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한글(훈민정음) 제자 원리,초성,중성,종성부용초성 - 두문자, 기출

Jobs 9 2020. 11. 27. 17:02
반응형

● 초성(자음) 제자 원리 : 상형 가획

17자

암기 "그냥마셔요 아리수"

아설순치후 ㄱ ㄴ ㅁ ㅅ ㅇ

이체자 ㆁ ㄹ ㅿ

반응형

● 중성(모음) 제자 원리 : 천지인 삼재, 상형, 합성

11자

 

● 종성부용초성 : 초성을 그대로 사용

17자

 


[상세]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1. 초성제자(初聲制字)의 원리

훈민정음 해례(解例)의 자음의 조직 원리는 발음기관(發音器官)의 상형(象形)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입각하여 살피면, 자음을 오음(五音)으로 나누고 발음기관(發音器官)을 상형(象形)하여 기본자(基本字)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다섯 기본자를 근간(根幹)으로 다시 가획(加劃)의 방법으로 같은 조음계통(調音系統)의 자음을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이것은 각 기본자의 음별(音別)로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 획을 더해 가서 가획자를 만들은 것이다. 즉,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ㅇ-ㅎ이 가획자 중에서 오직 아음 ㅇ만이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나는 오직 하나의 이체자(異體字)로서 각 음종의 3자가 체계화에서 조화를 벗어났으며 후음의 기본자 ㅇ과 구별하여 아음의 기본자로 삼지 않았다.

그리고 가획의 방법으로 체계화한 오음 각 3자의 15자 체계에서 벗어나는 글자에 대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개의 이체(異體)를 만들었다.

이상 17자는 훈민정음 제작한 선조들이 자음의 기본음소(基本音素)로서 제작한 것이 분명하며,그 조음 위치에서 발음 기관을 상형한 과학적인 체계를 수립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합용병서(合用 書)와 각자병서(各自書)가 있다.

 

2. 중성제자(中聲制子)의 원리

 중성 자모(字母)는 기본자(基本字), 초출자(初出字), 재출자(再出字)로 11자가 있다.
기본자는
'·', 'ㅡ', 'ㅣ'로 '·'는 둥근 하늘의 모습을 본뜬 것이데 혀가 오그라들고 소리가 깊음을 의미하며,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을 본뜬 것이데 혀가 오그라들고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음을 의미하고,
'ㅣ'는 사람의 서 있는 모양을 본뜬 것인데 혀가 오그라들지 않고 소리가 얕음을 의미한다.
즉, 기본자는 천(天), 지(地), 인(人)을 상형하였는데 이를 삼재(三才)라 하기도 한다.

초출자의 제자원리는 아래와 같다.

 'ㅗ'는 '·'와  같지만 입이 오므라지며 그 꼴은 '·'와 'ㅡ'가 어울리어 된 것이므로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딴 것이다.

 'ㅏ'는 '·'와 같지만 입이 벌어지며 그 꼴은 'ㅡ'와 '·'가 어울리어 된 것이므로 하늘과 땅의 작용이 사물에 나타나나 사람을 기다려서 이룩된다는 뜻을 딴 것이다.

 'ㅜ'는 'ㅡ'와 같지만 입이 오므라지며 그 꼴은 'ㅡ'와  '·'가 어울리어 된 것이므로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딴 것이다.

 'ㅓ'는 'ㅡ'와 같지만 입이 벌어지며 그 꼴은 '·'와  'ㅣ'가 어울리게 된 것이므로 역시 하늘과 땅의 작용이 사물에 나타나나 사람을 기다려서 이룩된다는 뜻을 딴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출자의 원리를 살펴보면

 'ㅛ'는 'ㅗ'와 같지만 'ㅣ'에서 일어나고, 'ㅑ'는 'ㅏ'와 같으나 'ㅣ'에서 일어나고, 'ㅠ'는 'ㅜ'와 같지만 'ㅣ'에서 일어나고, 'ㅕ'는 'ㅓ'와 같지만 'ㅣ'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3. 종성제자(終聲制字)의 원리

 삼분법으로서 초성, 중성, 종성을 설정한 세종은 다시 초성이 종성이 되고 종성이 초성이 되는 원리를 발견하여 종성을 따로 짓지 않고 초성을 다시 쓰기로 하였다.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이라 하여 초성을 종성에 사용 가능하다고 예의편(例義篇)에 수록하고 있다.

 


기출 문제

 Q  훈민정음의 28 자모(字母) 체계에 들지 않는 것은? 

① ㆆ 
② ㅿ 
③ ㅠ 
④ ㅸ 

【해설】 정답: ④ 
훈민정음의 28자모는 초성 17자와 중성 11자를 가리킨다. ‘ㅸ(순경음 비읍)’은 순우리말에만 쓰던 표기로, 28자모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첫소리 = 초성 = 자음(17자) 그냥마셔요 아리수 
오음(五音)/발음위치  기본자(상형)  가획자(가획)  이체자 
아음(牙音)  ㄱ  ㅋ ㆁ 
설음(舌音)  ㄴ  ㄷ, ㅌ  ㄹ 
순음(脣音)  ㅁ  ㅂ, ㅍ 
치음(齒音)  ㅅ  ㅈ, ㅊ  ㅿ 
후음(喉音)  ㅇ  ㆆ, ㅎ 

※ 가운뎃소리 = 중성 = 모음(11자) 
기본자(상형)  초출자(합용, 합성)  재출자(합용, 합성) 
천(天)  ㆍ  ㅗ, ㅏ  ㅛ, ㅑ 
인(人)  ㅡ 
지(地)  ㅣ  ㅜ, ㅓ  ㅠ, ㅕ

 


 Q   훈민정음 제자해에서 ‘象舌附上齶之形’에 해당하는 자모는? 


① ㄱ ② ㄴ 
③ ㅅ ④ ㅇ 

【해설】 정답 ②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묻는 문제이다. ‘象舌附上齶之形(상설부상악지형:혓소리 니은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꼴을 본떴다)’ 
이란 설음을 말하므로, ‘ㄴ’을 골라야 한다.  
‘舌 (혀 설)’이란 한자에서 혓소리 계열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  
✽초성(자음) 제자 원리 17자 
기본자 이체자 
아 ㄱ ㆁ 
설 ㄴ 
순 ㅁ 
치  ㅅ 
후 ㅇ 
 
ㅿ 그냥마셔요 아리수 
✽중성(모음) 제자 원리 천지인 삼재( . ㅡ ㅣ), 상형, 합성 
11자 기본자 . ㅡ ㅣ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 
✽종성부용초성 
17자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