연결어미+용언) 들(어)가다X

 

● 비통사적 합성어 : 단어 배열 벗어남

  • 덮밥(동사+명사-관형사형 어미 없음) → 덮(은) 밥       덮-'이 관형사형 어미 없이 바로 어근 '밥'과 결합해서 비통사적
  • 부슬비(의태 부사+명사-보충 요소 필요) → 부슬(부슬 내리는) 비
  • 짙푸르다(짙+푸르다) : 어근 '짙-이' 연결어미 없이 바로 '푸르다'와 결합해서 비통사적

 

● 파생어
어근이나 기존의 단어에 파생 접사가 결합하여 새로 만들어진 단어를 파생어라 한다. 파생 접사는 단어를 파생시키는 접사를 말하는데, 이에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있다.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경우는 뒤에 오는 말의 뜻을 한정하지만, 품사를 전성시키지 않는다.

     [1] 파생 명사: 맨-발, 홑-이불, 참-나무

     [2] 파생 동사: 엿-보다, 치-솟다.

     [3] 파생 형용사: 얄-밉다. 새-파랗다. 드-높다.

 *'홑'과 같은 접사는 명사, 관형사와 잘 구별되지 않음.


공무원 기출 문제


 Q 
 비통사적 합성어로만 묶인 것은? 

① 열쇠, 새빨갛다 
② 덮밥, 짙푸르다 
③ 감발, 돌아가다 
④ 젊은이, 가로막다 

【해설】 정답 ② 
합성어는 어근(실질형태소)과 어근(실질형태소)이 합쳐진 말이다. 합성의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단어의 형성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합성어를 ‘비통사적 합성어(① 어미 생략, ② 부사 + 명사의 결합)’ 
라 한다.
‘덮밥, 짙푸르다’는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 구조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덮밥(덮- + 밥)’: ‘덮다’의 어근 ‘덮-’이 관형사형 어미 없이 바로 어근 ‘밥’과 결합하였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짙푸르다(짙- + 푸르다)’: ‘짙다’의 어근 ‘짙-’이 연결어미 없이 바로 ‘푸르다’와 결합하였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오답 정리] 
①  열쇠(열- + ㄹ + 쇠) - 통사적 합성어 
: ‘열다’의 어근 ‘열-’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붙어 어근 ‘쇠’와 결합했기 때문에 통사적 합성어
새빨갛다(새 + 빨갛다) - 파생어 
: ‘빨갛다’에 ‘매우 짙고 선명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인 ‘새-’가 결합한 형태이므로, 파생어
③  감발(감- + 발) - 비통사적 합성어 
: ‘감다’의 어근 ‘감-’이 관형사형 어미 없이 바로 어근 ‘발’과 결합하였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
돌아가다(돌- + 아 + 가다) - 통사적 합성어 
: ‘돌다’와 ‘가다’가 연결어미 ‘-아’가 붙어 연결된 형태이므로 ‘통사적 합성어’
④  젊은이(젊- + 은 + 이) - 통사적 합성어 
: ‘젊다’의 어근 ‘젊-’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어 어근 ‘이’와 결합했기 때문에 통사적 합성어
가로막다(가로 + 막다) - 통사적 합성어
: 국어에서 부사가 용언을 서술하는 것은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법이다. 따라서 부사 ‘가로’ 뒤에  용언 ‘막다’가 왔기 때문에 ‘통사적 합성어’

 


 Q 
 <보기>의 ㄱ∼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보 기> 
ㄱ. 나는 봄꽃이 좋다. 
ㄴ. 그 사람은 감발을 벗었다. 
ㄷ. 그는 진짜 거짓말을 못한다. 
ㄹ. 그 왕고집을 누가 당하겠어? 
ㅁ. 나는 가슴을 두근두근하며 발표를 기다렸다. 


① ㄱ의 ‘봄꽃’과 ㄷ의 ‘거짓말’은 단어 형성 방법이 같다. 
② ㄴ의 ‘감발’과 ‘독서’, ‘검붉다’는 단어 형성 방법이 같다. 
③ ㄷ의 ‘진짜’와 ‘코뚜레’, ‘집게’는 단어 형성 방법이 같다. 
④ ㄹ의 ‘왕고집’과 ‘범민족’, ‘최고참’은 단어 형성 방법이 같다. 
⑤ ㅁ의 ‘두근두근하며’와 ‘빛나다’, ‘잘되다’는 단어 형성 방법이 같다.

반응형


【해설】 정답
 ⑤ 

 두근두근(부사): 비통사적 합성어. 
 빛나다(동사): 통사적 합성어. 
 잘되다(동사): 통사적 합성어. 
 봄꽃, 거짓말 = 통사적 합성어. 
 감발, 독서, 검붉다 = 비통사적 합성어. 
 진짜, 코뚜레, 집게 = 파생어 
 왕고집, 범민족, 최고참 = 파생어.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